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by annakkm posted Sep 30, 2014 Views 2546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경기도 교육청이 29일 18시 파악한 결과 도내의 약 88.9%의 초중고교가 9시 등교에 참여하는 것으로 밝혔다. 9시 등교 추진의 목적은 가족과 함께하는 아침식사, 바람직한 수면습관 들이기, 학교교육만으로 학생의 꿈을 이루고 진학·진로가 가능할 수 있도록 공교육의 정상화 등으로 현대 청소년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이지만 이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더 거센 듯 하다.

 9시 등교를 반대하는 도내 청소년들과 학부모들의 말에 따르면 9시 등교 정책은 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한다. 도내 중학교를 다니는 A양은 "늦게 기상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늦게 자는 학생들이 많을 것이다" 라며 9시 등교가 학생들의 수면습관을 바로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다수의 학원에서는 '새벽반'을 만들어 등교 전에 학생들이 학원에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이 문제는 특히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게 걸림돌이 되는데 등교 시간이 한 시간 연기됨에 따라 자녀가 혼자 있어야 하는 시간이 늘어나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9시 등교 정책으로 가장 불안해하는 이는 이번 수능을 앞둔 수험생으로 혼란을 겪고 있다고 한다.

 이처럼 정책의 목적의 불실현에 반발한 학생 및 학부모들이 70% 이상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경기도 교육청은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에 대한 반발 또한 크다. 도내 중학생의 자녀를 두고 있는 학부모는 "의견을 수용하지도 않고 무시한 채 정책을 시행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이것은 학생과 학부모의 인권을 침해하는 것 아니냐"라며 이에 대한 불만을 표했다.

 9시 등교 정책이 독일지 득일지 아직 현실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지만 현재로 보아 우리나라 교육에 큰 타격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시행하기까지, 시행한 후로도 '탈'이 날 것 같은 9시 등교. 불만을 토하는 거센 반발의 목소리를 잠재우기 위해 교육청은 9시 등교의 효과를 증명하고 정책 연구를 하루 빨리 실행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인턴기자 권경민

anna_kkm@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45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48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393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793
문재인 대통령, 국가인권위원회 설립 20주년 기념식 축사 "정부정책 비판도 해야" file 2021.11.26 이지은 6772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752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46
농정원, 코로나19 전후 명절 선물 트렌드 변화 분석 결과 발표 file 2022.08.31 이지원 6743
법무부, '로톡'-'변협' 갈등 중재에 나서나… file 2021.08.26 오정우 6708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702
바이든 대통령과 첫 한미 정성회담 통화 file 2021.03.02 고은성 6700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690
한글날 맞아 '한글날 휘호 대회' 가봤더니...한류 열풍에 외국인도 몰려 file 2023.10.12 조이현 6640
한국거래소, 러시아 ETF 거래 정지 발표 file 2022.03.07 윤초원 6638
'동유럽'의 전쟁과 '동아시아'의 전쟁 file 2022.02.28 김준기 6614
중국 대출우대금리 0.05%인하…이유는? file 2021.12.22 윤초원 6569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 청소년 위한 민주시민 교육 ‘좋은시민이란 무엇일까?’ 프로그램 운영 file 2022.08.09 이지원 6557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SOS생명의전화’ 운영 11년 차 맞아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 공개 file 2022.08.12 이지원 6522
국민연금, 대표소송 통해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 나서나 file 2022.02.22 류민성 6514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6507
건국대, 학과 통폐합 강행에...문과대학 학생들 '반발' file 2024.05.06 김태홍 6502
올바른 게임 문화 이해를 위한 '2022 보호자 게임리터러시 교육' 온라인 실시 file 2022.09.02 이지원 6501
[기자수첩] 유치 결정까지 100일...부산 엑스포는 유치될 수 있을까 file 2023.08.22 김휘진 6447
러시아 그리고 우크라이나, 우리에게 주는 영향은? file 2022.02.24 강민지 6404
민주당, 참패.... 文 대통령의 고민 file 2021.04.12 김민석 6402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395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6·10민주항쟁 35주년 기념 ‘2022 민주주의 창작공모전’ 개최 file 2022.06.08 이지원 6393
친환경포장기술시험연구원, 제품 포장재질 및 과대포장 검사 전문기관으로 지정 file 2022.08.22 이지원 6392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363
하이브, 이수만 지분 인수 완료...SM엔터 최대주주 됐다 file 2023.02.22 디지털이슈팀 6354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353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350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339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6338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335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333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307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247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243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234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6228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189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188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183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150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6144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6091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6079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6052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6024
[기자수첩]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엇갈리는 평가 2023.04.03 최민준 6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