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by 8기서호진기자 posted Sep 27, 2018 Views 1485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캡처.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서호진기자]


욱일기란?

욱일기는 일본 국기인 일장기 가운데에 위치한 태양을 상징하는 빨간 문양에서부터 16개의 줄기가 햇살로써 형상화가 된 군기이다. 욱일기는 과거 일본이 다른 나라를 침략했을 때 일본의 육군과 해군이 전쟁에서 사용한 군기로 일본의 제국주의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의 침략을 받아온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욱일기를 보고 분노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다.


슷했던 과거... 그러나 다른 현실

독일 나치를 상징하는 하켄크로이츠가 들어간 나치기와 욱일기의 공통점부터 찾아보자면 두 나라 모두 전쟁범죄국가 즉, 전범국에 해당하는 나라로서 이 두 개의 깃발이 전범기로 분류된다는 점이다. 그러나 두 국가 사이에 발생한 차이점은 과거의 저질렀던 잘못들에 대하여 얼마나 죄책감을 가지고 전범기를 바라봤는가에서 현저하게 드러났다.

종전 후 독일은 '반나치 법안'을 통해 나치의 상징인 '하켄크로이츠'가 들어간 깃발, 군복, 나치식 경례 등의 사용이 법적으로 금지되었다. 이를 어길 시 3년 이하의 징역형이나 벌금형에 처해지게 된다고 법안에 분명히 명시되어 있기도 하다. 덧붙여 독일 내에서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나치와 관련된 것들이 상징하고 있는 바를 잘 인식하고 사용을 금기시하고 있다. 실제로 그리스에서 활동했던 요르기오스 카티디스라는 축구선수는 나치식 인사로 보일 수 있는 세레머니를 행했던 이력이 있는데 이 일로 인하여 많은 여론의 질타를 받았고 결국 그리스 축구협회에서 영구 제명당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는 독일과 사뭇 달랐다. 일본이 2차 세계대전에서 항전한 이후 욱일기는 완전히 사라졌던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1954년, 일본의 자위대가 생겨나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가 욱일기를 살짝 다르게 변형하여 사용하게 되면서 욱일기는 또다시 쓰여지기 시작되었다. 이후 기업들이 욱일기가 들어간 상품을 만들고 일본 내외의 일반 사람들도 이를 아무런 거리낌 없이 소비했다. 결국 욱일기 사용이 왜 잘못인지조차 망각된 현실이 도래하고 만 것이다.

 

이젠 우리들이 나서야 할 때

일념통안(一念通巖)이라는 말이 있다. 정신을 집중하면 화살이 바위를 뚫는다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하면 때로는 믿을 수 없을 만한 큰 힘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우리는 욱일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곳에 집중해야 할까.

그것은 바로 욱일기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알고 더 나아가 알리는 태도이다. 실제로 얼마 전 한국의 축구팬들이 힘을 합쳐 욱일기 사용 문제를 바로잡은 사건이 있었다. 현재 영국 프리미어리그 축구팀 ‘리버풀’로 이적한 축구선수 ‘나비 케이타’의 팔뚝에 선명하게 새겨져 있던 욱일기 문신을 선수 본인의 의지로 고치게 한 것이다. 케이타의 사진에서 발견된 욱일기는 한국 축구팬들 사이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 축구팬들은 이 사건을 보고만 있지 않았다. 리버풀 공식 서포터즈 클럽 안필드코리아는 케이타의 문신에 대해 리버풀에 정식으로 항의했다. 또한 다른 축구팬들도 케이타와 타투이스트에게 욱일기의 의미에 대해 SNS를 통해 알렸다. 이에 케이타선수는 욱일기 모양을 단순히 ‘햇살’로 인식하고 했다고 전하며 얼마 지나지 않아 문신을 수정했다. 이 사건은 언론으로 전달되어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욱일기 사용의 문제성을 알게 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했다.

                                             
올바르지 않은 것을 올바르게 바꿀 수 있는 원동력은 올바르지 않음을 아는 것으로부터 나온다. 우리의 하나 된 노력이 집중되어 화살로써 발휘된다면 바위처럼 굳어진 현재 욱일기 사용문제를 꿰뚫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8기 서호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9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24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551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193
원자력의 두 얼굴? 뭐가 진짜 얼굴인지 알고 있잖아요! 7 file 2017.02.12 박수지 17164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7153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7137
나비 달기 캠페인과 함께 하는 위안부 서명운동 4 file 2016.04.09 오시연 17136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115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7112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7110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7100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7090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7088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7083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7083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7070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7067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054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7050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7049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7049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7044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7033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7033
김정남 암살, 그 이유는? 북한 이대로 괜찮은가 1 2017.03.02 조영지 17014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7009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7005
고속버스 시내버스…. 심지어 통학 버스도 음주운전 기승 6 file 2016.03.26 최희수 17002
벽화,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진 않습니까? 2 file 2016.03.24 이하린 16994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6986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980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6965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964
'독서실', '스터디카페' 코로나19 방역 거대 구멍 1 file 2020.03.31 박지훈 16949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6945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943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915
4차 민중총궐기, 서울광장에서 진행 5 file 2016.02.27 황지연 16913
대보름과 함께 떠오른 민중의 목소리 2 file 2017.02.12 오지은 16907
당신은 가해자입니까? 아니면 정의로운 신고자입니까? 10 file 2016.02.23 김나현 16905
일주일 또 미뤄진 '등교 개학'...개학 현실화 언제? 7 file 2020.05.12 서은진 16897
美 4월 환율조작국 발표…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file 2017.03.21 정단비 16885
공동주택 거주민들을 떨게하는 무시무시한 그 이름 "층간소음" 10 file 2017.02.21 류서윤 16883
통제불가 AI... 결국 서울 '상륙' 2 file 2017.02.05 유근탁 16860
소셜그래프, 청소년 도박 중독의 시작 file 2019.06.13 양재성 16842
이집트 대통령 17년만에 방한 2 file 2016.03.18 이아로 16820
비추는 대로 봐야하는가, 언론의 신뢰성 문제 3 file 2016.05.25 김영경 16803
삼성 휘청: 삼성 이재용 부회장 결국 포승줄에 묶이다 file 2017.02.21 송경아 16796
'합리적인 금리' 라 홍보하는 이자율 27.9% 2 file 2017.02.13 최민주 16793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7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