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책] 언어의 바다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슬기로운 언어생활'

by 7기최미정기자 posted Jul 24, 2018 Views 1561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책8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최미정기자]


말, 말, 말. 우리는 하루 종일 말을 하며 살아간다. 학교에서 발표할 때에도, 친구들과 수다를 떨 때에도, 부모님과 다툴 때에도. 그곳에는 언제나 말이 있다. 이미 내 입에서 나가버려 후회해도 돌아오지 않을 말. 이 책은 SNS상에서 "예쁜 말"로 유명한 책이다. 우리가 평소에 내뱉는 말이 시간이 지나서 후회가 될 때, 우리는 한 번쯤 '어떤 말이 잘못되었을까', 그리고 '어떤 말을 고치고 어떤 말을 사용해야 할까'라는 궁금증이 생긴다. 그런 궁금증들을 이 책의 "예쁜 말"들이 풀어준다.


책의 내용에 앞서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말해야 할 것과 말하지 않아야 할 것을 분별하는 것, 말이 필요할 때와 들을 때를 구분하는 것, 말을 하기 전에 상대의 준비 상태를 살피는 것, 말하지 않는 숨은 감정과 진실을 찾는 것, 그리고 말이 가진 개인적인 의미와 해석을 존중하는 것이 우리에게 필요한 '슬기로움'이다." 이 책은 우리가 대화할 때 어떻게 슬기롭게 말을 정하고 상대방을 대해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갈등이 생겼을 때 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해주는 것. 말다툼은 어느 한 쪽만의 책임이 아니라는 것. 자신이 한 말에 진심이 되는 것. 어쩌면 작가는 말을 쓰는 것은 마음을 쓰는 것과 같다는 말을 하고 싶었을지 모른다. 우리가 평소에 내뱉는 말은 우리의 마음에서 시작해 세상으로 나온다. 우리가 화가 날 때 나오는 말도, 우리가 행복할 때 나오는 말도, 모두 우리의 마음을 담고 있다. 자신의 말에서 불편하거나 화를 느꼈을 때 우리의 마음을 먼저 살펴보는 것이 이 작가가 우리에게 주는 우리의 슬기로운 말을 위한 방법이다.


이 책을 읽으려는 사람들은 자신의 말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혹은 단순히 호기심에서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신의 말이 누군가에게 상처가 되는지 의심된다면, 나의 말에 나의 '슬기로움'이 들어있는지 알고 싶다면, 이 책을 통해 자신의 말을 찾아가고 자신의 마음을 찾아가 보는 것이 어떨까. 길지 않은 여름방학 동안 자신의 마음을 들여다보고 자신의 언어생활의 '슬기로움'을 키워 지금까지의 언어생활을 점검하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7기 최미정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40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266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7583
수용자를 집에서도 만날 수 있다고? 1 file 2017.03.18 노유진 19657
알고가면 더 재미있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 그 속으로 떠나보자! file 2016.07.25 신수빈 19652
교육, 뭐시 중헌디? (교육 받을 권리 고려해봐야.) 1 file 2016.08.01 오성용 19637
자율주행 자동차의 현실 file 2018.08.20 이형우 19628
I Marymond You;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하나의 움직임 3 file 2017.03.05 김가빈 19625
마음의 온도, 언어의 온도 2 2019.07.26 신수민 19613
여성혐오적 의미가 담긴 유행어는 성희롱입니다. 3 file 2018.03.01 홍예림 19606
전국이 다 암전! 저녁 9시가 되면 다 불을 끄세요 file 2019.09.26 윤다인 19603
'2018 창의융합형 인문학기행' 역사교류단, 성장 캠프까지 성공적으로 마무리 file 2018.08.30 김혜신 19601
나무 뿌리의 습격 1 file 2017.02.28 최지민 19594
생각이 떠다니는 곳, 카페 ‘생각구름’ 대표 최정진 시인을 만나다 file 2016.06.24 유성훈 19590
세계평화의 숲, 식목일 기념 '시민 나무심기'행사 개최 file 2017.04.21 정지용 19581
스트레스에 관한 간단한 고찰 file 2017.04.29 이영혁 19579
청소년 댄스 밴드 경연대회 PUNK&DREAM! 1 2017.06.14 조성민 19577
어린이 화장품 출시, 과연 옳은 일인가? 16 file 2017.01.23 안수현 19577
청춘들을 위한 힐링이벤트 '달밤소풍_휘게라이프' 2017.09.01 손채은 19575
수학사 최대의 난제, ‘리만 가설’ 1 file 2017.07.15 정승훈 19569
[베스트셀러 추천 도서] 국내 베스트셀러 1위, ‘돌이킬 수 없는 약속’ 2 file 2018.10.26 정하현 19565
몇 년은 기다려야 한다면서 계속 뜨는 슈퍼문.. 그 이유는? file 2019.03.18 백광렬 19560
일하는 청년통장, 한 달에 10만 원을 모아 3년 안에 1000만 원으로! 1 file 2017.11.28 오경서 19559
차근차근 알아보는 2017년의 IT 트렌드 file 2017.09.13 한동엽 19551
정보화시대, 암호의 중요성 file 2017.06.06 정다소 19549
아시아 문화의 메카! 국립아시아문화전당! 7 file 2016.03.01 이봉근 19549
호국보훈의 달, 진해 근대사 거리를 걷다 1 file 2018.06.08 이승원 19546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착한 건축 26 file 2016.02.17 장서윤 19541
봄의 시작을 알리는 '2019 진해군항제' 3 file 2019.04.09 백휘민 19536
알프스의 꽃, 만년설이 녹아내리다 5 file 2017.09.14 김정환 19530
조선의 그린벨트, 성저십리 2 file 2017.03.01 최지민 19530
소프트웨어의 시대가 열리다!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이용하는 사람들 file 2017.08.09 박서영 19522
강남역 한복판에 떠오른 'GT 타워 아이스링크' 1 file 2017.02.28 송초롱 19511
[클래식 음악 소개] 쇼팽 3 file 2017.09.18 김기현 19505
꿈의 나노소재, 그래핀 1 file 2018.08.20 박효민 19504
[ 삼일절 ] 그날의 함성을 재현하다 5 file 2016.03.02 황지연 19503
미래 과학기술을 이끌 연구의 장, 제64회 전국과학전람회 file 2018.09.05 신온유 19501
어서와, 펜팔은 처음이지? file 2016.05.24 김은진 19499
응답하라, 전통시장! file 2016.04.16 김나림 19496
세계 섬유패션산업의 최신 트렌드 한 자리에… '대구국제섬유박람회' 4 file 2016.03.11 이세빈 19488
'밀어서 잠금해제' 아닌 초음파로 바로 하자 file 2019.03.27 나어현 19483
올해 개봉예정인 영화 '군함도', 日 발끈했다? 13 file 2017.02.09 윤은빈 19483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480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9479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방탄소년단'을 논하다 2 2018.08.21 김예나 19464
올림픽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8.21 박채운 19463
거짓 정보가 점령해가고 있는 인터넷, 이대로 가도 되는가? 2 file 2017.03.17 정혜원 19461
1년 365일 자원봉사하기 좋은 날 2 file 2019.03.29 김수현 19458
벚꽃에, 노래에 취하게, '진해군항제' 2018.04.11 김진영 19455
한국의 빵빵한 지하철 와이파이 과연 일본은? file 2018.04.03 김진영 19454
봄의 향기를 담은 매화마을-‘매곡동’ 6 file 2016.02.23 유성훈 194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