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원숭이와 친해져볼까?! 에버랜드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by 2기김민정기자 posted Jun 07, 2015 Views 412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49-715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199 (삼성에버랜드)

우리나라 동물원에서 제일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을 꼽자면, '원숭이' 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동물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원숭이를 상상해보면 주로 비좁은 우리에 무기력하게 있거나 쇠창살에 달라붙어 먹이를 구걸하는 모습이 떠오를 것이다. 이렇듯 우리에게 원숭이는 친숙한 존재이지만 한편으로는 불쌍하게 느껴진다. 그런데 요즘들어 이런 원숭이 우리가 점점 그들에게도 살기좋고 관람객에게도 보기좋은 모습으로 개선되고 있다. 그중 한 곳이 에버랜드 동물원 주토피아 속 원숭이마을 '프랜들리 몽키밸리' 이다. 이곳에는 유인원을 비롯해 각양각색 다양한 원숭이들이 살아가고 있다. 또한 원숭이 사육사분들이 일반 관람객을 대상으로 직접 원숭이를 더욱 가까이에서 알아보면서 그들의 능력을 직접 확인하고 친해져보는 국내최초 원숭이 전문체험 '몽키밸리 리얼대탐험' 이 올해 처음 선보이면서 에버랜드를 찾은 많은 손님들에게 주목을 받고있다.


크기변환_IMG_7941.JPG

▲일본원숭이가 진흙이묻은 과일을 물에 씻어먹는 모습 (본인촬영)


몽키밸리 리얼대탐험에 참여해보면, 제일 먼저 일본원숭이를 만나게된다. 그들을 직접 보기 전, 먼저 황토가루와 물을 섞어 진흙을 만들고 그안에 일본원숭이 친구들의 간식인 각종 과일과 야채를 부어 함께 섞는다. 그렇게 만든 먹이를 일본원숭이들이 어떻게 먹는지 직접 확인해볼 수 있다. 사육사가 위에서 관람객이 만든 먹이를 떨어뜨리면 많은 일본원숭이들이 순식간에 몰려와 한켠에 마련된 수조에 지저분한 황토를 씻어내고 깨끗이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 한켠에서는 서열이 낮은 일부 원숭이들이 수조에 가지 못하고 바닥에 대충 씻어먹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평소에 확인해볼 수 없던 일본원숭이의 모습에 체험객들은 시선을 떼지 못하고 신기하게 바라보았다.


크기변환_IMG_7954.JPG

▲직접 도구를 사용해 먹이를 꺼내먹는 침팬지 '갑순이' (본인촬영)


일본원숭이를 만난 이후 이번에는 유인원인 침팬지를 만나보았다. 침팬지는 4~5살정도의 사람 지능을 갖고있는 매우 똑똑한 동물로 유명하지만, 우리가 직접 그들이 정말 영리한지 확인해본 경우는 없을것이다. 몽키밸리 리얼대탐험에서는 다르다. 사육사분들이 직접 만든 동그란형태의 과일과 야채를 구멍에 넣으면 저렇게 통안으로 들어가는데, 31살의 할머니 침팬지 '갑순이' 가 나무젓가락을 활용하여 먹이를 먹는 모습을 활용할 수 있었다. 침팬지도 서열이있고 갑순이는 나이가 많아 높은 서열에 위치하지 않지만 자신의 영리함으로 직접 도구를 사용해 먹는 모습이 인상깊었다. 또한 한켠에서 대장이지만 도구를 사용하지 못해 화나있는 서열 1,2위 침팬지의 모습을 보는 재미도 쏠쏠했다. 이렇듯 도구를 직접 사용하는 침팬지를 보니 비로소 정말 침팬지가 똑똑하다는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크기변환_IMG_7986.JPG크기변환_IMG_7992.JPG

▲체험객들이 준 사과를 먹는 알락꼬리 여우원숭이의 모습 (본인촬영)


다음으로는 호랑이와 같은 무늬의 긴 꼬리를 가진것이 인상깊은, 오직 마다가스카르 섬에서만 서식하는 알락꼬리 여우원숭이의 우리로 들어가 직접 사과를 주었다. 이들은 애니메이션 '마다가스카' 의 캐릭터중 하나인 킹줄리안의 모델이 되어 우리에게 더 익숙할 수 있다. 보호종이라 비교적 먼 거리에서 바라봐야하는 일반 관람객들과 달리 체험객들은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이들을 관찰해볼 수 있어 더 특별하고 흥미있던 시간이었다.


크기변환_IMG_8009.JPG크기변환_IMG_8016.JPG

▲오랑우탄 '폴리', 오른쪽은 직접 페트병 뚜껑을 열어 먹이를 먹는 모습 (본인촬영)


이후엔 침팬지에 이은 또다른 유인원 오랑우탄을 만나보는 시간을 가졌다. 이친구는 20살인 수컷 오랑우탄 '폴리' 인데 오랑우탄의 수명이 40~45년정도 되기때문에 생김새는 나이가 많아보여도 한참 젊은친구라고 한다. 오랑우탄의 수컷과 암컷 구분은 볼의 '치크패드' 로 구분할 수 있는데, 치크패드는 수컷의 상징으로서 다른 수컷을 놀래게해 자신의 영역을 지키는데 쓴다고 한다. 폴리 역시 수컷이라 치크패드가 존재했다. 사육사분은 페트병에 각종 과일과 야채를 넣고 뚜껑까지 닫아 폴리에게 던져주었는데, 폴리는 직접 이빨을 이용해 뚜껑을 따고 간식을 먹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후 자신이 페트병을 찌그러뜨려 바닥에 버리는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었는데, 체험객들은 스스로 먹이를 찾은 방법을 발견해 활용하는 폴리의 모습을 보고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크기변환_IMG_8036.JPG크기변환_IMG_8058.JPG

크기변환_IMG_8062.JPG크기변환_IMG_8070.JPG

▲첫번째- 아기 흰손긴팔원숭이/ 두번째- 사람의 손을 닮은 침팬지의 손

세번째- 기둥에 매달린 아기 침팬지의 모습/ 네번째- 바나나를 먹는 아기 오랑우탄 (모두 본인촬영)


마지막 순서는 일반인들이 들어가지 못하는 비공개구역으로 들어가 아기 원숭이들을 눈앞에서 만나보는 시간으로, 처음에는 흰손긴팔원숭이를 보았다. 아직 어려서인지 사람처럼 기저귀를 차고있었고, 그 어린 몸에 힘은 넘치는지 턱걸이를 6번이나 성공해서 체험객들의 박수갈채를 받았다.

두번째로 만난 아기 침팬지는 5살로 정말 5살의 사람처럼 개구진 모습이었다. 놀라웠던것은 사람의 손처럼 침팬지의 손에도 지문과 손금이 있는 것이다. 오직 몽키밸리 리얼대탐험에서만 확인해볼 수 있는 신기한 사실이었다. 사람처럼 기둥을 잡고 메달려 있는 모습도 놀라웠다. 침팬지가 인간과 98%의 유전자가 동일하다는데, 처음엔 믿기지 않았지만 이번 체험으로 한번에 믿겨졌다.

이후 만난 아기 오랑우탄은 3살 '두리' 라는 친구로 한때 에버랜드 인공포육장인 야생동물아기방에 생활하며 tv동물농장에 몇번 출연했던 유명한 친구라 낯익었다. 이친구는 바나나를 통째로 주니 직접 껍질은 뱉어내는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최종적으로 두리와 함께 체험객 모두 사진촬영을 하고 몽키밸리 뱃지를 기념으로 받으며 60분간의 체험을 마쳤다. 한편 몽키밸리 리얼대탐험은 6월까지 매 주말마다 하루 3타임이 운영되고 2만원의 체험비가 있으며 사전예약이 필요하다. (잔여분 현장예약도 가능)

동물에 관심이 많고 특히 원숭이를 자세히 알아보고싶다면, 에버랜드에서 한번 잊지못할 체험을 해보는것은 어떨까.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2기 문화부 김민정기자

angella0101@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217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970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4135
왼손잡이, 오른손잡이 과연 누가 결정할까? 1 2021.01.15 이채영 17024
더불어민주당 청년 TF, 미소대화 ‘청소년과 정치활동 - 18금 정치를 넘어 민주시민으로 서기’ 개최 file 2021.01.19 김찬영 12650
강미강 작가와 “옷소매 붉은 끝동”의 만남 file 2021.01.19 정주은 31564
'복면가왕' 8연승의 주인공 부뚜막 고양이의 정체는..하이라이트 양요섭 file 2021.01.19 오혜인 13995
연등회,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file 2021.01.20 김서진 13749
플라스틱의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3 file 2021.01.20 이지민 17044
내가 쓰는 스마트폰은 어떻게 만들었을까? 2 file 2021.01.20 강대우 16492
온라인으로 떠나는 핀란드 여행 1 file 2021.01.22 김상현 14027
언제, 어디서나 영어 공부를 할 수 있다고? TED 강연 2 file 2021.01.22 김나희 14740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시작, 올해 달라진 점은? 1 file 2021.01.25 이유진 12167
취임사에서 '통합' 강조한 바이든…샌델은 '능력주의 극복'을 말한다 1 file 2021.01.25 김도원 13574
“전자담배 광고인 줄”... 보건복지부 ‘노담’ 광고에 여론은 ‘싸늘’ file 2021.01.25 박지훈 22162
주린이들의 마음을 사로잡다…유쾌하고 유익한 ‘개미는 오늘도 뚠뚠’ file 2021.01.25 김진영 14581
한옥 체험 리얼리티, 힐링 예능 <윤스테이> file 2021.01.25 권나원 13893
발전하는 전기 재료 file 2021.01.25 정시언 12473
친환경 기업임에도 정상에 선 '앱솔루트 보드카' 이야기 file 2021.01.25 권태웅 15279
2021 도쿄하계올림픽과 패럴림픽 개최 혹은 취소, 정답은? file 2021.01.25 박수영 13679
백신을 맞아도 우리는 마스크를 벗지 못한다 1 file 2021.01.26 김자영 12396
1월의 '충남도서관' 탐방 file 2021.01.26 노윤서 15497
당신 팀의 전력은 안녕하십니까? 2021 프로야구 전력 분석 file 2021.01.26 문청현 15786
팬들의 마음에 불을 지핀 세븐틴의 온라인 콘서트 file 2021.01.27 김민결 17492
코로나 악조건 속 흥행 중인 영화 소울, 어떤 영화길래? 2021.01.27 유채연 15688
2021년 새해를 여는 국내와 해외 기업들의 협업 컬렉션! file 2021.01.27 권유경 13642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024
2020년 정부 기관이 바라본 국내외 게임 동향은 어떨까? 1 file 2021.02.01 김동명 16050
백신,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 지는 것일까? file 2021.02.03 김해승 15594
4차 산업혁명의 떠오르는 별 희토류의 문제 file 2021.02.05 김나영 17719
우리 반에 다문화 학생이 10명이라면? '2021 다문화학생 밀집지역 학교 발전 방안 토론회' file 2021.02.08 김성희 15109
나는 생각한다, 고로 물류한다 <한국청년물류포럼 20기 물류콘서트> 1 file 2021.02.08 김민희 20473
다이소-나마네카드, “부모님 힙한 과거사진을 담아 즐거움 선물하세요” 설 이벤트 진행 file 2021.02.10 디지털이슈팀 16503
'코로나 시대' 설 명절 선물로 나마네카드 각광..."가족사진 담아 선물했어요" file 2021.02.10 디지털이슈팀 13611
“이번 설은 집에서 영상통화 무료로 즐기세요!” 1 file 2021.02.15 김태림 13801
NBA를 흔드는 선율, 유타 재즈의 상승세 2021.02.15 이대성 18621
'코사무이' 랜선 여행 2 file 2021.02.16 서지수 13561
'스포티파이', 드디어 대한민국에... 여전히 없는 '아이유' file 2021.02.18 최다빈 16174
한일교류회, <82년생 김지영>을 말하다 file 2021.02.19 김연주 13050
국민만 디지털 시대? 이제는 정부도 디지털 시대다! file 2021.02.22 정예람 17314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전격 폐지... file 2021.02.22 이지연 16067
2021 LCK 스프링 스플릿 1라운드 Review file 2021.02.22 김형근 12465
"점점 늘고 있는 청소년 흡연" 2 file 2021.02.23 노윤서 13064
공정무역, 과연 안전하고 공정한가? file 2021.02.23 원규리 13849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2998
저는 공짜 음악은 듣지 않습니다 file 2021.02.24 송서연 12090
5G, 내 귀에 전자레인지? file 2021.02.24 이지민 12380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이제는 하다 하다 김치를? file 2021.02.25 김민성 16632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54
책으로 떠나는 '언택트 피크닉' 5 file 2021.02.25 정다빈 14813
‘한국 문학의 영원한 거장’ 박완서 작가 타계 10주기 산문집 <모래알만 한 진실이라도> file 2021.02.26 김민주 14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