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아직 해결하지 못한 숙제, 소년법

by 6기성채영기자 posted Apr 16, 2018 Views 1194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큰 화제가 되었던 부산 여중생 폭행사건의 가해자들에게 두 달 전, 소년법에 의해 형사 처벌 대신 소년부 송치 결정이 내려졌다. 지난해 9월,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에 이어 강릉에서도 유사한 사건이 발생해 네티즌의 공분을 샀다. 이 때문에 화제가 되었던 것이 소년법이다.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국민 청원은 30일 동안 20만 명 이상의 추천을 받았다. 사실 위에 언급한 사건들은 우리나라에서 일어나는 학교폭력의 극히 일부분이고 알려지지 않은 사건들도 많다. 소년법은 청소년이 범죄를 저질렀을 때 형사처분에 관한 특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법이다. 청소년 범죄율이 증가하고 미성년자의 폭행 정도가 흉악해져 소년법을 폐지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진 것이다.

  PIC1752979319.JPG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합니다.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성채영 기자]


  소년법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청소년들이 소년들이 소년법을 악용하여 잔인한 행동을 일삼기 때문이다. 앞서 제시한 폭행사건의 경우 가해자들 모두가 소년법의 보호 대상으로 가벼운 형벌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 국민들의 화를 부른 것이다. 또한, 처벌이 미약하기 때문에 재범의 위험성이 크고 범죄가 악랄해질 수 있다.


  한편, 소년법 폐지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소년법 폐지로 청소년 범죄를 해결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실제로 2007년 소년법을 한 차례 개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범죄의 증감률은 별로 차이가 없었다. 청소년들을 통제하고 억압하기보다는 청소년 범죄 예방을 위한 사회적인 지원과 제도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소년법에 관한 문제는 사실 동전의 양면이다. 청소년 범죄의 수위를 보면 처벌을 강화해야 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에게는 아직 남은 미래가 있기 때문에 반성과 회개의 기회를 주고 앞으로의 바른길로 나아갈 가능성을 믿어주어야 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자신이 저지른 일에 대해서는 대가를 치르고 같은 잘못을 두 번 저지르지 않도록 하는 방향으로 양측의 타협점을 찾아 절충안을 내놓는 것이 시급하다. 언론에 대두되지 않을 뿐, 학교폭력은 언제나 발생하고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과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란 보장은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성채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우소영기자 2018.04.27 23:39
    최근 소년법에 관심이 많이 가는데, 저도 참 문제가 많은 법이라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03
    저는 소년법관련 문제도 청소년과 성인이 함께 토론하여 해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야 청소년의 생각과 성인들의 생각을 모두 반영할 수 있으니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13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42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753
한반도 평화 물꼬 튼 '평창 동계올림픽' 1 file 2018.05.02 이선철 11912
박근혜 전 대통령 검찰 조사 D-3...과연 진실은 밝혀질까? 3 2017.05.12 김수연 11908
국가를 이끄는 힘! 정치구조와 정부 비교, “한국과 중국의 정치구조” file 2021.10.29 권나연 11907
선거마다 발병하는 고질병들, 언제까지 유효할 것인가 3 file 2017.04.25 정혜정 11905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1904
경상북도 안동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건립, 그 미래는? 1 2017.07.01 윤나민 11899
악성 댓글, 이대로 괜찮을까? 2 file 2020.01.13 조연우 11891
미투 운동, 누가 진실을 말하고 있는가 file 2018.03.02 이승현 11888
낙태죄, 이대로 괜찮은가? 4 file 2017.11.24 장서연 11876
5060 신중년 정책, 국민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1 2017.09.05 김민주 11874
'스몸비', 좀비가 되어가는 사람들 1 file 2018.10.04 신미솔 11866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865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1863
제천 화재 사건의 근본적 원인은 우리다 2018.01.03 제규진 11863
'여성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9.27 홍유진 11860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852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 1 file 2017.10.23 변서연 11851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850
피청구인 박근혜, 靑 을 쫓겨나다. file 2017.03.12 유태훈 11849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1846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되어야 할 안건인가? file 2018.03.01 김은서 11844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843
"가히 무술옥사(戊戌獄事)", 이명박 4대 혐의 반박 2018.04.12 김예준 11832
노인 복지 정책, 어떻게 얼마나 변했는가? file 2018.07.26 장서진 11831
병봉급 인상, 병사들 어디에 쓸까? file 2018.03.27 윤보석 11831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1819
강릉 가스 사고, 그 책임을 묻다 file 2019.01.03 박현빈 11815
모든 코로나에 대적할 슈퍼항체를 발견하다 file 2021.08.27 유예원 11812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808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801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799
순환되지 못하는 경제, 젠트리피케이션 2 2019.02.01 권오현 11793
일본의 거짓말은 어디까지인가 3 file 2019.02.27 노연주 11792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772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770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760
한국 관광업의 미래, 관광데이터분석가 file 2018.11.05 이승철 11759
정의당 원내대표 故 노회찬 국회의원 영결식 국회장으로 엄수 7 file 2018.07.31 허기범 11751
제 2의 평택 아동 암매장 살인사건 막자 file 2017.03.18 황수민 11748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746
설 곳을 잃어가는 고졸채용 1 2019.03.04 장지선 11737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737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736
자유한국당 해산심판 청원 등록...'들끓는 민심' 2 file 2018.05.25 양성민 11729
일탈 행위에 빠진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9.27 김하늘 11726
페미니즘을 선언하자! 14 file 2017.11.14 배성연 11720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719
언론의 힘, 그리고 언론의 빛과 어둠 file 2019.06.03 박은서 117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