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by 7기이선철기자 posted Aug 07, 2018 Views 1139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강릉 폭우2-min.jpg

 ▲폭우로 거친 파도가 치는 동해안 해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영동 지방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기습적인 폭우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강릉에만 시간당 93mm의 폭우가 쏟아졌고 이날 영동 6개 시, 군에 신고된 폭우 피해만 총 132건으로 주택가와 상가 침수가 118건이며 차량과 도로 침수가 14건이다.


재난문자50-1.png

휴대전화로 온 안전 안내 문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행정안전부와 강릉시청이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새벽에 쏟아진 폭우를 곧바로 알린 것은 잘했다는 반응이다. 지난 경주 지진 때와 달리 신속한 재난 문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2G폰 사용자는 재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2G폰 사용 비율이 높은 고령층은 문자를 받을 수 없었다.


강릉역1-min.jpg

 폭우로 강릉역 입구에 임시방편으로 막아두었던 물 가림막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강릉역이 침수되는 일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열차 지연 등의 일은 없었지만 열차를 이용하는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강릉역은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개통한 KTX 강릉선의 종점역으로 새로 지어진 건물이었지만 엄청난 물 폭탄은 막을 수 없었다. 현재 강릉역은 물을 다 뺀 상태이기 때문에 원활한 운영이 되고 있다.


휴가철에 이런 기습적인 폭우로 강원도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울상이다. 지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해 강원도로 놀러 왔는데 비가 와서 야외 활동을 못해 실망을 한 관광객들도 볼 수 있었다. 또한, 관광지에 자리 잡은 상점들도 폭우로 손님이 없을뿐더러 매장 내 침수로 경제적인 피해를 봤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폭우를 기상청은 예측하지 못했다. 기상청은 폭염이 몰고 온 고기압의 서풍과 많은 습기를 머금은 저기압의 동풍이 충돌해 영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우를 쏟았다고 분석했다. 즉,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한 지형적 원인으로 일어난 폭우로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이야기이다.


앞으로 이런 기습적인 재난을 막기 위해서는 기상청의 정확한 기상 예측과 정부 및 지자체의 오늘과 같은 빠른 재난 정보 전달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7기 이선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영서기자 2018.08.08 11:55
    영동지방은 폭염에 이어 폭우까지.. 피해사진만 봐도 기습적인 폭우로 인해 신속하게 대처를 하지 못해서 많은
    피해를 받은게 느껴지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16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8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450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20320
우리가 기억해야 할 국제기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국제연합(UN) 1 file 2017.10.25 이수연 14299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8972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file 2017.07.18 박우빈 11642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666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410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1883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534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552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385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110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780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2167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662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807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221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17670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920
우리생활속의 법 '우리는 아르바이트가 가능할까?' 1 file 2016.07.18 김현승 17704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869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466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10419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884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811
우리의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제 17차 촛불 집회 열려 1 file 2017.03.01 안준혁 16345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file 2018.02.21 김민우 15922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한걸음, '인공 잎사귀'에 대하여 file 2019.04.15 전수이 13236
우주의 탄생, 작은 점이 폭발하다 1 file 2019.01.31 김가영 9923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387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원자재 수급 불안 가속화하다? file 2022.03.25 이성훈 9038
우크라이나의 '개그맨' 출신 대통령 file 2019.05.22 이서준 14076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495
운치 있는 해안가 산책로, 쓰레기 투기 빗발친다 file 2020.03.02 이승연 9800
울산 롯데백화점서 2월 첫 촛불집회열려 2 file 2017.02.05 서상겸 19791
울산 모 아파트서 스팸편지 소동...주민들 "편지 때문에 불안" file 2023.12.24 성진원 5030
울산 석유비축시설 지진에 안전한가? file 2018.02.20 오지석 14007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548
원자력의 두 얼굴? 뭐가 진짜 얼굴인지 알고 있잖아요! 7 file 2017.02.12 박수지 17214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834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252
원전밀집도 세계 1위인 우리나라, 원전사고에는 無기력 1 2018.02.21 이수안 13792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 중계와 시장 경쟁 file 2018.07.16 김민우 15428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월드컵과 경제 그리고 대한민국 2 file 2018.07.20 김민우 14915
월스트리트에 걸린 태극기 - 쿠팡의 미국 IPO 상장 1 file 2021.03.29 양연우 8880
위기 경보 '심각' 격상... 초중고 개학 연기 file 2020.02.26 김다인 9019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9650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592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 갑질의 선을 넘었다 file 2018.11.19 박예림 108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