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by 8기박시현기자 posted Sep 28, 2018 Views 120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시간이 계속해서 흘러도 사라지지 않았고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문제 중 하나는 인종차별이다.

인종차별이란 세계의 사람들을 여러 인종으로 나누고, 특정 인종에 대하여 불이익을 주는 것을 말한다.

 

서양으로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람 102명을 조사한 결과 13.1%가 인종차별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그중 한 피해자를 인터뷰했다. 그녀는 영국에서 여행 중 한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 위해 20분 정도 밖에서 기다렸다. 하지만 서양인은 기다리지 않고 식당 측에서 바로 자리를 내주었다. 그녀는 동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식당에 자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식당 입장을 거부당한 것이다그들은 스스로 식당을 선택할 권리인 자유권을 침해당하였다. 또한 피해자가 언급하길 영국의 현지인이 동양인을 향해 손가락질하고 면전에서 욕을 했다고 하였다.

 

외국에서 한국인들이 인종차별을 당하는 사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한국에서도 외국인 노동자를 비롯한 많은 외국인들을 차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는 인종차별을 처벌하는 법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서 인종차별을 당하더라도 가해자는 단순 폭행 등으로 처벌될 뿐 인종차별 관련 법에 의해서 처벌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인종차별을 당하는 사람들은 그들 스스로 차별받고 있음을 느꼈으므로 사회적 소수자라고 명시할 수 있다. 사회적 소수자들을 향한 비난과 멸시는 현대 사회에서 많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하지만 결코 사라지지 않았으며 해결해야만 하는 국제적 문제이다.

 

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개인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우리 스스로가 이중적 잣대를 버리는 것이 있다. 이에 더불어 국가적 차원의 노력으로는 인종차별 처벌 관련 법을 만들고 학생들에게 다문화 교육을 강화하는 것 등이 있다.

 

모두가 글로벌 사회라고 말하고 있는 지금, 인종차별이라는 단어가 남아있다는 것이 일종의 모순 아닐까.


44e5fa49ad480d0d50a001d8cb8d7a19.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박시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8기 박시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8기채유진기자 2018.09.30 00:41
    우리 한국의 시민인식이 점차 향상되며 인종차별 문재도 해결되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8기김혜빈기자 2018.10.06 12:59
    인종차별 없는 그날, 저도 참 기대하고 있어요!! 기사 잘 보고 갑니다.
  • ?
    9기김민성기자 2018.10.27 03:00
    과거부터 현재까지 지속되어온 인종차별문제. 이제는 놀랍지도 않게 된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다시금 인종차별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우리 전지구인이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는 하도 많이 들어 무감각해진 인종차별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금 일깨워 준 좋은 기사 잘 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75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487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8831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623
한국사 국정교과서, 역사 왜곡 논란에도 결국.. 2 file 2017.02.21 이주은 18285
한국문학의 거장, 최인훈 떠나다 file 2018.07.25 황수환 1028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236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078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997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508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1045
한국, 백신 부족 해소돼 ‘위드 코로나’ 준비 2 file 2021.10.25 안태연 9074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993
한국 해군의 경항모에 제기된 의문들과 문제점 file 2021.02.22 하상현 12029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879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198
한국 첫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1차 선거 통과 file 2020.09.23 차예원 11851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017
한국 남성, 일본 여성 폭행... 과연 반일감정? 1 file 2019.09.26 김지은 10223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16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1022
한결 나아진 무더위, 안심할 수 있을까? file 2018.08.22 안혜민 10897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302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243
한·중 수교 25주년, 사드에 한중관계 흔들 file 2017.09.01 한결희 10571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956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949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0968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799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4242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505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714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2970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1956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078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497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536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145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116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187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1022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117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822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745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842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169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898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029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613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729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10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