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by 9기김단아기자 posted Oct 16, 2018 Views 118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7e029d60a481efa86c6d5f49af9d528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김단아기자]

 

 지난 11일, 이외수 작가가 자신의 개인 SNS(트위터)에 올린 <단풍>이라는 시가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다. 시의 내용은 단풍을 주제로 지은 시로, 붉게 물든 단풍을 자신을 떠난 여성에 빗대고 있다. 


 누리꾼들이 논란을 제기한 건 다름이아닌 시 속에 사용된 단어 중 하나인 “화냥기”라는 단어이다. 논란의 중심에 선 단어 “화냥기”는 단어 “화냥년”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화냥년”이라는 단어는 병자호란 때 오랑캐에게 끌려갔던 여인들이 다시 조선으로 돌아왔을 때 그들을 ‘고향으로 돌아온 여인’이라는 뜻의 환향녀(還鄕女)라고 부르던 데서 유래했다. 당시 사회에서는 적지에서 고생한 이들을 따뜻하게 위로해주기는커녕 그들이 오랑캐들의 성(性) 노리개 노릇을 하다 왔다고 하여 아무도 상대해주지 않았을뿐더러 몸을 더럽힌 계집이라고 손가락질을 했다. 이렇듯 화냥년(=환향녀) 포로로 끌려가 고생한 여성에게 멋대로, 자발적으로 몸을 팔고 온 더러운 여자라는 명칭으로 사용되었고, 현재까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되고 있다.


누리꾼들은 이외수 작가가 이 “화냥년”이라는 단어에서 파생된 “화냥기”라는 단어를 문학작품의 일부분으로 사용한 점에 논란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외수 작가는 이 단풍이라는 시 속에서 화냥기라는 단어를 사용함으로써 단풍을 자신에게 다가오곤 바로 사라져버리는 여성에 빗대었다. 누리꾼들은 이에 “‘화냥기’라는 단어를 직접 사용함으로써 여성을 비하하려는 의도가 담겨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 단어다”라고 말했다.


 논란이 불거지자 이외수 작가는 다시 자신의 개인 SNS(트위터)에 “제 글 <단풍>에 쓰여진 <화냥기>는 비극적이면서도 처절한 단풍의 아픔까지를 표현하려는 의도였습니다. 시대의 흐름을 읽지 못한다는 둥 여성을 비하했다는 둥 하는 판단은 제 표현력의 부족에서 기안합니다. 하지만 여성을 비하할 의도나 남성 우월을 표출할 의도는 추호도 없었습니다.”라고 전해왔다. 또한, 일각에서는 “화냥기”라는 단어는 이외수 작가의 문학적인 표현일 뿐, 이 단어 자체로 문제를 제기하는 일은 작가의 문학적 표현법 자체를 부정하는 일이라는 시각도 존재한다.


 감성적인 문학을 창작해야 하는 작가를 비롯한 직업들은 자신의 감성을 최대한 풍부하게 드러내기 위해 수많은 단어를 빗대어 사용한다. 하지만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작가의 의도와는 다를지라도, 단어 자체가 가진 뜻이 시대적 상처를 다수 포함하고 있거나 특정 계층을 비하하는 의도가 녹아있을 때에도 그러한 단어들을 단지 ‘문학적 표현’이라는 이유로 계속 사용하는 것이 과연 괜찮을지 다시금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


 한편 논란이 되었던 이외수 작가의 <단풍>은 현재 작가의 개인 SNS(트위터)에서 삭제된 상태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9기 김단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586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38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7865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344
문재인 대통령의 유럽 순방, 무슨 성과가 있는가 2018.10.23 고아름 9332
문재인 대통령, 유명희 지지 총력전 1 file 2020.10.28 명수지 7863
문재인 대통령,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 2 file 2017.05.16 장인범 11015
문재인 대통령, 국민의 바람 이뤄줄까 file 2017.05.25 서은주 12563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790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그만의 '자유로운' 기자회견 1 file 2017.08.22 김지현 10325
문재인 대통령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 국민들의 반응은? file 2017.08.29 차형주 9888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그 이유는? 2018.08.22 고아름 11133
문재인 대통령 임기 중 마지막 유엔 연설 file 2021.09.27 최서윤 7410
문재인 대통령 사교육폐지, 외고와 자사고 일반고 전환까지? 3 file 2017.06.25 박유진 11040
문재인 대통령 내외, 러시아 구세주 대성당 방문 file 2018.06.27 홍민기 11560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328
문재인 대통령 '백신 유통' 합동훈련을 참관 file 2021.02.16 김은지 9146
문재인 당선 후 대한민국은? 1 file 2017.05.15 한한나 11105
문이과 통합교육과정에 따른 문제점 2 file 2016.03.25 조해원 57527
문대통령 '사드 합의 공개' , 한·미 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은? file 2017.06.26 곽다영 9739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9577
문 대통령, 교황청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을 만나다 file 2018.10.26 이진우 10494
문 대통령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만나다 file 2018.11.28 이진우 9907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874
문 대통령 'n번방' 회원 전원 조사 강조, "필요하면 특별조사팀 구축", n번방이란? file 2020.03.26 김서진 10318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염려 사실 아니니 국민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1 file 2021.01.11 백효정 8860
무한도전 '그 때 그 법안, 어디까지 진행됐어?' 2 file 2017.12.07 김하늘 12475
무엇이 피해자를 숨게하나 2 file 2016.05.26 김민주 14870
무업기간의 안정망 ‘니트생활자’ 니트컨퍼런스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5609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667
무모한 트럼프의 100일간의 무모한 행보, 그리고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2 file 2017.05.03 김유진 10661
무더위 속 할머니들의 외침 2 file 2018.08.17 곽승준 11990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1 2015.07.19 구민주 22744
무너지는 교사의 인권 2 file 2018.04.02 신화정 12558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596
무개념 팬들의 SNS 테러에 얼룩지는 축구계 1 file 2019.06.05 이준영 11355
못 다 핀 한 떨기의 꽃이 되다, '위안'부 8 2016.02.24 송채연 28428
몰카피해자, 정부가 나선다 2 2018.05.28 이채원 10985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975
몰래카메라 범죄 완전 근절 외치는 정부, 그러나 현실은 3 file 2017.08.26 박한비 16393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898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767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5211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9031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805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647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937
멈춰버린 돈, 지속적인 화폐 유통속도의 하락 원인은? file 2021.07.20 김수태 11152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920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729
멀어가는 눈과 귀, 황색언론 15 file 2016.02.13 김영경 188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