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by 7기박효민기자 posted Oct 01, 2018 Views 159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사후 피임약이란 피치 못할 사정으로 피임이 되지 않았을 경우 원하지 않은 임신을 피하기 위해 성교 직후 대처할 수 있는 사후 피임법이며 계획되지 않은 성교가 있었거나 콘돔이 찢어져 피임이 불확실할 때 등 임신을 방지할 수 있는 피임법이다. 하지만 매우 고용량의 호르몬을 복용하는 것이므로 꼭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처방받아야 한다. 또한 복용하면 복용할수록 효과가 떨어지는 약품이다.


사전 피임약은 사후 피임약과 조금 다르다. 사전 피임약은 사후 피임약과 다르게 월경이 시작된 날부터 5일 이내에 복용하여야지 효과를 볼 수 있고 현재는 피임 효과뿐만 아니라 월경을 늦추기 위해, 불규칙한 생리 주기를 맞추기 위해 복용할 수 있다. 사전 피임약은 현재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매가 가능하다.


피임약 모자이크.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박효민기자]


현재 사후 피임약을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매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즉 사후 피임약을 응급의약품이 아닌 일반의약품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말이다. 그 이유는 바로 원치 않는 임신일 경우 응급한 상황에서 의사와의 상담을 거치는 것은 여성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자기 결정권을 보장하지 않는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 사후 피임약은 성관계 후 12시간 이내에 복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고 늦어도 72시간 내에는 복용해야만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그만큼의 오남용이 발생할 것이고 무책임한 성문화가 만들어질 수도 있다는 이유이다. 이렇게 사후 피임약을 둘러싸고 많은 논쟁들이 오가는 가운데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사후 피임약 관련 검토 계획은 따로 없다”라고 밝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박효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865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63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0856
박 前 대통령 탄핵...해외 반응은? 4 file 2017.03.11 정예빈 13313
바이든을 지지한 "너희가 멍청한 거야", 전 민주당 소속 여성 리더가 말하다 1 file 2020.11.03 김태환 12073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759
바른정당 광주·전남도당 창당대회 개최 “친박은 배신의 정치인” file 2017.03.07 황예슬 15257
바르셀로나서 무슬림 테러리스트 소행 연쇄 차량 테러 발생 2 file 2017.08.21 이성민 12176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870
밀리언드림즈, 취약계층 위한 ‘제1회 로보틱스 캠프’ 진행 file 2022.10.11 이지원 5368
믿을 수 없는 사학재단의 끊임없는 비리 - 성신여대 심화진 총장 법정 구속되다 1 file 2017.02.24 정선우 17342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917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민주시민교육 사회적 합의를 위한 토론회’ 개최 file 2022.12.23 이지원 5544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433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file 2017.03.25 안호연 11227
민주주의의 꽃인 투표를 행사한 국민,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은? 1 2017.05.14 황서영 9992
민주주의 대한민국의 한 줄기 빛이 되어줄 그대 2 file 2017.05.25 김재원 10741
민주주의 꽃 1 file 2017.05.04 신승목 11494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443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2891
민식이법 시행, 달라지는 것은? file 2020.04.03 한규원 8703
민방위 훈련 참가한 청소년들 "실질적인 행동 요령 배울 수 없어" file 2023.09.16 이진 5755
미혼모 청소년들의 학습권 보장:이루어질 수 있을까? 2 file 2017.08.04 변우진 13174
미투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18.08.02 박세빈 11425
미투운동의 딜레마 file 2018.04.04 정유민 12375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999
미투운동, 변질되다? file 2018.03.26 마하경 13879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960
미투 운동의 양면성 file 2018.11.01 이민아 10382
미투 운동,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file 2018.03.02 이승현 11985
미투 운동 후 1년, 우리에게 묻는다 1 file 2019.04.02 신예린 14832
미투 브랜드, 경제시장의 약일까, 독일까? 1 file 2017.07.18 오수정 15038
미중 무역전쟁, 어디까지 갈까? file 2018.07.25 오명석 11258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488
미얀마의 외침에 반응하고 소통하다 file 2021.03.18 김민주 9859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8774
미얀마 쿠데타에 대한 우리나라의 입장 file 2021.05.24 이수현 7462
미세먼지의 주범, 질소산화물이 도대체 뭐길래 1 file 2019.02.18 임현애 18112
미세먼지, 이렇게 계속 안심하고 있어도 되는가? 2 file 2017.05.30 김보경 10375
미세먼지,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불청객 file 2018.07.05 김환 10576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981
미세먼지, 넌 어디에서 왔니? file 2019.04.09 이승민 11626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5018
미세먼지 이렇게 대처하자! 1 file 2018.04.27 서효정 9997
미세 먼지, 정말 우리나라의 탓은 없을까? 1 file 2018.07.11 김서영 10420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8071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20557
미루지 못한 기후변화 1 file 2020.07.27 정미강 14541
미래의 물병, '오호' file 2019.05.20 유다현 38407
미래 원자력정책 탈원전, 과연 현실적인가 1 file 2017.03.13 최가현 13281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994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