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 시장편

by 6기정민승기자 posted Jun 25, 2018 Views 116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2018년 6월 13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와 2018년 재보궐 선거가 동시에 진행되었다지방선거로는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약 23년 만에 전국 투표율 60%를 넘긴 60.2%의 투표율을 기록하며 정치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증가했음을 보여준 이번 선거에서더불어민주당은 압승’, 자유한국당은 참패라고 적힌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광역자치단체장 투표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4자유한국당이 2무소속 후보가 1곳을 차지하였고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11자유한국당이 1석의 국회 의석을 차지했다특히 자유한국당은 흔히 보수의 텃밭으로 불리던 경상도 지역에서 부산과 경남을 잃으며 끝내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가 선거 다음 날인 6월 14일 사퇴했다참패한 자유한국당의 상황을 두고 이변이다라는 의견과 당연한 결과다라는 의견이 교차하고 있다.

바른미래당 또한 참담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는데 이에 따라 6월 14일에 유승민 전 바른미래당 공동대표가다음날에 바른미래당 지도부가 민주주의는 책임의 정치라며 총사퇴했다.

이번 지방선거가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압승으로 끝나면서앞으로 국내 정치계에 가져올 파장이 당초 예상했던 것보다 더욱 커질 전망이다.


1-1 서울특별시장

3선에 성공한 첫 번째 서울시장 박원순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특별시를 4년간 이끌어가는 서울시장은 대한민국의 지방자치단체장 중 손꼽히게 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다른 광역자치단체장과 달리 국무회의에 공식적으로 배석될 만큼 정치적 힘이 강하고서울시장에 당선된 것만으로도 유력한 대권후보가 될 수 있다실제로 이명박 전 대통령은 제32대 서울시장으로서 괜찮은 평가를 받았고이후 한나라당 대선 후보가 되어 결국 제17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따라서 이번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가장 큰 주목을 받은 지역이다또한 이번 선거에서 가장 많은 8명의 후보가 출마한 지역이다. 

결과는 더불어민주당의 박원순 후보가 52.8%의 득표를 얻어 23.3%의 득표를 얻은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를 제치고 당선되었다.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도 출마해 박--안의 삼파전을 예상했으나 안철수 후보가 19.6%의 득표율로 3위에 그쳤다.

한편 이번 선거로 박원순 후보는 서울시장 3선에 성공한 최초의 시장이 되었다.

 서울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2 부산광역시장

첫 번째 민주 정당 부산시장이 탄생하다.

부·울·경으로 대표되는 경상남도 지역의 정치는 예로부터 보수의 텃밭이라 불릴 만큼 보수 정당의 후보가 우세한 모습을 보여줬다그중 부산은 지금껏 단 한 번도 민주당계 정당의 후보가 시장을 역임한 적이 없을 정도로 보수적인 모습을 꾸준히 보여왔다.

하지만 이번은 달랐다지금껏 부산시장에 3번 도전해 모두 낙선한 더불어민주당의 오거돈 후보가 55.2%의 득표를 얻으며 37.2%의 득표를 얻은 자유한국당의 서병수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이는 민선이 도입된 이후 부산에서 민주당계 정당의 후보가 시장으로 당선된 최초의 결과이다.

서병수 현 부산시장의 지금까지의 실책그리고 여러 논란 때문에 서병수 후보에 대한 지지가 약화된 것이 이번 선거의 결과에 영향을 미쳤다또한 오거돈 후보가 거듭해서 부산의 게임 전시회인 'G-STAR'를 비롯한 부산의 게임 산업을 육성시키겠다고 공약한 것에 부산의 젊은 유권자들의 표가 움직인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3 대구광역시장

보수의 자존심을 지킨 대구

대한민국에서 가장 보수적인 지역을 꼽을 때 대구는 절대 빠지지 않는 지역이다그 이름에 걸맞게 지금껏 대구시장은 모두 보수 정당 출신이었고 국회의원 역시 김부겸 의원을 제외하면 대부분이 보수 정당의 의원이다.

불 보듯 뻔한 결과다자유한국당의 권영진 후보가 53.7%의 득표로 39.8%의 득표를 얻은 더불어민주당의 임대윤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사실 이번 선거에는 권영진 후보 측에서 논란이 생겨 임대윤 후보가 조금 더 우세한 것 아니냐는 예측 또한 있었다지난 5월 31권영진 후보가 유세를 마친 후 차량으로 이동하던 중 대구 지역의 장애인 부모가 권영진 후보와 가볍게 충돌했는데충돌 직후 권영진 후보가 뒤로 넘어지며 할리우드 액션이 아니냐는 비난이 빗발쳤다게다가 대구·경북인도주의실천의사협의회에서 권영진 후보 선거 캠프 측에서 권 후보의 병명을 부풀리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더욱 불리해져 보였다하지만 역시나 대구에서 권영진 후보는 많은 지지를 받았고 결국 대구시장 재선에 성공하였다.

비록 선거에서는 이기지 못하였으나 임대윤 후보 역시 40%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기록하며 보수의 텃밭인 대구에서 꽤 선전한 모습을 보여주며 대구의 변화를 예고했다.

 대구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4 인천광역시장

말 한마디가 가져온 파장 1

대한민국의 관문으로 불리는 인천의 인천광역시장은 57.7%의 득표를 얻은 더불어민주당 박남춘 후보가 35.4%를 얻은 자유한국당의 유정복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

유정복 후보는 현 인천시장으로서 저번 선거에서 과반수에 가까운 49.95%의 득표를 받았었기에 이번에도 유리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있었다하지만 6월 7자유한국당의 정태옥 의원이 YTN의 지방선거 수도권 판세 분석 방송에 출연해 인천과 부천을 비하하는 발언을 하며 엄청난 논란을 만들어냈고 결국 이 사건이 박남춘 후보의 당선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인천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5 광주광역시장

이번에도 역시

대한민국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 불리는 광주에서는 언제나 민주당계 정당이 압승을 차지했었고이번에도 역시 다르지 않았다.

더불어민주당의 이용섭 후보가 무려 84.1%의 득표를 획득하며 6.0%의 득표를 획득한 정의당의 나경채 후보를 누르고 당당하게 광주시장으로 당선되었다.

 광주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6 대전광역시장

과학 도시를 꿈꾸는 대전 시민의 민심

문재인 정부가 대전을 과학의 도시로 키우겠다고 선언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서 이번 지방선거의 대전광역시장 후보에 청와대 과학보좌관 출신의 허태정을 공천했다.

결과는 허태정 후보가 56.4%의 득표를 얻으며 자유한국당 박성효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더불어민주당 소속이자 전직 대전시장인 권선택이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구속되고또 업무 수행에서도 매우 좋지 않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이 불리하지 않겠냐는 의견이 있었으나 과학의 도시로 만들겠다는 허태정 후보의 공약이 매력적으로 다가갔는지 꽤 격차가 벌어진 결과가 나왔다.

 대전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7 울산광역시장

말 한마디가 가져온 파장 2

앞서 언급했듯이 울산도 대표적인 보수의 텃밭이다부산과 같이 지금까지 단 한번도 민주당계 정당의 후보가 울산시장이 된 적이 없었다이번 선거에 더불어민주당은 지금까지 울산에 8번 도전하여 모두 낙선한 송철호 후보를자유한국당은 현직 울산시장인 김기현 후보를 공천했다.

결과는 52.9%를 득표한 더불어민주당의 송철호 후보가 8전 9기로 당선되었다사실 김기현 후보의 시장 업무에 대한 평이 나쁘지 않은 편이라 유리하지 않겠냐는 분석이 많았으나 자유한국당 장제원 대변인이 김기현 후보와 관련된 경찰의 수사에 광견병’ 등의 비하 발언을 사용하여 큰 논란이 생겼고이가 결국 선거의 결과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1-8 세종특별자치시장

한 번 더! 이춘희 시장

2012년 7월 1일 출범한 세종시는 2012년 제19대 총선과 함께 첫 번째 세종특별자치시장을 선출했다이때 더불어민주당 이춘희 후보는 당시 자유선진당의 유한식 후보에 밀려 낙선했으나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새누리당 유한식 후보를 누르고 당선되었다이번에도 역시 71.3%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18.1%의 득표를 얻은 자유한국당의 송아영 후보를 큰 격차로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

 세종시장.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민승기자]


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분석 제1부에서는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까지 총 8개의 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시의 시장 선거 결과를 분석했다시장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7자유한국당이 1곳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정민승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한유성기자 2018.06.25 20:25
    원형 도표가 있어서 눈에 잘 들어오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6.26 01:07
    저는 이렇게 민주당이 압승하는걸 예상은 했지만 막상 실현되니 조금 걱정이 되네요... 정치는 양쪽 균형이 맞춰지고, 서로 조율을 해야하는데... 너무 진보성향으로 가는것 같아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그래프가 참 눈에 잘 들어오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91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82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000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379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379
'의료계 총파업', 밥그릇 챙기기인가 정당한 투쟁인가 file 2020.10.29 유서연 8384
여러 민주화 시위에서 사용되고 있는 손가락의 영향력과 힘 2021.04.29 김경현 8385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386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388
이제야 끝난 장마, 기후변화에 경각심을 가질 때 file 2020.09.07 박영주 8393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398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401
반도체 수급의 어려움, 차량 업계도 직면했다 file 2021.07.26 우규현 8403
샘 오취리, ‘preach' 성희롱 댓글 뒤늦게 논란 file 2020.08.31 유시온 8410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422
야심 차게 내놓은 '서민·중산층 주거안정 지원방안' 과연 효과는? file 2020.11.24 김아연 8428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430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436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445
의대생 증원에 따른 파업과 약대 학부전환, 입시에 '나비효과' 줄까? 1 file 2020.08.21 차준우 8450
논란의 중심인 국적법, 도대체 뭐길래? file 2021.05.24 서호영 8452
마스크 대란을 잡기 위해 내놓은 정부의 대책 file 2020.03.12 신지홍 8472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482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484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487
끝나지 않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언제쯤? 2020.08.31 김정원 8489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490
우후죽순 터지는 인사 실패와 망언들, 급락하는 윤석열의 지지율 file 2021.12.27 윤성현 8490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분쟁의 끝은 어디인가? file 2021.05.24 심승희 8498
프랑스 "2시간 30분 이내 거리 항공기 금지" 기후법 통과 2021.07.08 현나은 8505
코로나 아직 끝나지 않았다, 생활 속 거리두기 함께 하기 file 2020.05.12 임효주 8508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518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525
온라인 수업의 부작용, 'VDT 증후근' 2020.08.31 오윤성 8526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528
美 애틀랜타 총격 사건... “내 사람들을 죽이지 마세요” 2 file 2021.03.30 임이레 8530
"말을 안 들어서..." 10살 조카 A 양을 고문한 이모 부부, 살인죄 적용 1 file 2021.03.05 한예진 8537
원격수업을 주제로 한국 - 아랍에미리트 원격회담...전 세계로 퍼지는 온라인개학 file 2020.04.27 정태민 8544
미국 최초의 흑인 여성 부통령 후보, '카말라 해리스' file 2020.08.31 전순영 8544
코로나 백신, 가능할까? 1 file 2020.11.13 이채영 8550
이란교민 전세기 귀국 2 file 2020.03.25 신동민 8552
백신, 안전한가? 1 file 2020.10.22 홍채린 8554
푸른나무재단, '마음 톡톡 페스티벌'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실시 file 2022.06.02 이지원 8561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563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569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570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571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587
마스크 사재기를 잠재운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02 남유진 8589
조 바이든 당선인과 첫 통화 후 2주, 한미 관계는? 1 file 2020.11.26 임솔 8595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6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