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종교란 무엇인가

by 8기염정윤기자 posted Oct 01, 2018 Views 1834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염정윤기자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이라는 것을 들어 본 적이 있는가?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Flying Spaghetti Monster, 줄여서 FSM)은 2005년 미국 오리건 주립대의 학생이었던 바비 헨더슨이 창시한 종교다. 2005년 캔자스주 교육위원회가 지적 설계론도 교육과정에 포함하자고 주장하자, 신 같은 초월적 존재를 주장하고 싶으면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도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하며 창시하였다. 원래 존재하던 종교들을 풍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삼고 있으며 기존 종교의 요소를 따와 종교 교리를 주장하고 있다.


FSM에서 스파게티 괴물을 그려 놓은 모습을 보면, 스파게티 괴물은 스파게티 면발 뭉치와 2개의 미트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위로 촉수처럼 눈이 튀어나온 모습을 하고 있다. 종교 교리로는 면식의 생활화 진화의 근거로 제시된 것은 날아다니는 스파게티가 조작한 것 해적은 가장 성스러운 존재이니 경배할 것 아멘 대신 라멘이라고 기도할 것 등이 있다. FSM은 대부분 다른 종교가 주장하는 허구적 내용을 풍자하는 데 쓰이지만, 이것을 정말 종교로 믿고 숭배하는 사람 또한 존재한다. FSM 신자는 날이 갈수록 늘어가기 때문에 FSM 또한 종교로서의 입지를 점점 키워나가고 있다.


이것은 사람이 급조한 종교이기 때문에 종교라고 말할 수 없다는 주장이 많다. 그러나 FSM은 실제로 종교의 요소인 ▷초월적인 능력을 가진 절대자 ▷사람이 따르도록 지정된 교리 ▷믿는 신자 등이 전부 존재하기 때문에 종교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이런 점 때문에 유일신을 믿는 종교 등에서는 FSM으로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FSM은 현대의 사람들이 종교를 다시 되돌아볼 수 있게 해 준다. 초월한 존재를 어디까지 믿어야 하는지, 사람이 만든 것은 종교가 아닌지 등의 의문과 FSM은 밀접한 연관이 있다. FSM을 어떻게 믿고 어떻게 부정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면서 종교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어떻게 믿어야 하는지를 다시 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면 좋겠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염정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9기김수현기자 2018.10.10 08:42
    무신론과 반신론 그리고 재미있는 방식의 풍자까지! 생각을 펼치는분들이 존경스럽고, 넘치는 창의력에 감탄합니다
    다른 종교에서도 의미있게 받아들이길 바래요
  • ?
    8기박시은기자A 2018.10.14 16:13
    신기하네요 이런 종교가 있는지 몰랐는데 재미있는 이론으로 만들어진 것같아요 그림 너무 좋았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610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568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0145
'코이카'를 통한 청년 해외 일자리 찾기 6 file 2016.02.25 강지희 18312
책소개 - 미움 받을 용기 1 file 2016.09.26 이지은 18317
작지만 큰 나라 대만 - 명소5선 1 file 2016.03.26 이다연 18319
흰색 머리카락, 노화가 아니다! 2018.04.02 김동희 18325
팬 만들려다 팬 잃고 돌아간 최악의 유벤투스 내한 경기 2 file 2019.08.02 백휘민 18331
힐링의 끝판왕, 베트남 달랏의 메링 커피 농장 2 file 2019.02.27 최상선 18336
"인정?" "어 인정~" 지금은 급식체 열풍 1 file 2017.11.27 이지우 18337
희망의 섬 제주에서 8?15 행사를 주최하다. file 2017.10.02 문재연 18342
굿네이버스, 가족그림편지쓰기대회 개최를 시작하다 file 2016.08.22 김가흔 18343
날아다니는 스파게티 괴물, 종교란 무엇인가 2 file 2018.10.01 염정윤 18347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8348
<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 나눔 운동> 봉사 및 발대식 file 2016.10.31 정수민 18357
배려와 동행 함께하는 인천 국제 하프 마라톤 대회 file 2016.03.28 오시연 18360
[오피니언] 바보야, 문제는 법이야. 법은 생명(동물)을 존중하지 않는다. file 2016.08.22 오성용 18361
'천국의 아이들'과 함께 만드는 천국의 소리 file 2016.04.11 심세연 18366
세상을 조금씩 변화시키고 있는 냄비근성 2 file 2017.03.25 신유나 18369
정월대보름, 다양한 지역축제 7 file 2016.02.22 장정연 18371
'한국의 우주공학과 천문학의 미래를 책임질 대한청소년천문우주공학회' 학술회 개최 7 file 2017.02.21 양민석 18373
눈과 귀가 모두 호강하는 '반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 1 file 2016.03.25 최민지 18376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file 2021.08.09 이인황 18376
반지 사이즈를 알고 싶다고? ‘링게이지’ 1 file 2020.07.03 손서연 18379
2019 세계 뇌주간 행사 '뇌로 떠나는 여행' 광주 개최 file 2019.03.28 유수진 18381
석유에서 문화로, '문화비축기지' 1 2017.12.26 안지수 18399
너의 시작을 응원해! 실패해도 괜찮아, '대구 어울림마당' 개최 file 2019.04.22 전수현 18399
'아이돌 마케팅', 건강한 소비생활을 위협하다 2 file 2018.02.02 한채은 18400
'너의 이름은.' 200만명 돌파, 급 일류 열풍? 9 file 2017.01.24 전예인 18401
베이킹소다의 변신! 천연세탁세제 file 2017.10.30 홍유빈 18410
일상 속의 숨쉬는 역사, 김해 율하유적공원을 찾아가다. file 2017.12.18 최희수 18423
분데스리가의 '50+1' 정책, 과연 디딤돌인가? 장애물인가? file 2020.08.24 남상준 18425
제26회 포항 어린이날 큰잔치 2019.06.04 11기김정규기자 18426
기적의 역주행을 보여준 브레이브 걸스의 '롤린' file 2021.03.10 김예슬 18431
<어벤져스 : 인피니티 워>, 모든 마블 히어로들의 등장 file 2018.06.25 나인우 18434
부르카와 부르키니로 생각해보는 진짜 존중 1 file 2016.08.25 한서경 18437
대한민국의 캡틴 기성용에 대해 파헤쳐보자! file 2017.06.21 어일선 18440
KOICA 지구촌체험관 제4기 청소년 도슨트 file 2016.07.25 손제윤 18447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춘천 청소년들의 '날갯짓' 4 file 2017.10.19 박예진 18460
우리들의 감성을 일깨울 치아문단순적소미호(致我们单纯的小美好) 2 file 2018.07.23 최아령 18467
끊임없이, 끊김없이 1 file 2020.08.31 정미강 18471
작은 컴퓨터, 아두이노 1 file 2016.04.10 정연경 18476
ADRF 번역봉사동아리 '희망드림' 6기 출범 4 file 2017.03.16 박소윤 18480
충청남도 청소년이 생각하는 충남의 인재란? file 2017.11.17 오세민 18481
맛과 멋이 있는 곳! 순천 푸드 아트 페스티벌 1 2017.06.06 이소명 18484
서울 한복판에서 한번 신명나게 놀아보세! 2 file 2016.05.03 이채은 18492
현실을 직시하라, 박서련 장편소설 '마르타의 일' 1 file 2020.05.04 김가원 18503
기다려도 오지않는 엠블런스 1 file 2016.08.30 최호진 18509
향수를 부르는 대구문학관 향촌문화관 file 2016.05.22 박지영 18512
청라국제도시의 새로운 교통망, GRT 2 file 2018.02.28 고동호 18513
위로받고 싶은 당신에게, <보노보노처럼 살다니 다행이야> 1 file 2019.03.25 최가온 185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