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과학에서 '혁명'이란 무엇인가

by 7기신온유기자 posted May 18, 2018 Views 203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과학계에 혁명을 일으킨다과학도라면 누구나 한 번쯤 꿈꾸는 일일 것이다코페르니쿠스갈릴레오뉴턴아인슈타인 등 이 시대에서 존경받는 과학자들은 모두 과학의 혁명을 이룩한 학자들이다꼭 혁명을 일으켜야만 위대하며 존경받을 학자라는 뜻은 절대 아니다혁명이 아니더라도 인간 세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학자들은 오늘도 어디에선가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그들의 노력은 우리 사회에 녹아들고과학의 점진적인 발전을 도모한다.

 

우리는 흔히 혁명을 정치적인 방식으로 생각한다미국 혁명프랑스 혁명러시아 혁명 등이 이런 사례이다이런 혁명을 통해서 과거의 모든 것이 전복되고새로운 질서가 시작된다절대왕정에서 민주주의로봉건제에서 평등한 사회로 바뀌는 등 우리는 무언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달을 때마다 혁명을 통해 우리가 지향하는 방향으로 사회를 이끌었다이러한 혁명의 개념을 과학에 처음으로 제시한 사상가는 임마누엘 칸트라고 소개된다미국의 과학사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토머스 쿤(Thomas Samuel Kuhn, 1922년 7월 18~1996년 6월 17)은 자신의 저서 과학혁명의 구조를 통해 과학혁명의 과정에 대한 견해를 제시한다과학에서도 혁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밝히기보다는과학에서 혁명과 같은 급진적 변화가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과학 혁명의 구조 책 표지.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기 신온유기자]


과학에서의 혁명은 앞서 언급한일상에서 흔히 쓰이는 단어와는 내재된 뜻이 다르다패러다임(paradigm)은 어떤 한 시대 사람들의 견해나 사고를 근본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테두리로서의 인식의 체계또는 사물에 대한 이론적인 틀이나 체계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토머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처음으로 제안한 패러다임은 한 시대의 사회 전체가 공유하는 이론이나 방법문제의식 등의 체계를 뜻한다쿤은 과학의 혁명이 특정 시기의 어떤 과학자들이 지키려고 고집하는 전통즉 패러다임이 지켜지는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쿤의 이러한 주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과학자 공동체가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덕에 도전한다.


그 미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새로운 가설이나 발견이 등장했을 때과학자 공동체는 토론논쟁검증을 통해서 가설을 기각하거나 발견의 오류를 짚는다이런 혹독한 검증 과정을 거치고 나서도 살아남는 것이 비로소 과학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진다이런 설명대로라면과학은 검증 과정에서 살아남은 것들이 조금씩 축적되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그런 점에서 새로운 가설이나 예상치 못한 발견은 과학의 진보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쿤은 비판에 열린’ 태도가 아닌, ‘닫힌’ 태도가 과학 발전의 실체라고 설명한다그는 과학자들이 이렇게 특정한 패러다임을 받아들이고 그 틀 안에서 연구하는 모습을 정상 과학이라고 정의했던 것이다쿤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예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오페라(The Oscillation Project with Emulsion-tRacking Apparatus)에서 발표한 뉴트리노사건이다이 사건은 2011년 과학계를 큰 충격에 빠뜨렸다뉴트리노는 세상을 구성하는 입자 중 하나로한때 빛보다 빠른 물질로 알려졌었다스위스 제네바 근처의 세른에서 약 730킬로미터 떨어진 이탈리아 그란사소까지 뉴트리노 빔을 쏘아 속도를 측정한 결과빛보다 약 1억 분의 6(60나노초빠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뿐만 아니라 과학사를 다시 쓸 만한 발견을 한 오페라 과학자들조차도 연구결과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상대성 이론이라는 패러다임 속에서 과학 활동을 하는 학자로서그것을 무너뜨릴 자신들의 연구결과는 용납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실제로 실험에 참여했던 몇몇은 발표 논문에서 자신의 이름을 빼달라고 요청했을 정도였다.

결국 오페라 측은 뉴트리노의 속도 측정에 영향을 준 오류를 확인했고그 결과 빛보다 빠른 물질의 발견은 6개월 만에 해프닝으로 밝혀졌다빛이 세상에서 가장 빠른 입자라는 하나의 패러다임이 유지된 것이다여기에서 특이한 점은빛보다 빠른 물질을 발견한 연구진조차도 자신들이 발견한 물질에 대해 의구심을 품었다는 것이다자신들이 실험한 결과를 부정할 정도로 기존에 존재하던 패러다임의 영향력은 대단했다.


또 다른 예로는 천왕성과 해왕성의 발견을 들 수 있다뉴턴 이래로 과학자들은 고전 역학을 받아들여 우주의 운동을 설명했다그런데 윌리엄 허셜(William Herschel, 1738년 11월 15~1822년 8월 25)이 망원경으로 지구보다 63배나 큰 태양계의 일곱 번째 행성을 발견하면서 패러다임이 흔들리기 시작했다.그 행성은 천왕성으로천왕성의 궤도는 당시의 고전 역학을 따르지 않았다고전 역학이 틀렸을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그때 과학자들은 고전 역학에 의문을 제기하는 대신패러다임을 지키기 위해 과감한 해법을 내놓았다바로 천왕성 바깥에 또 다른 행성이 존재할 것이라는 가정을 제시한 것이다무리수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결국 이 가정은 1846년 독일의 요한 갈레가 해왕성을 발견하면서 사실로 드러났다.

고전 역학을 지키려는 노력은 해왕성의 발견으로 이어졌다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존 패러다임(고전 역학)은 더욱 강해졌고과학의 진보가 이뤄졌다쿤은 이 과정을 이렇게 요약한다.

 

정상 과학은 패러다임이 미리 만들어 놓은 비교적 경직된 상자에 자연을 처넣으려는 노력이다.” -토마스 쿤, ‘과학혁명의 구조’ 중에서

 

그리고 그는 과학자들이 자신의 패러다임을 온갖 비판으로부터 지키려는 노력이 과학 활동의 진짜 모습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기존에 존재하는 패러다임은 새로운 발견의 수용을 막는 절대적인 벽이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그러나 기존의 패러다임은 그 역시도 충분한 비판과 수용의 과정을 거쳐 자리매김한 것이다따라서 이미 존재하는 고유한 패러다임에 대해 그렇게까지 생각할 필요는 없다오히려 이전 연구의 축척물인 패러다임들의 존재가 과학이라는 배의 방향키 역할을 해주기도 한다허무맹랑하거나비과학적인 연구결과들이 학계에 나오게 되더라도기존의 패러다임을 기본적인 판단의 근거로 삼아 쉽게 제외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결론적으로 쿤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과학혁명이 기존의 패러다임을 유지하려는 과정에서 일어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반대되는 의견을 제시한 인물이 있었으니 그는 바로 영국의 철학자 카를 라이문트 포퍼(Karl Raimund Popper, 1902년 7월 28~1994년 9월 17)이다포퍼는 쿤 이전까지 가장 영향력 있던 과학철학자였다그는 추측과 논박을 통해서 과학의 혁명이 진행된다고 주장했다끊임없이 회의하며 비판하는 시각이야말로 과학의 본질이며인류가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가져야 할 이상적인 태도라고 주장한 것이다.


이렇듯 혁명의 과정을 설명하는 방식에는 견해가 갈린다그러나 중요한 것은 혁명은 그 결과 자체로도 가치가 있다는 점이다지금까지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해오던 하나의 개념을 뒤집고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것은 결과적으로만 보았을 때에도 충분히 존경받아 마땅한 일이다그러나 그 과정은 결과라는 달콤함을 모두 덮기 무색할 정도로 까다로우며어렵다연구 결과에 따른 주장은 여러 비판을 뚫을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해야 한다.


지금도 과학계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주장이 제기된다연구 결과 끝에 탄생하는 이 주장은 또다시 패러다임을 뒤흔든다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하나의 주장이 패러다임으로써 인정받기까지 많은 논쟁을 거친다는 점이며이 결과 밝혀낸 패러다임은 인류가 미지의 세계에 한 발 더 가까워졌음을 의미하는 지표라는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7기 신온유기자]

TAG •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684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408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5601
과천과학관 방문기 1 2017.11.24 안정민 21626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3 교토 (2) 2 file 2017.02.22 박소이 21624
여성, 페미니스트에 대한 설문조사 5 2018.06.14 김서현 21616
파이썬 개발자들의 모임의 장, 파이콘 2017 컨퍼런스 file 2017.05.24 임수진 21594
아름다운 한글 , 아름답게 쓰는 청소년이 아름답다 2014.08.04 박주언 21594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569
자장면?짜장면! 짜장면의역사를 알아보자! <짜장면박물관> 2018.10.29 심화영 21550
집 앞의 숨은 촬영 명소, 부산 동구 12 file 2016.02.24 이민지 21524
한국 외교의 발자취가 담긴 외교사료관에서 외교관의 꿈을 키워보자! file 2019.02.11 이채빈 21520
제63회 백제문화제, 공주와 부여에서 열려 file 2017.10.31 백지연 21517
베트남 사파를 아시나요? file 2020.01.14 정다솜 21516
'패드립', 도대체 왜? file 2016.07.31 박채원 21503
사회 풍자의 정석, 동물농장을 읽다. file 2017.04.14 박소이 21502
새로운 팬덤 문화의 시작, '아미피디아' 4 file 2019.04.03 김여진 21501
현대자동차 ‘코나 일렉트릭’ 출시, 전기차의 장단점은? 3 file 2018.04.25 김성백 21494
일본 오사카 성의 화려함 뒤에 감춰져 있는 우리는 모르는 역사 file 2018.12.03 이수영 21481
공포의 이안류, 갑자기 떠내려가... 5 file 2017.08.06 송가현 21462
서울역사지킴이, 새싹들에게 일월오봉도를 알리다 4 file 2017.01.24 박수연 21454
농업선진국을 향한 도약, 스마트팜(smart farm) file 2017.03.18 오지현 21424
일본군‘위안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담은 ‘마리몬드’ 5 file 2017.01.23 강예원 21422
1인 미디어 수익 기부, 이런 BJ도 있어요! 4 file 2017.03.05 정서희 21393
우리가 축제를 만든다고! <제5회 이천시청소년연합축제> file 2019.05.16 현승필 21378
“아임 파인 땡큐 앤 유?” 영어가 배우고 싶은 도깨비 할매, <아이 캔 스피크> file 2017.11.09 박세진 21366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1353
몽골, 이토록 아름다운데 한 번쯤은 가봐야 하지 않겠어? 2 2020.01.22 조하은 21330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갯벌 속으로 ‘2019 고창갯벌축제’ file 2019.06.25 조햇살 21322
개소리를 알아듣는 방법, 카밍 시그널 file 2017.08.27 김수현 21315
땅 파서 버는 돈, 비트코인 file 2017.04.03 장혜련 21310
모드리치, 호날두·메시 시대의 막을 내리다. file 2018.10.01 전도헌 21288
"문복아 췍길만 걷자", "어차피 우승은 장문복" 화제의 인물 장문복 1 file 2017.03.22 김다정 21282
함께 만든 100년 함께 만드는 미래 file 2019.03.13 이서진 21271
달콤한 초콜릿의 유혹... 이겨낼 수 있을까? 14 file 2016.02.15 신경민 21269
軍과 함께하는 '2017 원주 다이내믹 댄싱카니발' 개막 1 2017.10.09 김혜원 21257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250
진로에 고민이 많은 10대를 위한 꿈수레 전공체험박람회 8 file 2017.02.04 이현지 21236
3·1절을 맞은 온양온천전통시장의 풍경 2 file 2016.03.02 이지영 21232
교육 기술의 모든 것을 한곳에서! 2017교육박람회(EDUTEC) 9 file 2017.01.21 노유진 21227
세계 난민의 날- 세계 난민 현황 1 file 2016.06.22 노태인 21221
'어른이'들을 위한 한강 놀이터 2 file 2017.08.27 강유진 21192
우리 아이들의 미래, 이젠 노란 신호등이 지킨다. file 2017.09.01 안소희 21182
국내 바다가 지겹다면 대마도 미우다 해변으로! 1 file 2017.09.05 이지원 21172
왜 가을 하늘은 높고 푸를까? 1 file 2017.10.18 김나경 21167
도심 속 환경으로, 서울환경영화제(SEFF) file 2018.05.31 박선영 21163
'내 꿈을 소리쳐!' - 제8차 청소년 연설대전, 막을 올리다 file 2017.07.25 홍정민 21145
가을과 코스모스, 연천군 코스모스 축제 file 2017.10.19 이다은 21131
전국학생 나라사랑 토론대회: 청소년이 말하는 한국 file 2017.02.28 최지민 21126
탈북 여대생 박연미, 전 세계를 대상으로 북한의 실상을 드러내다 file 2019.06.19 이승하 21120
송도, 유튜버들의 집합소가 되다 file 2019.09.23 김민진 211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