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폭염에 이어 폭우', 기습적 피해 받은 영동

by 7기이선철기자 posted Aug 07, 2018 Views 1129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강릉 폭우2-min.jpg

 ▲폭우로 거친 파도가 치는 동해안 해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영동 지방에 천둥, 번개를 동반한 기습적인 폭우로 많은 피해를 입었다. 강릉에만 시간당 93mm의 폭우가 쏟아졌고 이날 영동 6개 시, 군에 신고된 폭우 피해만 총 132건으로 주택가와 상가 침수가 118건이며 차량과 도로 침수가 14건이다.


재난문자50-1.png

휴대전화로 온 안전 안내 문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행정안전부와 강릉시청이 안전 안내 문자를 통해 새벽에 쏟아진 폭우를 곧바로 알린 것은 잘했다는 반응이다. 지난 경주 지진 때와 달리 신속한 재난 문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다만, 2G폰 사용자는 재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어 2G폰 사용 비율이 높은 고령층은 문자를 받을 수 없었다.


강릉역1-min.jpg

 폭우로 강릉역 입구에 임시방편으로 막아두었던 물 가림막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이선철기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강릉역이 침수되는 일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열차 지연 등의 일은 없었지만 열차를 이용하는 많은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강릉역은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개통한 KTX 강릉선의 종점역으로 새로 지어진 건물이었지만 엄청난 물 폭탄은 막을 수 없었다. 현재 강릉역은 물을 다 뺀 상태이기 때문에 원활한 운영이 되고 있다.


휴가철에 이런 기습적인 폭우로 강원도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울상이다. 지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해 강원도로 놀러 왔는데 비가 와서 야외 활동을 못해 실망을 한 관광객들도 볼 수 있었다. 또한, 관광지에 자리 잡은 상점들도 폭우로 손님이 없을뿐더러 매장 내 침수로 경제적인 피해를 봤다.


그런데, 이런 엄청난 폭우를 기상청은 예측하지 못했다. 기상청은 폭염이 몰고 온 고기압의 서풍과 많은 습기를 머금은 저기압의 동풍이 충돌해 영동 지방에 기록적인 폭우를 쏟았다고 분석했다. 즉,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대기 불안정에 의한 지형적 원인으로 일어난 폭우로 예측하기 어려웠다는 이야기이다.


앞으로 이런 기습적인 재난을 막기 위해서는 기상청의 정확한 기상 예측과 정부 및 지자체의 오늘과 같은 빠른 재난 정보 전달이 필요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7기 이선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최영서기자 2018.08.08 11:55
    영동지방은 폭염에 이어 폭우까지.. 피해사진만 봐도 기습적인 폭우로 인해 신속하게 대처를 하지 못해서 많은
    피해를 받은게 느껴지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23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62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853
4차 산업혁명을 향한 중국의 도약, 우리나라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3.07 김명진 11596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596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4 file 2018.07.27 김정우 11597
심상치 않은 미국대선, 존재하는 변수는? file 2020.11.24 정예람 11597
마침내 그날이 왔다, 광화문 거리 한복판에서 터지는 축하의 폭죽 file 2017.03.17 최예헌 11602
제25대 프랑스 대통령, ‘마크롱’그가 내세운 공약은? 1 file 2017.05.24 최현정 11607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611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612
조작되는 정치 여론, 국민은 무엇을 해야 하나 3 2018.05.24 황지은 11612
조금은 특별했던 장미대선, 투표율은 어땠을까? 2 file 2017.05.29 정경은 11616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623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 2 2017.10.20 배수빈 11624
자유한국당 당권 누구 손에? file 2019.02.27 송봉화 11630
청소년들, 사드(THAAD)를 어떻게 생각할까? 1 file 2017.03.20 4기이예인기자 11646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650
멈추지 않는 BMW 520d 모델 화재사고, 대책은? 2018.08.22 권영준 11651
이집트 수에즈 운하 사고 1 file 2021.03.30 최연후 11655
피의자 신분 박 전 대통령의 첫 검찰 수사 1 file 2017.03.21 최지오 11657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662
방탄소년단의 일본 무대 취소사건, 그 이유는? file 2018.11.22 조윤빈 11663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672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674
아직은 시작 단계인 남북정상회담. 2 2018.05.21 권오현 11677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1680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683
학교폭력 줄이자는 목소리 커지는데...교육 현장에선 ‘개콘’ 우려먹기 file 2021.03.23 박지훈 11683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688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11695
자유한국당 해산심판 청원 등록...'들끓는 민심' 2 file 2018.05.25 양성민 11695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705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708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710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711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716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724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724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734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735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49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752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764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771
일본의 거짓말은 어디까지인가 3 file 2019.02.27 노연주 11771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782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785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786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793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7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