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무더운 여름, 예민해진 눈, 내가 지킨다!!

by 3기구민주기자 posted Jul 19, 2015 Views 227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여름을 맞아 휴가와 같은 야외활동을 즐기면서 사람들과 접촉하는 일이 많아지고 항상 그래왔듯이, 전염성 질병들이 유행하고 있습니다. 무더운 더위와 장마가 반복되는 여름, 우리의 눈은 날씨와 대기 상태의 영향을 받아 더 예민해집니다. 여름철 유행성 눈병은 유행성 각결막염, 급성출혈결막염(아폴로 눈병), 급성 인두결막염(풀염) 등이 있습니다. 잠복기가 비교적 짧고 호전도 빠른 다른 유행성 눈병과 다른 유행성 각결막염은 강력한 전염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 눈병은 지난해보다 70% 가까이 늘었고 지금도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고 합니다.


눈에 발생하는 질병은 세균성, 진균성, 바이러스성, 알레르기성, 화학성 등 다양한 원인이 있습니다. 유행성 각결막염은 우리의 눈을 외부에서 감싸고 있는 조직인 결막에 아데노 바이러스에 의한 염증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주요 원인인 아데노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아주 강하기 때문에 직접 접촉 뿐만아니라 수영장 물과 같은 간접 접촉으로도 전염됩니다.또한 유행성 각결막염은 감염 후 치료를 해도 면역력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언제든지 다시 감염될 위험이 있습니다.


감염이 의심된다면 안과를 찾아 염증과 충혈을 완화해주는 점안액을 사용하고 2차 감염을 줄이기 위한 광범위 항생제를 넣어줘야 합니다. 환자들은 안과에 가서 예방을 했어도 이와 같은 생활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특히 학생들은 여름방학을 맞아 TV나 컴퓨터를 장시간 즐기곤 하는데, 이 행동은 우리 눈의 피로도를 증가시킵니다. 어른들은 무엇보다 술을 멀리 해야합니다.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술은 눈병이 회복되는 시간을 늦추고 더욱 악화시킵니다. 또한 집에서 많은 시간을 같이 보내는 가족들의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함께 사용하는 수건, 베게를 따로 쓰고 생활 영역을 격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올바른 손 씻기 6단계 <출처: 범국민 손 씻기 운동 본부>


유행성 각결막염은 약 일주일의 잠복기를 거쳐 발병하게 되어 약 한달이 지나면 후유증 없이 치유되지만 염증으로 인해 시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감염이 된다면 생사가 걸린 심각한 증상을 일으키진 않지만 한달동안 질병이 지속되기 때문에 생활이 불편해 집니다. 가만히 있어도 더운 여름에 걸리는 유행성 눈병을 막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거의 모든 유행성 질병이 그렇듯, 예방의 우선순위는 바로 위생입니다. 손만 잘 씻어도 감염병 70%는 예방됩니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는 피하는 것이 좋지만 나갔다 오더라도 손을 자주 씻고 청결을 유지해야 합니다.손을 씻을 때에는 향균 성분이 포함된 비누나 세정제를 사용해 흐르는 물로 올바른 방법에 따라 씻는다면 남아있는 세균의 약 99.8%를 제거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번 여름방학에 더위에 지친 학생들과 어른들도 모두 빠짐없이 손을 자주 씻어 건강하게 여름을 즐기기 바랍니다.


출처<http://tongblog.sdm.go.kr/346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

LSD&mid=shm&sid1=103&oid=056&aid=0010197731>


edith0525@naver.com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기 구민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조혜인기자 2015.07.21 21:29
    요즘 눈이 간지럽고 아파서 들어왔어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갈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96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8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794
플라스틱 폐기물에 전 세계가 몸살 file 2019.08.05 유승연 13752
플레디스 유튜브 계정 통합. 팬들의 의견은? file 2019.01.03 김민서 13946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1418
피로 물든 광주, 진실은 어디에? file 2019.05.24 안서경 11985
피스가드너,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제1266회 수요시위를 찾다. 8 file 2017.01.19 이민지 29361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696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897
피해액만 200억 원! 필라델피아, L.A. 등의 한인 상점 약탈 file 2020.09.23 심승희 10797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216
필리핀 네티즌, 한국을 취소하다? 1 file 2020.09.15 황현서 10117
필리핀 코로나 상황 속 한국 교민들 file 2021.09.14 최윤아 7616
필리핀,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file 2022.01.28 최윤아 8005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382
하나된 한반도, 눈부신 경제성장 6 file 2018.05.23 박예림 19209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902
하늘의 별 따기인 교대 입학..... 임용은 별에 토끼가 있을 확률? 1 2017.08.11 박환희 13011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326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937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443
하와이, 38분의 공포 4 file 2018.01.22 전영은 11525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345
학교가 가르치는 흡연 2 file 2019.05.24 김현지 16253
학교에서 거부한 교과서 '국정교과서' 11 2017.02.14 추연종 17868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1 file 2017.09.21 이우철 18337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1737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1183
학교폭력, 우리가 다시 생각해 봐야 하는 문제 file 2021.03.26 김초원 8808
학기중? 방학? 학생들의 말못할 한탄 18 file 2017.02.15 김서영 16714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152
학생 안전의 대가는 交通混雜(교통혼잡) 1 file 2016.04.20 한종현 17005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53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4942
학생들을 위한, 9시 등교제 2014.09.24 권지영 23842
학생들의 건강, 안녕하십니까 2 file 2016.07.23 김다현 16970
학생들의 선택할 권리 file 2016.07.24 이민정 16229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1132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3 file 2015.05.05 박성은 30309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303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244
학생의 안전을 위협하는 골프장 건설 4 file 2015.03.17 김다정 29647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651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198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2067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3 file 2016.05.23 이은아 23081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824
한 달 넘게 이어지는 투쟁, 대우조선 매각 철회 촉구 농성 file 2021.04.13 김성수 7628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4379
한 사람에게 평생의 상처를 남긴 수완지구 집단폭행 사건 3 file 2018.05.25 박한영 149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