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경제학이多 - 행동경제학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Oct 19, 2018 Views 162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미시 경제학이나 거시 경제학과는 달리 인간의 행동을 심리학적 견해를 중심으로 바라보며 그에 따른 결과를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다. 행동경제학은 미시나 거시경제학의 이기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을 부정한다. 그러나 인간을 비합리적 존재로 단정 짓지는 않는다. 오직 완전히 합리적이라는 주장을 부정하며, 이런 부정을 증명하려는 것이 행동경제학의 목적이다. 그들의 주요한 주장은 경제의 주체들이 제한적 합리성을 띠며 때로는 감정적인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

 

  본래는 비주류 경제학으로 존재하다가, 90년대 이후 국제적으로는 주류경제학으로 편입되었다. 행동경제학은 행동과학혁명으로 불리며 딱딱하고 차가우며 현실과 동떨어졌다는 이상적 학문인 경제학의 과학화를 이끌었다는 명성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예시로는 인간이 합리적인데도 투기나 공황과 같은 비이성적 사태가 발생하는 것이 인간이 온전히 합리적이지 않다는 증거이다.


이미지.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민우기자]

 

  최근 행동경제학이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다양한 생산 혹은 서비스의 주체가 소비를 촉진하려는 목적으로 행동경제학의 도움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앵커링 효과나 단수 가격 전략 등의 전략들이 이미 우리의 실생활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이 알지만 까먹고 실수를 반복하는 도박사의 오류도 마찬가지로 행동경제학의 결과물이다.

 

  이런 행동경제학 열풍은 서점가도 휩쓸었었다. <넛지>라는 책을 쓴 리처드 세일러 시카고대학교 교수가 노벨 경제학상을 받으면서 넛지라는 작은 손길이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책 <넛지>는 물론 한동안 사회 전반적으로 넛지 열풍이 불었었다. 넛지는 다수의 정부가 경제, 사회 정책에도 적용하거나 공공장소에서 사람들의 행동 변화를 위해서 이용되기 시작하면서 다시 한번 엄청난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이런 넛지도 행동경제학의 일환이다.

 

  이렇게 비주류 경제학에서 단숨에 개인을 넘어서 기업과 정부에게도 엄청난 영향을 끼친 행동경제학은 지금도 지속적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여전히 해외보다 인지도가 낮고 활용이 적은 것은 사실이지만, 다수의 대학교에서도 행동경제학을 정식 과목으로 채택하는 등의 모습을 통해서 앞으로의 행동경제학의 앞날은 밝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8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4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8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037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800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3476
접종률 75% 넘는 일본, 백신 기피로부터 전환 성공하나? file 2021.11.25 안태연 7330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3328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8656
점점 활기를 잃어가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 재논의가 필요한 시점 2017.11.30 신유진 11433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4954
점점 잊혀져가는 세월호, 광화문에서 마주한 현실 2017.11.28 고은빈 10736
점점 삭막해져가는 이웃들 file 2016.06.05 박채운 17931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4882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5734
점점 더 극심해지고 있는 사회 양극화 현상 3 file 2019.05.07 송수진 14634
점보기의 몰락 file 2020.08.21 이혁재 10425
젊은 층이 관심을 두는 투자, 비트코인은 건강한 투자인가? file 2021.03.30 조민서 9852
절대 침몰하지 않을 그날의 진실 5 file 2017.03.15 조아연 14224
전통시장의 몰락,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2.24 황은성 15632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653
전자파의 엄청난 영향 file 2019.06.25 오윤주 13481
전안법,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2.27 박아영 16218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2584
전세계의 마트와 가게 텅텅...우리나라는? 1 file 2020.05.04 허예지 9221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그의 경제 정책 2 file 2017.06.08 이종은 11425
전세계가 랜섬웨어에게 공격당하고 있다. 2017.07.24 최민영 9632
전북 전주 고준희 양 실종 한 달째····경찰 수사 역경에 처해 3 file 2017.12.20 허기범 14871
전례없는 사상 최대 규모의 언론 폭로, 파나마 페이퍼스(Panama Papers) 사건 4 file 2017.01.30 이소영 15394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346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768
전기안전법, 개정안 시행 논란과 1년 유예 5 file 2017.01.25 정지원 17447
전국에 내려진 폭염경보, 건강관리는 어떻게? 2020.08.24 윤소연 8731
전국 학생들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농산물 꾸러미' file 2020.06.29 하늘 8605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490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9513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1527
전 세계에 창궐해있는 코로나19, 그 이후의 세계는? 2 2020.08.31 유서연 10099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774
전 세계를 뒤흔든 김정남 독살! 배후는 누구인가? 2 file 2017.02.20 정유리 15899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407
전 세계가 패닉! 코로나는 어디서 왔는가? file 2020.03.02 차예원 14213
전 세계가 감탄한 대응책 중 하나,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24 박아연 8685
전 세계, 한국을 뛰어넘다? file 2020.07.20 이다빈 14479
전 세계 학교 상황은 어떨까? 1 file 2020.04.01 여승리 9044
전 세계 백신 접종자 1억 명 돌파. 대한민국은? file 2021.02.25 김진현 14289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9210
저출산과 고령화,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은? 7 file 2018.08.22 윤지원 29662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5102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9768
저시력 시각장애인의 도보 이동권 문제, 청년들이 내놓은 개선 방안 공유 file 2022.07.15 이지원 7542
저버린 이성, 다시 확산된 코로나 2020.08.26 박성현 78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