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일, 제헌절

by 7기오예은기자 posted Jul 31, 2018 Views 1650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7 17일은 대한민국 헌법 공포일, 제헌일이다. 제헌절은 삼일절, 현충일, 광복절 등과 달리 공휴일이 아니기 때문에 모르고 지나치시는 분이 많을 것이라 생각된다

 

제헌절의 의미와 유래

그렇다면 제헌절의 의미와 유래를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삼일절, 광복절, 개천절, 한글날과 함께 대한민국 5 국경일에 속하는 제헌절은 대한민국 헌법을 공포하여 우리나라가 자주독립의 떳떳한 민주국가임을 기념하는 날이다. 1948 7 17일을 기념하는 제헌절은 헌법의 의미와 정신을 되새기고 헌법수호의 의지를 다지는 날이라   있제헌절을 7 17일로  것은 조선왕조의 건국일이 1392 음력 7 17일이었기에 과거 역사와의 연속성을 위해 날을 택한 것이라고 한다. 일본, 미국  헌법이 있는 나라들은 대부분 헌법 제정일을 국가 공휴일로 지정하고 있다.


ㄹㅇ.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오예은기자]


제헌절은 왜 공휴일이 아닐까?

그런데 도대체 , 이렇게 중요한 제헌절은 법정공휴일이 아닌 것인지에 대한 궁금증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본래 제헌절은 1950년부터 2007년까지 공휴일이었는데,  40시간 근무제와  5일제가 실행되면서 쉬는 날이 너무 많아진다는 이유로 제헌절이 공휴일에서 제외되었다고 한. 그러나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에 올라오는  제헌절을 다시 공휴일로 지정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제헌절에는 태극기를 게양해야 하는가?

제헌절은 국경일이므로 물론 국기를 게양해야 한. 하지만 국경일의 특성에 따라 국기 게양법이 다르기 때문에 올바르게 국기를 게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헌절을 포함한 5 국경일은 모두 깃면과 깃봉의 사이를 떼지 않고 달아야 한. 각 가정에서는 오전 7시부터 오후 6시까지, 밖에서 바라보았을 때 대문이나 각 세대의 창문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오도록 달면 된다.                                                          

만약, 우리에게 법이 없다면 어떨까? 범죄와 교통사고는 끊이지 않고 일어날 것이다. '법'이라는 기준이 없기에 아무도 막을 수 없을뿐더러 무엇이 옳은지도 모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회 혼란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 주는 것이 법이고, 법의 기본이 되는 것이 바로 헌법이다. 그리고 그 헌법이 태어난 날이 바로 7월 17일인 제헌절이다. 우리 모두 제헌절을 기억하고 꼭 태극기를 게양하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7기 오예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241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961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1593
창원 시민들의 화합의 장 '제15회 창원야철마라톤대회' file 2019.04.18 민서윤 16617
미디어를 테이크아웃 하라 file 2017.09.27 고은서 16611
색다른 서울 근현대사 탐방하기 file 2019.07.25 최민주 16610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6608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6608
제주도에서 추억을, 넥슨컴퓨터박물관 2 2018.07.13 안소정 16608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6603
단추로 보는 프랑스,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 file 2017.09.20 허선주 16601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599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6595
청소년들의 꿈이 있는 곳, 여수 국제 청소년 축제! file 2016.08.22 민유경 16595
딥 러닝, 알파고의 천재적인 실력의 비밀? 4 file 2017.02.20 강상윤 16594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594
2016년 트렌드, 정교한 감각과 평범함의 향연 file 2016.05.22 한세빈 16594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6592
뜨거운 코트를 가르며 BOOM UP 1 file 2019.02.08 이귀환 16591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6589
몽골 아이들의 온기를 느낀 GVT file 2016.07.25 이민재 16588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6585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582
청소년에게 꿈을! 인동고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6582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6578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574
날아라 국제고 꿈꾸라 국제고인, 전국 국제고 연합 학술제: WELCOME TO GGHS file 2018.11.22 윤수빈 16573
문화가 있는 날, '톡, TALK! 기상 콘서트'로 떠나요 file 2017.09.28 김나현 16573
가장 한국적인 도시, 전통이 살아 숨쉬는 전주로 떠나자! file 2017.07.18 조지원 16569
공간의 진화, 트렁크 룸 1 file 2017.03.26 김하은 16567
영주시, 고교생과 함께 관사골 활성화를 위한 새뜰마을 사업 추진해 5 file 2017.02.21 박한나 16565
경복궁에 관하여 1 2016.03.31 최서빈 16565
뉴욕과 파리도 제친 서울의 물가, 세계 물가 6위를 차지하다 1 file 2017.04.15 박유빈 16562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558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으로 교류 캠프를 떠나다 1 2017.08.09 오세민 16558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역사적 공간을 걷다. 1 file 2017.05.25 이예인 16557
아픔과 다짐이 담긴 DMZ 박물관을 다녀오다. file 2016.10.25 이예린 16555
따라쟁이, 의식쟁이 사람들 3 file 2017.03.27 최윤원 16554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6551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6548
현세의 바벨탑, 부르즈 할리파 1 file 2017.11.20 허재영 16547
제24회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file 2016.07.11 정수민 16542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540
신인 작가들의 날갯짓, '젊은 작가상' file 2019.09.27 김사랑 16539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의 잘못된 윤리의식,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6.23 김다정 16539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537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6535
제로에너지 주택, 에너지 절약의 첫 걸음이 될까? file 2017.08.25 강지석 16532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file 2019.01.22 이주희 16531
'동주' 별을 스치는 바람 file 2016.07.25 조혜온 16531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65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