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다른 세상에 사는 두 소녀의 이야기,<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by 6기김수민기자 posted Mar 29, 2018 Views 167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8회 문학동네 청소년 문학상 대상 수상작인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는 과거와 미래에 사는 두 은유가 이어지며 시작된다. 이 이야기는 따로 서술자가 없이 소녀들이 주고받는 편지 형식으로 꾸며졌다. 그렇기 때문에 소제목들은 모두 ‘~에게로 나타나 있다. ‘나에게로 시작했던 편지는 딸에게로 끝을 맺는다. 그리고 마지막에 추가된 ‘보내지 못한 편지_은유에게는 딸을 향한 엄마의 그리움과 애틋함이 녹아있어 독자들의 눈물을 자극한다


은유와 은유가 편지를 주고받는 과정에서 그들은 함께 성장하고, 서로의 삶을 얇은 종이 한켠에 공유한다. 독자들은 그들의 편지를 함께 읽으며 스스로 인지하기도 전에 두 소녀의 이야기에 흠뻑 빠지게 될 것이다.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사진.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수민기자]    

 

과거와 미래를 다룬 소설과 영화들은 지금도 다양하게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러나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의 저자, 이꽃님 작가는 그 흔한 소재를 자신만의 따뜻하고 편안한 글로 전혀 흔하지 않게 만들었다장난치듯 가벼운 문장과 묵직하게 여운을 남기는 문장을 오묘하게 배치하여 끊임없이 읽어 내려가게 된다. 마지막의 반전은 짜릿함을 넘어서 엄마와 딸 사이에서만 나오는, 형용할 수 없는 먹먹한 감정을 준다. 세계를 건넌 편지가 그랬듯이 두 은유는 서로에게 큰 버팀목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버팀목은 우리 주변 어딘가에 하나쯤은 꼭 있다. 세계를 건널 정도의 애틋한 편지지가 꼭 어딘가에는 있다.


늘 이곳저곳에 치여 지친 청소년들에게는 물론, 어딘가 상처를 가지고 살아가는 세상 모든 이들에게 두 소녀는 함께 슬퍼할 수 있는 친구일 것이다. 두 은유는 소중한 사람들을 잃고, 그리워하고, 아파하는 그 시간들이 고통이 아닌 그리운 그 사람을 기억하고, 끝에는 놓아줄 수 있는 시간임을 알려주고 있었다.

 

 

"이제야 알겠어. 그 먼 시간을 건너 네 편지가 나에게 도착한 이유를.

너와 내가 있는 이 시간들이, 그 모든 순간들이 모여

있는 힘껏 너와 나를 이어주고 있었다는 걸."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본문

 

"엄마는 늘 네 곁에 있을 거야. 아주 예전부터 그랬던 것처럼.

이 편지가 그랬던 것처럼.

세계를 건너 너에게 갈게."

'보내지 못한 편지_은유에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6기 김수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18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35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171
영화 '닌자 터틀: 뮤턴트 대소동', 이달 14일 개봉 file 2023.09.22 김민곤 7151
영화 '닌자터틀', 닌자 거북이 형제가 그리는 성장 이야기 file 2023.10.01 김민주 6753
영화 '다른 길이 있다', 무엇을 위한 비난인가 1 file 2017.02.22 이세림 16939
영화 '마션'의 현실판... 화성 감자재배 실제로 가능하다? 8 file 2016.02.24 김예지 22750
영화 '미나리' 인기 와중 미국 내 반아시아인 혐오 범죄 발생 2021.03.26 김민주 13554
영화 '미나리', 기생충의 명성을 이어갈까? file 2021.03.29 권나원 16194
영화 '미녀와 야수'와 함께 동심의 세계로! 1 file 2017.03.25 연지원 15304
영화 '범죄도시'에 등장하는 조선족,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12.22 김민지 15922
영화 '베테랑'과 '부당거래'는 다르듯 같다. file 2017.12.26 손종욱 17061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흥행, 그리고 싱어롱 문화 1 2018.11.28 김수민 20991
영화 '사나: 저주의 아이', 이달 4일 개봉 file 2023.10.01 유영진 7443
영화 '아이 캔 스피크' 부산 프리미어 시사회 2 file 2017.10.12 이주연 20013
영화 '조작된 도시' 평점 조작 의혹 1 file 2017.04.08 김유진 16602
영화 '타이타닉' 20주년 맞아 국내 2월 재개봉 2 file 2018.02.20 김다연 17182
영화 '택시운전사' 누적 관객 수 1000만 돌파, 역대 13위 1 file 2017.09.12 임소은 15523
영화 '택시운전사' 흥행의 비결은? 1 2017.08.25 문경은 15025
영화 '트루먼 쇼'가 다루는 사회적 문제점 1 2020.06.29 유태현 19794
영화 ‘겟아웃’으로 본 국제적 인종 차별 file 2017.06.06 이소미 15509
영화 ‘모아나’를 통해 알아보는 자신의 꿈을 향해 걷는 방법 2 file 2017.02.25 이예인 14858
영화 ‘택시운전사’ 1200만 관객 태우고 흥행중! 1 file 2017.10.30 정예림 15128
영화 ‘피터 래빗’ 시사회 성황리에 개최..허팝·나하은 등 참석 file 2018.05.08 디지털이슈팀 18336
영화 겟 아웃의 나오는 인종차별에 대해 알아보자 1 2020.09.25 김경현 17701
영화 관람 환경이 바뀐다, OTT 서비스의 발전 2020.11.26 이준표 14029
영화 그들이 짜놓은 세상 조작된 도시로 알아보는 가짜 뉴스 1 2017.04.30 장하늘 13874
영화 속에서 과학을 보다, 국립부산과학관 ‘영화 더하기 과학’ 특별기획전 2 file 2017.03.25 김혜진 17140
영화 재심 속에서 우리 사회의 뒷모습을 직면하다 2 file 2017.03.26 박소영 14926
영화'택시운전사'가 알려준 그 시대의 사실들 7 file 2017.08.08 이윤지 19554
영화, `모아나' 논란 10 file 2017.01.25 전인하 20674
영화, 부천시 소향관에서 무료로 보세요. 1 file 2017.02.27 어지원 16109
영화, 환경을 품다.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6.05.20 박소희 14841
영화..그리고 청소년 [MOV동아리활동] 10 file 2017.01.30 김윤서 15054
영화관 매출 내리막, 극복할 수 있을까? file 2022.01.24 박예슬 9925
영화관, 공연장 '좌석 띄어 앉기' 해제, 전 좌석 예매 가능 file 2020.11.06 홍재원 15557
영화관이 영화를 선택해준다고? 8 file 2019.12.03 정예람 22849
영화를 통해 환경을 생각하는 '제14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7.06.03 문정호 15224
영화의 기억, 영화 굿즈 스토어 1 file 2020.12.30 이준표 16877
영화전공이 들려주는 2020 OSCAR 이야기 file 2020.05.18 정근혁 14847
예금자보호를 받지 못하는 금융상품도 있을까? file 2017.07.23 박나린 15193
예비 고1, 아무도 알아주지 않은 작지만 거대한 그들의 상처 3 file 2020.12.24 문청현 24761
예비 선교사들, 3월 16일 친목과 교육 가져 file 2016.03.22 최선빈 16301
예쁜 추억을 만들려면 삼척맹방유채꽃밭으로 오세요~! 1 file 2017.04.18 정유진 14812
예산 청소년미래센터 청소년운영위원회 첫걸음 떼다 file 2018.01.24 신다인 14987
예술 작품으로 승화한 몰카의 위험성 6 file 2017.09.15 이현지 15098
예술과 패션의 조화, 2015 S/S 서울 패션위크 file 2014.10.21 박정언 22526
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 ‘예술인 창작지원금’은? file 2021.07.06 김민아 15531
예술적인 끼를 마음껏 발산하라, 동부중학생 음악경연대회 1 file 2016.11.07 오시연 15849
예전과 달라진 오늘날의 추석 1 file 2016.09.25 김나연 24230
옛 전남도청, 5.18민주평화기념관으로 문 열다 1 file 2018.07.30 조햇살 190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