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by 8기이수지기자 posted Oct 15, 2018 Views 1051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남북정상회담에 많은 남한의 유명 인사들과 대기업의 대표들이 방북 길에 오르게 되었다.


dl.PNG

[이미지 제공=평양사진공동취재단]


남북정상회담은 4월을 시작으로 5월 그리고 지난 9월까지 총 3차례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 남북관계의 전면적, 획기적 발전, 군사적 긴장 완화와 상호 불가침 합의란 내용을 담고 있는 판문점선언을 하게 되었다.


판문점선언을 내용을 보면 


1.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평화체제 구축

비핵화라는 것은 말 그대로 핵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21세기에 많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갈 핵을 비핵화시킴으로 남북 간 냉전을 없애고 평화체제를 구축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남북관계의 전면적, 획기적 발전

전면적이란 말은 일정한 범위 전체에 걸친 것을 뜻하며 획기적이란 말은 어떤 과정이나 분야에서 새로운 시기를 열만큼 뚜렷이 구분되는 것이다. 휴전 65년간의 냉전이라 할 수 있는 남북의 상황을 판문점선언에 담고 있는 내용을 대입해본다면 '곧 남한과 북한이 종전 선언을 할 것이다'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3. 군사적 긴장 완화와 상호 불가침 합의

65년간 이어진 휴전으로 지난 65년간 남한과 북한에서는 의무로 군대에 가서 국방의 의무를 다했다. 65년 동안 이어진 군사적 긴장감을 조금이나마 완화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국가와 국가 간에 상호평화를 위해 군사적 침략을 하지 않을 것이란 내용으로 군사적 긴장감이 완화될 것이다.

 

위의 대표적인 3가지의 내용을 보고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감이 많이 해소되었고 또한 남한과 북한의 종전 의지와 노력이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종전을 하게 되어 6·25전쟁으로 헤어진 이산가족들의 상봉과 중국과 일본 등에 왜곡되어 가는 한반도의 역사를 바로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8기 이수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43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92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759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763
방역 갈림길에 선 대한민국, 코로나 환자 급증 file 2020.08.25 오준석 8765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769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774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8779
"정인아 미안해..." 뒤에 숨겨진 죽음으로만 바뀌는 사회 1 file 2021.01.27 노혁진 8783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785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바이러스가 조작됐다? file 2020.09.28 방지현 8789
만 18세도 유권자! file 2020.03.27 지혜담 8790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799
논란의 중심 배달의민족 file 2020.04.27 박채니 8804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813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816
문 대통령 "백신 접종 염려 사실 아니니 국민 여러분 걱정하지 마십시오" 1 file 2021.01.11 백효정 8817
KF80 마스크로도 충분하다 2 file 2020.04.08 김동은 8826
베트남은 지금 '박항서 감독'에 빠졌다 2018.12.26 김민우 8830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831
내년 3월부터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 그 함의는 무엇인가? file 2020.10.22 정지후 8839
예방인가? 위협인가? file 2020.10.27 길현희 8850
일본 방사능 오염수 방류 결정에 반일 불매 운동? file 2021.04.16 지주희 8857
이태원 클럽 코로나, 언론인이 맞닥뜨릴 딜레마 2020.05.14 오유민 8860
삼성그룹 회장 이건희, 78세의 나이로 별세 1 2020.11.02 조은우 8863
생활 방역 시대, 청소년이 가져야 할 마음가짐 file 2020.05.04 서하연 8869
변종 코로나바이러스, 밍크에서 발견 1 file 2020.11.23 오경언 8876
대한민국 정부 핀란드에 방역 노하우 전하다 file 2020.04.27 신동민 8882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8888
코로나 자가격리 위반자에 대한 대응 file 2020.06.29 임지안 8906
위기 경보 '심각' 격상... 초중고 개학 연기 file 2020.02.26 김다인 8911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911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912
인류를 돕는 인공지능, 코로나19에도 힘을 보탰다 file 2020.03.27 이소현 8914
투표하는 고3, 무엇이 필요한가?: 범람하는 가짜 뉴스의 인포데믹과 청소년 시민 교육의 필요성 file 2020.03.30 황누리 8915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8929
5·18민주화운동과 희생자를 기리며 file 2019.05.29 박고은 8933
변화하는 금리의 방향성 file 2021.03.10 신정수 8947
75주년 광복절 & 태평양 전쟁 패전 75주년 1 file 2020.08.27 차예원 8952
가짜 뉴스, 당신도 속고 있나요? 1 2020.05.14 김호연 8957
설탕세 도입 갑론을박 "달콤함에도 돈을 내야 하나","건강 증진을 생각하면.." file 2021.03.25 김현진 8961
수면 위로 떠 오른 'n번방' 사건의 진실 file 2020.04.23 김햇빛 8970
모두가 방관하여 발생한 일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는가? file 2019.09.27 유예원 8976
공급망 병목현상에 이어 전력난, 요소수 부족까지… 국내기업 “긴장” file 2021.11.10 윤초원 8977
코로나19 양성 의심 청소년 사망, 누구도 방심할 수 없다 2 file 2020.03.20 김수연 8981
아시아인 증오 범죄가 시발점이 된 아시아인 차별에 대한 목소리 file 2021.03.26 조민영 8984
선거연령 하향 이후, 청소년들의 정치적 태도 변화는? file 2020.04.28 이승연 8993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021
코로나-19 사태 발발 4달, 지금은? 2020.04.08 홍승우 9025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0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