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그해 봄은 뜨거웠네

by 6기최시원기자 posted May 23, 2018 Views 109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960년 3마산시의 거리에는 여느 해와 마찬가지로 봄이 찾아왔다아직 채 피지 못한 꽃들이 나뭇가지 위에서 조용히 웅크리고 있던 날겨울이 완전히 가시지 않아 약간 쌀쌀한 바람이 불어오던 한적하고 조용한 거리가 총성과 연기그리고 함성으로 뒤덮이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948년 5.10 총선거의 결과로 수립된 제헌 국회의 간접 선거로 선출된 대한민국 초대 대통령 이승만은 강력한 반공 정책을 펼쳐 아시아의 공산 세력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데 이바지하였다그러나 임기가 진행될수록 그는 반민주적인 정책을 추진하였는데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3선 금지 조항을 초대 대통령에게는 적용하지 말자는 개헌안이 정족수 미달로 부결된 것을 억지로 반올림하여 통과시킨 사사오입 개헌이다.


 3선 금지 조항의 무력화로 이승만은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상대측 후보의 급사로 별다른 방해 없이 당선된다총 12년간의 임기가 마무리된 이후에도 권력을 향한 그의 욕심은 계속되어서, 1960년 제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다공교롭게도 이번에도 상대측 후보 조병옥이 사망하여 이승만의 당선은 확실시되었다그러나 고령인 이승만은 유사시 대통령직을 승계하는 부통령까지 자신이 결정하고자 했고자신이 지목한 이기붕을 부통령에 당선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부정을 저질렀다선거 유세 방해는 물론이고부정 투표와 투표함 바꿔치기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었다이에 전국 각지의 국민들은 부정 선거에 항의하고자 거리로 나섰고그중에서 사태가 가장 악화된 곳이 바로 마산이었다.

 훗날 박정희 전 대통령의 집권에 항거한 부마 민주항쟁(1979)의 근원지로도 유명한 마산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주축이 되어 대규모 가두시위가 일어났고이들을 향한 경찰관의 발포로 사망자가 발생하였다사망자 발생 이후 시위는 더욱 격화되었으나부정 시위를 주도한 내무부 장관의 사임으로 사태는 잠시 진정되었다하지만 이는 오래가지 못했다마산 고등학생 김주열 군이 한쪽 눈구멍에 최루탄이 박혀있는 참혹한 시신이 되어 마산 앞바다에 떠오른 것이다김주열 군의 시신이 발견된 이후 시위는 전국으로 퍼졌다.


ssd.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최시원기자]


 이승만 정권은 시위대를 폭력으로 맞이했다. 4월 18일에 시위 참여 후 귀교하던 고려대 학생들이 정권의 사주를 받은 깡패들에게 습격당했고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발포했다. 4월 19일에는 비상 계엄령까지 선포되었다민중은 더는 인내하지 않았다계엄 선포 당일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들은 김주열 학생 피살 사건에 대한 분노와 당시 정치 상황을 비판하는 선언문을 배포하며 봉기했다. 4.19 혁명이 시작된 것이다다음은 서울대학교 문리대 학생의 4.19 선언문 중 일부이다.


나이 어린 학생 김주열의 참혹한 시신을 보라그것은 가식 없는 전제주의 전횡의 발가벗은 나상밖에 아무것도 아니다저들을 보라비굴하게도 위하(위협)와 폭력으로써 우리들을 대하려 한다. (중략보라우리는 캄캄한 밤의 침묵에 자유의 종을 난타하는 타수의 일익임을 자랑한다일제의 철퇴하에 미칠 듯 자유를 환호한 나의 아버지 형제들과 같이 양심은 부끄럽지 않다외롭지도 않다.”


 비록 짧은 글이지만글 내면에 담긴 분노와 떳떳함을 느낄 수 있다이외에도 많은 학교가 시위에 참여했다중앙대학교에서는 의에 죽고 참에 살자라는 구호를 외치며 가두행진에 나섰고이날 실제로 사용된 플래카드가 중앙대학교 도서관에 전시되어 있다대학 교수단들은 시국 선언문을 발표했다시민들 역시 학생들이 거리에서 시위하는 것을 방관하지 않았다독재 정권을 향한 민중의 분노는 강렬했다계엄령 선포로부터 하루가 채 지나기 전에전국의 모든 도시는 시위대로 가득했다그리고 이들을 진압하라는 명령을 받은 군부는 전차와 다수의 무장한 보병들을 거리에 투입하였지만초등학생까지 섞인 시위대와 조우하자 진압을 포기했다결국, 이승만 대통령은 시위대 대표단과 면담한 뒤 하야 성명을 발표한다. 1960년 4월 26일의 일이다.


 그 날의 거리에 있었던 많은 이들이 오래전에 마지막 숨을 내쉬었지만그들의 정신은 여전히 우리와 함께하고 있다. 4.19 혁명은 장구한 우리 민족의 역사에서 최초로 국민들이 공화정을 타파한 사건이고그 의의는 분명히 깊다. “민주주의는 애국자의 피를 먹고 자란다.”라는 유명한 격언이 있다어느 해보다 뜨거웠던 그해 봄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위해 수많은 열사가 피를 뿌렸고그들의 희생으로 우리는 자유로운 민주 공화국에서 살 권리를 얻었다이러한 지난 세기 우리의 역사는 불변의 진리 한 가지를 알려주고 있다무언가를 얻기 위해서는 기꺼이 피를 흘릴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자유는 거저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더 나은 미래를 얻기 위해 때로는 피를 흘려야 하는 법이다총구 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았던 선조들의 용기와 희생정신을 본받아, 더욱 나은 세상을 만들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기 최시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4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32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763
과연 본인 돈으로는 본인 표만을 사면 안 되는 것일까? file 2019.11.14 조서윤 10714
미국 캘리포니아주 '한글날' 제정 1 file 2019.11.15 이지현 12222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502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372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493
일본군 '위안부' 피해, 오해와 진실 file 2019.11.25 정혜인 10310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303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329
어린이가 안전한 나라...? file 2019.11.28 김두호 10386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852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615
대한민국 가요계의 그림자, 음원 사재기 file 2019.12.02 조은비 11634
지소미아 연기로 고비 넘겼지만...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주목 2019.12.05 박채원 9684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414
영국 총선, 보수당 승리... 존슨 총리의 향후 과제는? file 2019.12.20 김지민 12022
영국의 조기 총선 file 2019.12.23 홍래원 8910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917
한중정상회담의 개최, 향후 전망은? file 2019.12.24 신주한 9098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268
부정선거와 선거 불복...혼돈의 볼리비아 2019.12.26 신주한 9215
주한 외국인 증가율 file 2019.12.27 김희서 8533
학생참여가 가능한 캐나다 선거 Student Vote Day file 2019.12.30 이소민 12118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542
미중 무역전쟁, 승패없는 싸움의 끝은? file 2020.01.02 임수빈 8448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482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1590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953
전쟁의 변화 속 고찰 2 file 2020.01.16 최준우 9798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511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809
'세월호 기억의 벽'을 지켜주세요 2 file 2020.01.17 하늘 10826
미 하원에서 통과된 트럼프 탄핵안, 상원에서는? 1 file 2020.01.20 전순영 9235
'통제된 화재'가 무엇인지 아시나요? file 2020.01.22 권민서 9367
"그는 집을 잘못 골랐어" 괴한을 물리친 82세 할머니의 이야기 file 2020.01.22 김수현 10520
노동자들의 파업, 비난 아닌 연대의 시선으로 1 file 2020.01.23 박효빈 11550
중국 전역을 덮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책은? 3 file 2020.02.03 고기찬 11731
미 전역서 4번째 '여성행진'..."여성들이여, 일어나 소리쳐라" file 2020.02.11 박채원 9147
교육부, 대학 개강 시기 "4주 이내 조정 권고" file 2020.02.12 박가은 9868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10008
리디노미네이션, 그게 뭐야? file 2020.02.12 박하진 12167
반복되는 바이러스 2 file 2020.02.13 전혜은 9474
점점 사라져가는 생물들...생물 다양성을 보전하자! 1 2020.02.13 윤혜림 15022
'기생충' 축하로 시작해 '코로나바이러스'로 끝난 수석·보좌관 회의 1 file 2020.02.14 김도엽 9135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112
여성과 청소년들에게 뻗는 담배회사들의 검은 손 1 file 2020.02.19 남진희 10194
모두 마스크를 쓰세요, 코로나바이러스 5 file 2020.02.20 이도현 9819
대설주의보와 대설경보, 미리 알고 대비하자 1 file 2020.02.21 우선윤 10510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9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