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IT 리서치] 애플워치4, 두 달 간의 사용기

by 8기윤주환기자 posted Jan 24, 2019 Views 197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애플은 지난해 9월 13일(현지 시각) 아이폰과 함께 애플워치4를 발표했다. 그리고 약 두 달 만인 11월 2일(한국 시각) 국내에도 아이폰과 애플워치를 정식 발매했다. 이번에 출시된 애플워치4는 정식 발매 전부터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아왔고 출시 초기에는 품귀현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실제로 출시 초기에 구입을 하였으나 초기 물량이 잘 확보되지 않은 관계로 약 2주 뒤에나 제품을 받아 볼 수 있었다. 그렇다면 왜 애플워치4는 이토록 인기가 많은 것일까?


◆ 애플워치4, 첫인상

애플워치1-1.jpg

▲ 애플워치 시리즈 4 GPS 골드 알루미늄(44mm)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제품을 처음 사용하였을 때 가장 눈에 띈 것은 더 커진 디스플레이였다. 손목 위에서 커져 봐야 얼마나 커질 수 있을까 하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디스플레이가 가장 눈에 띄었다. 아사모 카페 등 애플 제품 커뮤니티에서도 더 커진 디스플레이에 대해 많은 찬사를 쏟아냈다. 기존의 애플워치는 모서리가 각진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였으나 애플워치4는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하여 아이폰X · XS · XR의 것과 비슷한 디자인을 채택한 것도 눈에 띄었다. 다행히(?) 아이폰처럼 노치 디스플레이 같은 건 없다. 포장 방식에도 변화를 주었는데 전작의 경우 뚜껑을 위로 열면 제품이 보였는데 이번 제품은 뚜껑을 열고 뒷부분의 귀퉁이를 당기면 선물상자처럼 열렸다. 세심한 포장에 감동을 느낄 수도 있겠지만 성격이 급한 사람이라면 오히려 번거로운 포장일 것으로 예상된다.


◆ 무엇이 얼마나 달라졌을까?

애플워치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이번에 출시된 애플워치4의 경우 지금까지의 애플워치 역사상 가장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이전 제품들의 경우 전작에 비해 성능이 약간 향상되었을 뿐이고 디자인은 변하지도 않았다. 애플워치는 항상 38mm, 42mm 두 가지 크기로 출시하였는데 애플워치4의 경우 각각 2mm씩 커졌다. 무엇보다 커진 것은 시계를 꽉 채우는 디스플레이였다. 첫인상에서도 볼 수 있다시피 디스플레이가 가장 많이 바뀌었다. IT 제품의 특성상 디스플레이로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에 더 커진 디스플레이는 긍정적인 변화로 보인다. 언제나 그랬듯이 성능도 이전 세대에 비해 증가하였다. 전작에 비해 최대 두 배 더 빠른 프로세서를 탑재하였고, 2세대 광학 심박 센서를 채택함으로써 심박수 측정의 정확도를 높였다. 그리고 전기 심박 센서를 탑재하여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최초로 심전도 측정이 가능해졌다. 다만 심전도 측정 기능은 현재 미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이 밖에도 50% 커진 스피커 음량, 넘어짐 감지 기능 등 작지만 여러 변화를 보여주었다. 무엇보다도 가장 달라진 것 하나를 꼽으라 하면 한 층 더 도약한 가격을 꼽을 수 있을 것 같다.


◆ 손목 위의 운동 파트너가 될 수 있을까?

애플워치3-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스마트워치는 휴대폰과 연동하여 비서 역할을 하기도 하지만 운동 파트너 역할을 하기도 한다. 타사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애플워치도 운동기능을 탑재하고 광고에도 주로 운동기능을 소개하는 것이 많이 나왔다. 애플워치4는 심박수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의 성능을 개선하여 운동 기능을 많이 강조하였다.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 기기가 스스로 운동을 감지하여 사이클링, 하이킹, 수영 등 운동 종목에 맞춰서 운동량을 정밀하게 측정한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운동 목표를 설정하여 자신의 운동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활동 링을 통해 목표 달성률을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애플에서도 NIKE+모델을 따로 출시할 정도로 피트니스 기기로서의 장점을 부각하고, 운동을 위해 애플워치4를 구입하는 사용자들도 적지 않다. 운동 중독에 관한 전문가인 Katherin Schreiber와 Leslie Sim은 스마트워치가 주로 앉아서 지내는 사람들이 운동을 하도록 격려하고 별로 활동적이지 않은 사람들로 하여금 운동을 장려해왔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터무니없는 운동 목표를 설정하고 숫자에 집중하다 보면 운동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두 달 동안 애플워치4를 사용하면서 스포츠 기능도 많이 활용하였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운동을 하려는 본인의 의지와 적절한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들은 스포츠에 특화된 애플워치4라 하더라도 맹신하지 말아야 하며 적절하게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총평

애플워치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성능이나 디자인 모두 우수하다. 다양한 색상과 모델이 있어 사용자가 자신에 맞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타사 스마트워치 제품들의 경우 초침 소리를 넣거나 심지어는 실제 시곗바늘을 넣어 기존 손목시계와의 경계를 허물어뜨리려고 한다. 그러나 애플워치는 누가 봐도 전형적인 스마트워치이다. 패션 아이템으로서 애플워치를 구입하려 한다면 애플워치는 정답이 될 수 없다. 하지만 풍부한 사용자 경험과 다양한 편의 기능을 감안한다면 기존 시계와 충분히 고민할 만하다. 애플워치4를 구입하기 전까지는 큰 불편함을 못 느꼈으며 무조건 필요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용자들도 밝혔다시피 있으면 편한 것은 사실이다. 애플워치로 문자나 알림 등을 수신할 수 있고 전화 통화도 가능하여 스마트폰을 수시로 꺼낼 필요가 없기에 스마트폰 의존도도 많이 줄어들었다. 다만 손목 위에서 모든 작업을 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하는 것은 금물이다. 배터리 또한 제품 사양에 명시되어 있는 18시간과는 달리 실제 사용 시에 하루는 충분히 버텼으며 길면 이틀까지도 사용이 가능하다. "애플워치.. 꼭 사야 될 필요가 있나요?" 스마트워치 하면 떠오르는 흔한 질문이다. 흔한 대답일 수도 있겠지만 구입 전과 구입 후의 차이가 확연히 날만큼 활용도가 높은 건 사실이다. 가성비를 논할 순 없지만 서랍에 모셔두지 않는 이상 결코 후회하지는 않는다. 다만 스마트워치와 스마트폰은 엄연한 경계가 있고 서로 다른 제품이며, 활용도를 결정짓는 것도 사용자의 몫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8기 윤주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06 03:57
    심전도 기능까지 있다니.대단합니다.운동하는 동안 내 상태를 알 수 있으니 스마트 워치겠죠.
  • ?
    10기윤예진기자 2019.02.06 03:57
    심전도 기능까지 있다니.대단합니다.운동하는 동안 내 상태를 알 수 있으니 스마트 워치겠죠.
  • ?
    10기김채현기자 2019.02.07 18:40
    스마트 워치하면 샤오미 미밴드에 관심이 많았는데 애플 워치에도 관심을 가져봐야겠어요. 가격이 어느 정도일지 궁금해 지네요. 기사 내용 중에서 이전의 애플워치와 현 애플원치4에 대한 비교를 표 형식으로 제시하였다면 더 가독성이 높았을 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696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419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5722
빅브라더는 소설 속에서만 살지 않는다 file 2021.02.26 문서현 13393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444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폐지, 그 이유와 앞으로의 서비스 방향은? file 2021.02.26 유채연 18713
4박 5일 간의 GLL 프로젝트 마무리 file 2021.02.26 이준용 11172
껍데기만 남은 축구계 'Black Lives Matter' 캠페인... SNS가 문제? file 2021.03.02 성민곤 16110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0876
익명 질문 애플리케이션, 사용하시겠습니까? file 2021.03.02 신아인 11964
야생 동물, 사람을 헤칠 수도 2021.03.02 이수미 12174
온택트로 활성화된 동아ST 환경교육 2021.03.02 이수민 10553
난항 겪고 있는 애플카 프로젝트, 생산은 누가? 2021.03.02 김광현 12149
월드 스타 방탄소년단, 유 퀴즈 온 더 블럭 단독 출연! 2021.03.03 전채윤 11687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732
레알 마드리드 VS 아탈란타 BC , '수비가 다 했다' file 2021.03.03 이동욱 13124
영화 <검은 사제들> 촬영지, 계산성당 file 2021.03.03 한윤지 16038
본격적인 전기차 세상 시작...이면엔 실업자 있어 file 2021.03.03 우규현 13332
표현의 자유를 가장한 무의미한 혐오, 어디까지 용납해야 하는가? file 2021.03.08 박혜진 16226
나만의 사진관! 포토프린터와 인쇄 방식 file 2021.03.08 신지연 11661
기적의 역주행을 보여준 브레이브 걸스의 '롤린' file 2021.03.10 김예슬 18220
마음의 위로가 필요하다면? '아무것도 아닌 지금은 없다' file 2021.03.10 박서경 14162
아산시에도 공유 킥보드가 상륙하다 file 2021.03.11 석종희 22682
1년에 단 한 번! ‘2021년 대한민국 한복 모델 선발대회’ 개최 file 2021.03.11 김태림 13215
청약,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file 2021.03.12 조선민 14224
직장에서의 따돌림, 연예계에도 존재했다 file 2021.03.12 황은서 12006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294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개최 file 2021.03.17 디지털이슈팀 15395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784
별들의 전쟁 20-21 챔피언스리그, 8강 진출팀 확정..8강 대진 추첨은 19일 file 2021.03.19 이대성 21854
반도체 패러다임의 변화? file 2021.03.22 이준호 17075
문화예술 NGO ‘길스토리’ 대표 배우 ‘김남길’ file 2021.03.24 문소정 16590
빠르고 편리한 비대면 키오스크, 과연 소외계층에게도 '편리'할까? 2 file 2021.03.25 남서영 19145
영화 '미나리' 인기 와중 미국 내 반아시아인 혐오 범죄 발생 2021.03.26 김민주 13414
삼성 갤럭시 노트20 후속 내년 출시 계획 file 2021.03.26 최병용 14437
배우 윤여정, 한국인 최초 오스카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르다 2021.03.26 박혜진 14929
아직 모르시나요? '카카오톡 멀티프로필'로 다양한 나를 표현하다 file 2021.03.26 조예은 14708
계란에 표기된 숫자,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21.03.26 김정희 14602
집에서 즐기는 과학 특별전, ‘랜선으로 떠나요! 5대 국립과학관 VR 특별전시 투어’ file 2021.03.26 김규빈 13029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168
길거리에 냉장고가 떡하니 존재하다! file 2021.03.29 민경은 12784
"나무를 베지 마세요", 숲 지키기에 나선 해등로 주민들 file 2021.03.29 최지현 11976
이마트24, 애플 마니아의 성지가 되다 file 2021.03.29 이승우 12903
영화 '미나리', 기생충의 명성을 이어갈까? file 2021.03.29 권나원 16036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역사왜곡 논란에 결국 폐지 2021.03.29 유채연 16487
오로라를 품은 땅 스웨덴 키루나, 그 이면의 문제점 1 file 2021.03.29 문신용 20884
초록우산어린이재단 2년 연속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에 홍보대사 방송인 장성규 위촉 file 2021.03.30 장헌주 11412
방송인 장성규,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 file 2021.03.30 오혜인 10795
방송인 장성규 2년 연속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로 위촉 file 2021.03.30 홍재원 10912
청소년이 미래다!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 및 기부금 전달식 file 2021.03.30 유정수 12486
장성규, 초록우산어린이재단 제6회 <전국 감사편지 공모전> 홍보대사 위촉 및 기부금 전달식 가져 1 file 2021.03.30 정지우 173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