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갤럭시 노트9이 아닌 노트8.5였다

by 8기윤주환기자 posted Aug 20, 2018 Views 3342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갤노트9.jpg

▲삼성 갤럭시 노트9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지난해 8월 24일 삼성 갤럭시 노트8이 공개된 이후 약 1년 만인 올해 8월 9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브루클린 바클레이스 센터(Barclays Center)에서 열린 '삼성 갤럭시 언팩 2018'에서 갤럭시 노트9을 공개했다. 작년 공개된 갤럭시 노트8에서는 듀얼 카메라, 인피니티 디스플레이, 삼성 덱스 등 많은 변화를 보여주었다. 그렇다면 올해 공개된 갤럭시 노트9은 어떤 변화를 보여주었을까?


앞면.png

뒷면.png

     ▲(좌) : 갤럭시 노트8                               (우) : 갤럭시 노트9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이번 갤럭시 노트9은 전작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전면 디자인은 거의 바뀐 점이 없어 두 제품을 놓고 보면 구분하기 힘들 정도이다. 후면 디자인 역시 약간 바뀐 카메라 모듈과 지문인식 센서의 이동 외에는 달라진 점이 없었다. 삼성전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지문인식 센서의 이동은 사용 시 더 편리하게 하기 위해서 이동"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사용해본 바로는 전작에서처럼 세로로 배치한 것이 더 사용하기 편리하였다. 이번 갤럭시 노트9은 지문인식 센서가 가로로 되어 있는데 이 때문에 지문이 스캔되는 영역이 더 줄어든 것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전체 스펙에서는 얼마나 바뀌었을까? 아래 표는 갤럭시 노트8과 노트9의 상세 스펙이다.


구분 

 갤럭시 노트8

 갤럭시 노트9

 크기&무게

 162.5x74.8x8.6mm

195g

 161.9x76.4x8.8mm

201g

 디스플레이

 6.3" 슈퍼 아몰레드

쿼드 HD+ (2960x1440)

521ppi

 6.4" 슈퍼 아몰레드

쿼드 HD+ (2960x1440)

516ppi

 전면카메라

 800만 화소 AF ( F1.7)

 800만 화소 AF ( F1.7)

 후면카메라

 듀얼카메라, 듀얼OIS

광각 : 1200만 화소 AF (F1.7)

망원 : 1200만 화소 AF (F2.4)

 듀얼 카메라, 듀얼 OIS

 듀얼 조리개

광각: 슈퍼 스피드 듀얼 픽셀

1200만 화소 AF (F1.5 / F2.4)

망원 : 1200만 화소 AF (F2.4)

 AP

 64bit, 10nm 프로세서

옥타코어

(최대 2.3GHz + 1.7GHz)

옥타코어

(최대 2.35GHz + 1.9GHz)

 64bit, 10nm 프로세서

옥타코어

(최대 2.7GHz + 1.7GHz)

옥타코어

(최대 2.8GHz + 1.7GHz)

 메모리

 6GB RAM(LPDDR4)

64 / 128 / 256GB 내장메모리

마이크로SD (최대 256GB)

 6GB RAM(LPDDR4)

128GB 내장메모리

마이크로SD (최대 512GB)

8GB RAM(LPDDR4)

512GB내장메모리

마이크로SD (최대 512GB)

 배터리

  3,300mAh

 4,000mAh

 OS

  안드로이드 7.1.1

 안드로이드 8.1

네트워크 

 LTE Cat.16

4X4 MIMO, 4CA

 LTE Cat.18

Enhanced 4X4 MIMO, 5CA

 삼성페이

 NFC, MST

 NFC, MST

 인증

 홍채, 지문, 얼굴, 패턴,

핀, 패스워드

 인텔리전트 스캔,

 홍채, 지문, 얼굴, 패턴,

핀, 패스워드

 방수·방진

  IP68

  IP68

 

 삼성전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이번 노트9에서는 카메라와 RAM의 변화"가 강조되었는데 이것 외에는 그렇다 할 변화가 없다. 물론 전체적인 스펙에는 약간씩 변화를 주었으나 큰 변화는 아니라고 보며 실제 사용할 시에도 차이를 느끼지 못했다. 매년 출시되는 제품의 숫자가 올라가면서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보여왔지만 갤럭시 노트9에서는 넘버링을 충족하지 못한 점이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기기 무게의 앞자리가 바뀌었지만 크기가 커진 것에 비해 크게 무거워지지 않은 것은 개인적으로 칭찬하는 부분이다.


갤럭시 spen.jpg

갤럭시 노트9의 S펜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윤주환기자]


 삼성 갤럭시 노트 시리즈는 기존의 스마트폰에 S펜을 더하여 패블릿 시장의 새로운 막을 올렸다. 그런 만큼 S펜은 갤럭시 노트의 중요한 요소이다. 갤럭시 노트9은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고 하지만 S펜에서만큼은 많은 변화를 꾀하였다. 지금까지의 갤럭시 노트 시리즈에서 S펜에서는 약간의 성능 개선 말고는 별다른 변화를 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갤럭시 노트9의 S펜 내부에는 저전력 블루투스가 추가되어 S펜으로 리모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를 넘기고 사진을 찍고 동영상을 재생 또는 일시정지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했다.


 갤럭시 노트의 이용자들 중에서 S펜을 거의 쓰지 않는 이용자가 있는가 하면 S펜 때문에 갤럭시 노트 시리즈만을 써온 이용자들도 있다. 후자의 경우 이번 갤럭시 노트9을 사용함으로써 만족도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품의 그렇다 할 변화는 없어도 S펜이 강화된 점과 내실을 좀 더 굳건히 한 점은 외신에서도 극찬을 받고 있다.


 갤럭시 노트 시리즈는 2011년 9월 처음 공개된 이후로 패블릿(폰+태블릿)이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다. 매년 하반기 공개되는 갤럭시 노트는 공개될 때마다 혁신을 보여주어 두터운 고객층을 유지해왔다. 나흘 전 공개된 갤럭시 노트9도 많은 기대와 환호 속에 출시되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이번 제품에서는 크게 눈에 띌 만한 혁신적 변화는 없었다. 전작에 비해 조금 더 다듬어지고 S펜 기능이 추가되기는 했다만 갤럭시 노트9 하면 떠오를만한 큰 이슈는 없다.


 한편 이달 공개된 삼성 갤럭시 노트9은 13일부터 20일까지 사전판매가 진행되고 오는 24일 정식 출시에 나선다. 갤럭시 노트9의 용량은 128GB, 512GB이며 출고가는 각각 109만4500원, 135만3000원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8기 윤주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8기윤지원기자 2018.08.20 21:55

    평소에 삼성 전자 새로운 휴대폰 출시에 관심이 많았는데, 기사 보고 많이 알게 되었어요 꼼꼼한 기사 잘 보고 가요!

  • ?
    9기이정주기자 2018.08.21 23:55
    새로 출시되는 갤럭시 노트 9는 기존 제품과 스펙이 얼마나 다를까 궁금했는데 이 기사 덕에 궁금증을 풀게 됐어요 감사합니다^^
  • ?
    8기안정섭기자 2018.08.23 17:18
    사실 광고가 나왔을 때 노트 8 이후에 9을 출시하며 특별한 무언가를 광고하기엔 너무 이르다고 생각했는데 덕분에 알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
    8기안정섭기자 2018.08.23 17:18
    사실 광고가 나왔을 때 노트 8 이후에 9을 출시하며 특별한 무언가를 광고하기엔 너무 이르다고 생각했는데 덕분에 알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148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8683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0506
동장군이 찾아왔지만, 청주시 야외스케이트·썰매장 북적거려···· 1 file 2018.02.02 허기범 16191
동작구청 중고생 교복 나눔장터 행사 1 file 2017.02.25 김주영 18206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7439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736
동아리 COY가 주최하는 학교밖청소년 토크콘서트 열려 file 2016.11.25 박성수 15398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1012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7307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658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5372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3582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8926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3492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6500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563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679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3928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2639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4747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4175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8366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4514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533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5983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5953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002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0988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3903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6110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4222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7701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3702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612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4723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5378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8648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6777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9947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2900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5354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4933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618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8001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4743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6341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6493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3685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8045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09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