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청년 실업 대란 속 일본과 한국의 프리터족

by 8기이승철기자 posted Aug 08, 2018 Views 179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80804_23402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8기 이승철기자]


 최근 우리 사회는 청년 실업률이 엄청나다. 이러한 사회 흐름 속에도 청년 세대의 새로운 흐름이 나타난다. 바로 많은 자유시간을 원하는 프리터족이다. 프리터족은 자유롭다는 의미의 형용사 'free'와 임시직을 뜻하는 'arbeiter'가 합성된 말로써 아르바이트 등과 같은 단시간의 일로 돈을 벌어 생계를 유지하고 나머지 자유시간에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을 뜻한다.


 자신의 자유시간을 추구하기 위해 노동하는 프리터족은 현 사회에서 만든 노동조건들을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으로 조절하면서 일하고 싶은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들에게 자유시간 즉, 비노동시간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문화생활 및 스포츠 활동을 하는 것에 쓴다.

 

 사람들은 프리터족들을 니트족과 같은 부류의 인간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들은 완전하게 노동을 포기하고 사회생활을 하는 것에 무기력증을 보이는 니트족과는 완전히 구분된다. 프리터족들은 노동시간과 비노동시간을 철저하게 구분하여 자신의 자유시간을 위해 노동시간을 자신의 상황에 맞게 선택해서 조절한다. 즉, 일하기 위해 노는 것이 아니라 노는 것을 위해 최소한의 일을 한다. 이것이 니트족과 프리터족의 차이점이다.


 그러나, 프리터족을 현 사회의 자본주의의 불균형 구조의 희생자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말하자면, 프리터족을 자율 주체라고 보지 않고, 무한 경쟁 사회에서 뒤처져 탈락한 인간으로 본다는 것이다. 이미 한국에서는 일용직으로 노동시간을 보내는 20대 청년들은 저임금으로 인해서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은 시간을 노동해야 하고, 단순 노동을 반복해야만 하는 악순환의 고리에 빠져 있는 상태이다. 이것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볼 수 있다.


 우리에게 가까운 이웃 나라 일본의 경우, 버블 경제가 붕괴된 이후인 현 사회에서 대략 500만 명에 다다르는 프리터족들이 자본주의 사회에 고용 구조에 들어 있다. 이것 또한, 심각한 사회 문제라고 간주해도 될만한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 속에서 일본에는 한 가지 문화로써 자리가 잡혔다.

 

 프리터족을 자본주의 사회의 낙오자로 보기에는 그들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은 근대 사회의 노동 방식에서 너무 멀어져 있다. 더 많은 비노동시간을 얻기 위해 노동시간을 줄이고 노동하는 시간을 스스로 선택하여 노동하는 삶을 살고 있는 것은 프리터족의 삶의 목적이 일반 사회 구성원들과는 다르게 정규직으로 고용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는 것이다. 즉, 현 사회가 가지고 있지 않는 스스로 선택하는 노동시간을 자신이 직접 조절함으로써 자유시간을 즐기도록 하는 사회 구성원인 프리터족들의 삶에서 사회문제의 대안이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8기 이승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17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731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420
[기자수첩] 특별한 날을 더욱 특별하게 만드는 '레터링 케이크' file 2023.04.11 최승현 12738
영화 '기생충'의 오스카 4관왕 얼마나 대단한 것인가? file 2020.03.13 정호영 12748
간편 결제 수단의 시대: PAY 3 file 2021.07.27 전인애 12753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2759
'○△□' 목숨을 건 게임, 참가하시겠습니까? 1 file 2021.09.28 유예원 12761
당신의 청춘을 불러드립니다. file 2017.03.26 김다은 12765
교육체제가 아닌 교육 제재 2021.04.01 박지은 12766
'국경없는영화제 2018' 지난 23일 개최 file 2018.11.29 이소연 12770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770
2019-2020 UEFA 챔피언스 리그 대망의 결승전, 우승자는 누구? file 2020.09.04 김응현 12771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772
푸르른 5월, 되돌아본는 시간을 갖으며... file 2017.04.28 박현지 12773
[MBN Y 포럼] 청춘에게 희망을! 영웅들이 말하는 성공의 비밀 1 file 2017.02.17 곽다영 12801
시대의 아이콘 블랙핑크, 10월 2일 첫 정규 앨범으로 컴백 예정 file 2020.09.25 김서영 12806
위기의 예술소비시장, 도깨비 책방이 구한다! 2 file 2017.02.24 김현정 12816
조선왕릉 문화제에서 조선의 왕들과 함께 춤을,,, file 2020.10.26 김수현 12816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823
IMUN 그 대망의 시작 file 2020.01.28 엄세연 12824
아동청소년, 정책을 외치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성료 file 2017.10.31 김혜린 12825
GPU에 집중하라 file 2021.06.28 이준호 12825
깨끗한 미디어를 위해, 국제 클린 미디어 컨퍼런스 2 file 2017.08.12 이동준 12839
가깝지만 가까워질 수 없는 존재, 가공식품 1 file 2020.11.30 김나래 12840
제1회 인천리빙디자인페어 2020.11.25 김경현 12847
"빼빼로 데이요? 에이~ 당연히 알죠, 개천절이요? 글쎄요.. 모르겠어요" file 2020.11.17 김지윤 12854
쓰레기장이 꽃밭으로 1 2021.04.16 김은지 12857
둘리의 부활? 우리 마을에서 만난 공룡 친구들 file 2017.07.25 이가영 12863
미래를 내다보는 [KITAS 스마트 디바이스 쇼] 2017.08.17 유나경 12866
꿈을 키우고 싶다면 주니어 소프트웨어 창작대회로! 1 file 2017.05.11 이수민 12869
이제 석탄은 그만!...'2017 Break Free 석탄그만!' file 2017.04.02 곽노경 12874
날짜에 갇혀있는 세월호 참사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추모 file 2020.04.21 위성현 12879
MZ 세대와 신축성 패션 상용화의 시대 file 2021.06.25 옥혜성 12879
올해는 보다 특별한 핼로윈 1 file 2020.11.04 김준희 12880
스포츠의 이모저모 file 2017.07.23 최민규 12885
모든 청소년이 행복한 그날까지,제 19회 임시회의&청소년국회 3 file 2017.02.19 전솜이 12889
장난감 '빌려 쓰세요' file 2017.07.24 이세희 12896
조 바이든의 직접 쓴 유일한 자서전 2020.11.27 김상현 12904
기생충과 더불어 놓칠 수 없는 작품, 1917 1 file 2020.04.17 박유빈 12914
프로야구의 9번째 심장. NC 다이노스의 창단 첫 우승! file 2020.11.25 김민채 12918
3월 넷째 금요일은 '서해 수호의 날' 8 file 2017.03.24 최서진 12925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2925
피로에 시달리고 있는 지금, 효율적인 낮잠을 자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 file 2020.08.31 김정원 12926
우리 다함께 편지보내고 간식먹어요! file 2021.04.01 우규현 12933
봄으로 물든 한국 file 2017.05.25 김수민 12943
길거리에 냉장고가 떡하니 존재하다! file 2021.03.29 민경은 12955
나만의 향을 기억하다, ‘향수 만들기 클래스’ file 2022.01.03 조민주 12957
[MBN Y Forum:불가능을 즐겨라!] 영웅들의 이야기 4 file 2017.02.15 김지수 12960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967
아파트 건설 도대체 왜? file 2020.10.26 박성현 129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