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9.1절'에 맞붙은 숙명의 라이벌, 마지막에는 한국이 웃었다

by 김하은대학생기자 posted Sep 05, 2018 Views 1467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흔히 일본에게는 가위바위보도 지면 안 된다라는 말을 하곤 한다. 그 말에 일치하듯 지난 91,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의 대한민국은 메달 결정전에서 만난 일본을 상대로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해피엔딩을 맞이했다.

 

첫 번째는 여자 배구 동메달 결정전이었다. 준결승전에서 각각 태국과 중국에 패한 대한민국과 일본이 이번 대회 여자배구의 마지막 메달을 두고 경기를 치렀다. 1세트와 3세트는 대한민국이, 2세트는 일본이 경기를 이끌어갔다. 운명의 4세트, 먼저 앞서가던 나라는 대한민국이었다. 하지만 16:7부터 계속된 일본의 공격을 막아내지 못하며 23:23까지 만들어졌다. 이후 1분이 넘게 지속된 랠리 끝에 대한민국이 매치 포인트를 만들었고, 두 번의 듀스 끝에 한국이 4세트를 가져가며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 이어 2연패를 해 볼 것이라는 대표팀의 목표는 이룰 수 없었지만, 일본에게 아시안게임 2연속 노메달을 안겨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대한민국 여자배구 대표팀의 차해원 감독은 김연경(엑자시바시, 31)과 이효희(한국도로공사, 39) 포함 주전 선수들을 조별 예선과 8강에서 교체도 없이 기용하며 체력을 소진시켰다는 점이 4강 태국과의 경기서 확연히 드러났고, 경험 축적을 위해 대표팀에 승선했던 강소휘(GS칼텍스, 22)고등학생 3인방박은진(선명여고, 19)과 이주아(원곡고, 19), 정호영(선명여고, 18) 등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 곧 있을 세계선수권에는 더욱 효율적인 엔트리 선발과 기용으로 더 좋은 성적을 내리라 기대해본다.


KakaoTalk_20180904_214649797.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김하은기자]


두 번째는 야구였다. 야구 대표팀은 대회 시작 전부터 있었던 오지환(LG, 29)-박해민(삼성, 29)의 병역 혜택과 관련된 여러 논란을 딛고 결국 결승에서 일본을 상대로 30 승리를 거두었다. 선발 투수로 등판한 양현종(KIA, 31)6이닝 동안 6개의 삼진을 잡는 등 무실점으로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 또한 1회 말 안치홍(KIA, 29)2타점, 3회 말 박병호(넥센, 33)의 솔로 홈런이 터지며 금메달을 확신하였다. 한국야구는 이번 대회를 포함하여 아시안게임 3연패라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이번 대회 내내 1번 타자로 경기를 나서며 좋은 성적을 내주었던 이정후(넥센, 21)2002 부산 아시안게임서 금메달을 딴 아버지 이종범(MBC스포츠 플러스 해설위원, 49)과 함께 한국야구 사상 최초 부자(父子) 금메달리스트라는 기록을 남기게 되었다. 하지만 대표팀은 금메달로도 이미 돌아선 국민들의 마음을 돌릴 수는 없었다. 축하받지 못한 승리였다.

 

마지막은 남자 축구가 대미를 장식했다. 대한민국은 4강전에서 UAE를 꺾고 올라온 일본과 결승전을 치렀다. 한국은 와일드카드(3명의 24세 이상 선수들을 기용할 수 있는 제도)로 월드 스타 손흥민(토트넘 홋스퍼, 27)2018 러시아 월드컵의 최대 수혜자 GK 조현우(대구, 28), 이번 대회 최고의 활약을 보여주었던 황의조(감바 오사카, 27)가 함께했지만 상대 일본은 와일드카드를 사용하지 않았다. 쉽게 풀 수 있을 것이라는 외부 예측과는 달리 90분 동안 여러 번의 기회를 아깝게 놓치며 득점을 하지 못했다. 경기는 연장전에 돌입하였고, 연장 전반 3분 손흥민이 김민재(전북, 23)의 패스를 받고 돌파한 후 이승우(헬라스 베로나, 21)가 선제골을 만들었다. 이어 11분 손흥민의 프리킥을 받은 황희찬(함부르크, 23)이 헤딩골로 쐐기를 박았다. 연장 후반 일본이 골을 기록하며 추격을 시도했지만 이를 견뎌낸 대표팀은 금메달을 획득하며 총 5회 아시안게임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 되었다. 남자 축구 역시 인맥 축구라는 논란 속에 대회를 시작하였지만, 좋은 경기력으로 국민들의 비난을 응원으로 바꿔내며 최고의 찬사를 받고 있다. 지난 러시아 월드컵에 이어 이번 아시안게임은 축구에 대한 계속된 관심을 갖게 하는데 충분했다. 대기록과 함께 얻은 군 면제는 선수들의 좋은 활약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대표로 뛰는 선수들에게 한일전이란 의미가 남다를 것이다. 특히나 이번 아시안게임 중 메달 결정전에서 일본을 상대로 승리한 것은 기쁨이 두 배일 것이다. 이 모든 것이 91일에 일어나며 사람들은 이날을 ‘9.1이라 부르고 있다. 물론 기쁘지만 이번 대회 일본이 전체 2위를 기록하며 우리나라는 24년 만에 아시안게임 3위의 성적을 기록하였다. 이 기쁨에 취해 잊어버리지 말고 반드시 보완하여 다시 한번 일본을 꺾을 수 있는 대한민국이 되길 기대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김하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75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212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7149
왜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할까. 3 2017.09.20 박수지 15971
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엔 구름이 많을까? 3 file 2017.03.24 김가영 17268
왜 가을 하늘은 높고 푸를까? 1 file 2017.10.18 김나경 21444
왕의 애민사상을 엿볼 수 있는 음식, 설렁탕 3 file 2017.03.23 박예은 17753
왕의 걸음으로 걷는 창덕궁 file 2017.03.19 정유진 13344
왓챠, 새 스트리밍 서비스의 장을 열다 3 file 2016.05.24 이지원 23543
완성된 축제. 그리고 더욱더 발전할 축제 '고로쇠축제'! 2018.03.28 권순우 13877
완벽함만을 추구하던 한 사람이 낳은 비극, '라플라스의 마녀' 9 file 2017.02.20 정지윤 17212
와인계의 혁명, 빈 퓨전 (Vinfusion) file 2017.03.20 이소영 14042
와이파이가 잘 안 잡힌다고? 알루미늄 캔 하나면 끝! 2 file 2017.09.20 박성윤 36013
올해의 프로야구, 누가누가 잘했나~ file 2016.12.23 김나림 16007
올해의 컬러, 클래식 블루 4 file 2020.03.02 천수정 13842
올해의 마지막 청소년어울림마당! 1 file 2019.11.25 심재훈 14613
올해는 보다 특별한 핼로윈 1 file 2020.11.04 김준희 12948
올해 여름철 무더위는 '울진해양캠프'로 해결 file 2018.08.17 정다원 13479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9480
올해 1만 3955명 LEET 응시자 역대 최다, 취업난으로 인한 취업 대신 전문직 준비 중 file 2021.07.06 이승열 29591
올여름 더위를 식힐 필수품, 미니 손 선풍기 2 file 2018.08.27 조수진 15619
올바른, 안전한 성 문화를 위한 ‘프리 콘돔 데이’ file 2017.08.25 이정원 14661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1779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9456
올림픽의 열기는 어디로... '난장판' 되어버린 'IBK 기업은행 배구단' 1 file 2021.12.29 신현우 10047
온택트로 활성화된 동아ST 환경교육 2021.03.02 이수민 10715
온종합병원과 필리핀 소년의 아름다운 콜라보 4 file 2017.02.26 김수진 14120
온라인으로 찾아가는 청년 멘토링 축제...'MBN Y포럼 2022' 16일 유튜브서 방송 1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10182
온라인으로 떠나는 핀란드 여행 1 file 2021.01.22 김상현 14061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1회 국가통계방법론 국제 심포지엄 file 2021.10.01 김민경 10176
온라인 클래스 온클, 의무이지만 학교의 인강화는 우려 2 2020.10.20 문서현 19143
온라인 수업 장기화, 학생들의 생각은? 1 file 2020.10.05 조윤아 12785
온라인 쇼핑 플랫폼, MZ 세대의 놀이터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21.07.30 전인애 13259
온가족과 함께하는 2022 게임문화제, 에버랜드서 개막 file 2022.11.11 이지원 8765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집콕 게임’이 있다? 3 file 2020.06.01 신준영 14895
오픈런 연극, 웃음과 혐오 사이 file 2019.03.04 이채은 15403
오프라인 서점이 고전하는 이유 file 2017.06.28 현소연 15248
오징어 게임 마케팅 전략 이대로 통하나 file 2021.10.25 박서빈 11354
오싹한 핼로윈, 놀이공원에서 즐겨요! 3 file 2017.10.27 김수인 15220
오사카에서 400년의 세월을 느끼다 1 file 2017.02.25 김민진 14199
오사카, 나라와 교토를 다녀오다 file 2016.10.23 김태윤 17017
오사카 꼭 가야할 곳 TOP3 2 file 2019.03.26 하늘 18966
오베르 쉬즈 우아즈에서 고흐의 발자취를 따라 걷다 4 file 2017.06.21 이현지 16434
오리지널을 뛰어넘는 바이오시밀러 9 file 2016.02.29 권용욱 16352
오로라를 품은 땅 스웨덴 키루나, 그 이면의 문제점 1 file 2021.03.29 문신용 21145
오뚜기, 국내 농가와의 상생 위한 ' 한국 농업 상생 발전 프로젝트' 시작 file 2022.10.30 이지원 9842
오두환 오케팅연구소 대표, 27일 '꿈을 찾는 사람들'서 퍼스널 브랜딩 무료 강연 file 2022.12.16 이지원 9312
오늘따라 더 행복한 소리가 들렸던 것 같은 그 곳, '프란치스코의 집' file 2016.05.22 심세연 17595
오늘, 궁을 만나다 file 2016.05.01 전지우 18830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file 2017.11.07 김다은 16191
오는 6월, 중국 칭다오 여행 자제해야 2018.05.25 이준수 17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