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와대 게시판 '난민신청 허가 폐지/개헌' 청원 70만 돌파

by 7기김정우기자 posted Jul 27, 2018 Views 114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게시판 50.jpg

[이미지 제공=청와대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지난달 13일에 청와대 국민 청원 게시판에 올라온 난민 반대 청원이 70만명을 돌파하면서 청와대의 답변이 주목되고 있다. 


지난달에 내전 상태인 예멘에서 전쟁을 피해 한국으로 난민이 561명 왔고 이들 중 519명이 난민 신청을 했다. 유럽에 있는 나라들이 비용문제나 테러 위험성을 이유로 난민 수용을 꺼리는 분위기가 있기에 예멘 난민들은 말레이시아로 대거 이동했다. 말레이시아 무비자 체류 기간인 90일 후 그들은 비자 없이 올 수 있는 제주도로 향했다.


올해 들어온 난민은 561명으로 50명 미만이던 작년의 10배가 넘는다. 이러한 상승세를 막기 위해 법무부는 '제주특별자치도 무사증 입국 불허국가 및 체류지역 확대허가 국가지정'에 따라 예멘을 입국 불허국가에 포함시켰다. 


현재 예멘 난민들은 사비로 여관 등 숙소에서 생활하고 있다. 돈이 떨어진 일부는 노숙을 하기도 한다. 제주도 출입국, 외국인청은 두 차례 설명회를 열어 도내 일손이 부족한 어업, 양식업 고용주와 난민 지원자가 만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원래는 난민 신청 후 6개월 이내 취직은 불가하지만 이번 난민 신청자들은 급박한 상황을 고려해 출입국관리법 제 20조에 따라 취업 활동 허가를 받았다.


난민 문제를 두고 여러 시위가 펼쳐지고 있다. '유럽 난민 상황을 봐라.', '이번 사태로 인해 진짜 인정받아야 할 난민이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등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아직 묵묵부답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이슈인 난민 문제에 대한 청와대의 답변이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7기 김정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김도연기자 2018.07.28 10:41
    유럽의 경우에는 난민을 받았다가 난민들이 집단성폭행 사건을 일으켰던 사례가 있더군요 이런면에서는 난민에 대한 신뢰도와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난민을 받는것은 문제가 많을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
    8기김진진기자 2018.08.05 02:43
    제주도에서 예멘난민이 여성 4명을 추행하고 환각제까지 소지했던 기사를 몇주전에 접했습니다. 난민들을 수용하는 문제는 아직 생각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드려요!
  • ?
    6기김서현기자A 2018.08.07 00:46
    사실 난민을 받는 그 자체로는 정말 좋은 의미라고 생각은 되지만, 아직 우리나라는 아직 난민을 위한 시설도 잘 갖춰지지 않았는데 난민을 받는다는 것은 문제가 된다고 생각해요! 사실 난민 문제가 많다 보니 국민들이 두려워하는 것도 있고 아직은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준비가 안 된 것 같은데 너무 이른것 아닌가 싶기도 하구....!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8기유태현기자 2018.08.30 18:26
    난민문제가 어떻게될지 궁금하네요.. 기사 잘보고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31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973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3353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173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서 폭발이? file 2020.08.10 허예진 8176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177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181
마스크의 대란 어디까지인가 2020.03.18 김도연 8185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189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196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198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199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199
의도적인 트럼프의 발언? 1 file 2020.03.06 권수현 8200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218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218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220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224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228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229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239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243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251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263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266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269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272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283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285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285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286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293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293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297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297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301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305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313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32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324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326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332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333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336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337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347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349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376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382
온라인 개학 한 달, 등교개학은 언제쯤? 1 file 2020.05.11 홍승우 8401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40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