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by 9기김아랑기자 posted Jan 29, 2019 Views 127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요즘 들어 청소년의 솜방망이 처벌 즉 소년법 폐지에 대한 이야기가 수없이 거론되고 있다이는 청소년이 사회에서 일으키는 문제뿐 아니라 학교 내에서 일어나는 학교 폭력도 해당 된다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실제로 학폭위 심의 건수는 2016년 2만 3673건으로 전년 1만 9968에 비해 3705건이나 증가했다비교적 일반적인 학교폭력인 폭행이 1만 3068건으로 가장 많았지만 감금 67협박 1326금품갈취 512약취·유인 457 등 학교에서 처리하기 힘든 수준의 강력범죄도 빈발하는 추세이다.


그림0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김아랑기자]


분명 학교 폭력이 일어나면 절차에 따라 처리가 되고 학폭위가 열려 가해 학생의 선도 조치가 이루어지지만 최근 들어 학폭위의 결정에 의의를 가지고 재심을 신청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서울의 경우, 3년 전 100건대에 불과하던 재심 건수는 2년 만에 75%가량 는 것처럼 학교폭력 재심청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또 재심으로 해결이 안 되는 경우 청구서를 제출하여 행정심판을 진행하는 경우도 잇따라 증가하고 있다.


그림0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김아랑기자]


그렇다면 왜 이렇게 재심 건수가 증가하는 것일까?

현재 학폭위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5인 이상 10인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되는데 과반수를 학부모 대표로 위촉한다.

물론 학부모 대표는 학부모 전체회의에서 직접 선출하고 부득이한 경우학급별 대표로 구성된 학부모 대표 회의에서 선출할 수 있도록 한다하지만 학부모 위원은 학교폭력에 대한 기본 지식이 부족할 뿐 아니라 학부모 전체회의의 절차를 생략하고 간단한 과정을 통해 필요한 학부모 대표를 뽑는 학교의 경우도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또한 특목고나 사립고의 경우 학교의 명예의 실추에 따른 진학률 문제나 가해 학생 부모의 영향력으로 인해 담임 종결 사안으로 끝을 내거나 은폐축소하는 문제가 끊이지 않고 있다.


불과 몇 년 전까지는 피해학생의 보호조치로 오히려 피해학생이 전학을 가거나 심한 경우 학교의 은폐와 소문에 못 이겨 자살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이에 따라 학폭위의 학부모 위원 비중을 줄이고 외부 위원을 늘리거나 외부기관 또는 교육청으로 이전하자는 의견도 빗발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만일 가해 학생이 자신이 받은 징계조치에 행정심판을 걸어 불복하겠다는 의지를 보일 경우 최종 결정이 나올 때까지 학폭위 조치가 유보돼 피해자가 2차 피해를 당할 위험이 있다.


이러한 학폭위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먼저 학폭위의 절차가 부당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조치를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에 재심을 청구할 수 있다재심의 결과도 부당하다고 생각되면 위원회에 청구서신청서를 제출하여 처분청에서 답변서를 제출하면 행정심판을 통해 학폭위의 결과에 대해 다시 한번 판결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만약 학폭위의 절차에서 피해학생이 압박을 받거나 마땅히 받아야 할 조치를 받지 못하고 절차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인해 부당한 결과를 받았다면 교육청의 학생인권교육센터나 국가인권위원회 등의 도움도 받을 수 있다.

 

청소년의 범죄행위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지금소년법을 악용해 끔찍한 범죄를 저지르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희생당하는 사람들을 위해 소년법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봐야 할 때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김아랑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최은진기자 2019.03.02 00:34
    학생들이 꼭 읽어 봐야 할 기사같아요 유익한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58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691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157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631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7921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4401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0733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5868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7141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744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679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765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156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190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702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72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3033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559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0739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1267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9760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0936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7028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562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1263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0787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5917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844
대한민국에 다시 돌아온 바둑 열풍 7 file 2016.03.20 유지혜 17834
대한민국도 흔들린다 - 공포에 휩싸인 한반도, 더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 file 2018.01.08 고은경 11372
대한민국, 일본 계속 되는 무역전쟁 우리가 받는 피해만 있을까? file 2019.08.20 정예람 15547
대한민국, 생명보다 성적? file 2017.12.04 전세연 11504
대한민국 제 20대 총선이 불어온 변화의 폭풍 3 file 2016.04.17 진형준 16661
대한민국 정부 핀란드에 방역 노하우 전하다 file 2020.04.27 신동민 8862
대한민국 인구의 충격, 놓쳐버린 골든타임 3 file 2015.08.24 김동욱 41310
대한민국 시민, 진정한 민주주의를 행하다 1 file 2016.11.25 전지우 16475
대한민국 국민과 언론이 타협하여 찾은 진실, 미래에도 함께하길... file 2017.03.25 김재원 9690
대한민국 국민... 광화문에서 대통합하다? 3 file 2016.11.25 김예지 18174
대한민국 교육정책, 장미대선으로 뒤바뀌다. 1 file 2017.06.24 윤은서 9629
대한민국 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1 file 2018.07.13 강민지 12656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451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477
대학원 조교들의 현실 2 file 2017.03.22 최동준 13800
대학교 군기문화 해결방안은 없는 것인가? 6 file 2017.03.23 박민서 15682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file 2019.05.22 김의성 12796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1897
대통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안양 범계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선거운동 벌여 file 2017.05.01 정유리 12125
대체 그 '9시'의 의미는 무엇인가 2 2014.10.30 이민지 23128
대책위 보성-서울 도보순례, 광주지역에서도 백남기 농민 쾌유 빌어 13 file 2016.02.17 박하연 19861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923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6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