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by 9기황준하기자 posted Dec 18, 2018 Views 117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교육과정에서 이뤄지는 성평등 교육 부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페미니즘, ‘가짜 뉴스일 가능성 농후

-정규 교육과정에서 할 수 없다면, 클러스터 같은 대안 고려해야


현재 청소년의 페미니즘의 현 실태는?

 미투 운동, 탈코르셋 운동, 혜화역 시위. 대한민국을 뜨겁게 달군 이슈라는 사실에 이견이 있는 사람은 많이 없을 것이다. 스쿨 미투는 2018년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트윗 된 단어이고, 많은 연예인들이 지지 또는 비판의 목소리를 내며 페미니즘은 한층 더 많이 알려졌다. 이런 페미니즘의 바람은 청소년들에게까지 퍼지게 되었다.

2018116, 청와대 국민 청원 게시판에 한 청원이 게시되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고등학교에서의 페미니즘 교육 의무화를 청원하고, 여성 비하적인 단어가 학교에서 자주 쓰이고 양성평등 교육이 부족함을 지적한 글인데, 이 청원에 청와대의 답변 기준을 넘긴 213,219명이 동참하여 청와대 윤영찬 국민소통 수석의 답변이 이뤄졌다. 윤 수석은 , 아마 청원하신 분들의 요구에는 많이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라며, “이미 교과서 집필 기준과 검정기준에 양성평등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초등학교 교과서에 가족 구성원의 역할 등이 나오는 수준으로, 명시적으로 성 평등 내용은 없습니다.”라고 밝혔고, “, 고교에서는 도덕, 사회 등의 교과에서 다루고는 있지만, 양적 질적으로 부족한 게 사실이라며 교육과정에서의 성 평등과 관련된 요소가 부족함을 인정했다.

  페미니즘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사회 운동 중 하나이며, 그 기세는 유튜브,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커뮤니티 사이트 등을 통해 각계각층의 사람들에게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청소년들은 페미니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는 반드시 주목해봐야 할 부분이다. 위의 청원의 동기와 답변 내용을 살펴보면 알겠지만 학교 정규 교육과정에서는 페미니즘과 성 평등에 관련한 자세하고 올바른 교육은 이뤄지지 않는다. 그 결과로 청소년들은 인터넷상에서만 페미니즘을 접해야 하는 상황이다. 교실 밖에는 여러 페미니즘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심지어 스쿨 미투 운동은 학교 내에서 벌어지고 있다. 학교가 페미니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졌든 간에, 학교는 청소년 간의 불필요한 성차별 현상과 혐오 현상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성 평등 의식 확립을 위해 이 운동에 대한 교육을 확실히 해야 할 것인데, 유감스럽게도 대한민국의 교육은 그렇지 않다. 그렇기에 청소년들은 무분별하게 가짜 뉴스에 오염되고, 결국 성별 간 대립, 극단적 혐오 등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 놓인 청소년들은 페미니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을까? 본 기자가 1213일부터 1215일까지 17~19세 청소년 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untitled123123.png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황준하기자]


 이 설문조사에 의하면 페미니즘을 자세히 알고 있는 청소년이 30.6%(11), 들어본 적 있지만 자세히는 모르는 청소년이 55.6%(20), 아예 들어본 적 없는 학생이 8.3%(3), 기타 5.6%(2) 으로 나타났다. 해당 응답자 중 일부는 페미니즘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긍정적이다’, ‘페미니즘은 이 사회에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답했지만, 또 다른 응답자들은 남성 혐오’, ‘극단적으로 한국 남자들을 혐오하고 깎아내리며 여자들은 사회적 약자임을 강조하는 집단?’ 등 반대되는 의견을 보이기도 했다. 뜻은 좋은데 일부 잘못된 페미니스트들 때문에 사람들 인식이 좋지 않은 거 같아 안타깝다.’ 며 지적하는 의견도 있었다.

 페미니즘을 접하게 된 경로를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2.8%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접했다고 밝혔고, 13.9%는 유튜브, 5.6%는 서적 또는 영화라고 밝혔다. 25%는 기타(친구, 주변 인물, 교육과정 클러스터)에 응답했다. 위와 같은 상황을 정리해보면 청소년 중 86.2%가 페미니즘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그중 52.8%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페미니즘을 접하게 되는 것이다. 모든 소셜네트워크서비스상의 정보를 일반화하는 것은 아니지만,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개방성과 자율성을 고려하면 가짜 뉴스가 분명 존재할 수밖에 없다. 흔히 지상파 뉴스라고 하는 곳에서도 검증되지 않은 뉴스가 나오는 판국이다. 이러한 페이크 뉴스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청소년을 구출할 방법은 올바르고 적극적인 교육밖에 없다.


정규 수업에서 할 수 없다면, 클러스터 같은 대안도 고려해야

  정규 교육과정에서, 모든 학생이 누리는 수업은 아니지만 경기도 교육청이 주관하는 교육과정 클러스터는 성 평등 문제와 페미니즘을 올바르게 가르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부천 원미고등학교 교육과정 클러스터는 사회 주제 탐구를 목표로 하는 수업으로, 학생들에게 페미니즘을 올바르게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함께 성 평등 문제에 토론하고, 페미니즘이나 여권 신장 운동 등을 탐구하면서 올바른 식견을 갖추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더군다나 절대 평가 제도를 채택해 평가에 대한 부담이 적은 것도 큰 메리트 중 하나이다. 또는 10개의 범교과에 성 평등 과목을 추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 대안이다. 학생들에게 편향된 가치관을 심어주지 않기 위해, 교사는 수업 중 중립을 지켜야 한다. 하지만 청소년들이 접하는 많은 요인들에서 비롯되어 편향된 가치관이 생겨날 가능성이 높다. 교육은 현재 페미니즘이 청소년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인지해야 하며, 그 영향을 더는 외면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황준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박상준기자 2018.12.16 15:48
    여성만 주장하는 배타적 페미니즘보다는 모두가 잘사는 이퀄리즘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
    9기심재원기자 2018.12.16 17:36
    페미니즘 대신 이퀄리즘을
  • ?
    9기김민성기자 2018.12.16 20:22
    여성들의 인권을 보장해주고 남성들도 여성의 권리를 무시하고 비하하지 않으면 이런 일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특히 여성들의 차별이 난무하는 곳은 아마 '직장'이 아닐까 싶습니다. 직장 상사에 의해 차별받는 경우가 대다수 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여성인권을 위한 사회제도, 양성평등을 위한 제도 등을 확립, 설비할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그리고 여성인권의 신장을 통해 역차별이 발생하지 않도록 남성과 동등하게 최대한 인권을 보장해주어야 할 것입니다. 그냥 쉽게 남성과 똑같이 여성과 남성으로 이분법적으로 성을 나누기 전에 국민이라면 당연히 가져야 할 권리, 그리고 국민이기전에 인간이라면 당연히 가져야 할 권리들을 따져가면서 하나씩 세부적인 것을 부차적으로 추가, 수정, 보완하면 될 것 같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12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642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0654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72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19789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55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311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37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98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323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890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056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52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72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160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174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501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367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61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57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91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773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075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278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4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24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97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388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8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30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492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51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272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31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00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541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598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142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4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438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638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366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617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124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5814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6571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48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322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431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56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59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