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by 6기구희운기자 posted Mar 05, 2018 Views 122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지난 2 24(현지시각) 시리아에서 30일간 휴전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시리아 내전은 2010 정부의 부패, 빈부 격차, 청년 실업 등으로 인한 젊은이들의 분노로 일어난 중동 민주화 운동인아랍의 영향을 받아 처음 발발했다. 내전의 시작은 단순했다. 2011 3 시리아 데라(Derra)에서 15명의 학생들이 이집트와 튀니지의 혁명에 사용되었던 구호를 벽에 놓은 것이 시발점이다. 정부는 사건에 연루된 학생들을 체포했고, 시민들은 학생들의 석방을 요구하는 평화시위를 진행했다. 그러나 시위에 대한 정부의 반응은 평화적이지 못했다. 정부는 3 18 진행된 시위에서 4명의 시민에게 발포했다. 그렇게 시작된 정부의 무력 진압은 시민들의 마음속에 쌓여 있던 분노가 폭발하게 되는 빌미를 제공했고, 정부군과 반정부군의 본격적인 대립이 시작되었다. 내전은 시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다른 국가들에게도 조금씩 영향을 미쳤다.

 

 시리아 내전의 가장 문제는 시리아를 점점 희망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피폐한 나라로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시리아 내전은 20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수많은 시민들의 희망을 앗아갔다. 심지어 시리아 정부군이 시민을 상대로 화학무기까지 사용했다는 사실이 보고되기도 했다. 시리아 정부군의 집중 공격의 대상이 시리아의 ()구타 지역은 공격이 시작된 2 18일부터 2 28일까지 열흘간 사망자가 무려 500 이상이라고 추정된다. 문제는 그뿐만이 아니다. 내전으로 인해 발생한 난민 수는 1100 명이다. 이는 시리아 전체 인구의 절반에 육박하는 수로, 가늠조차 없다.


캡처.PNG


시리아 내전의 폐해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 구희운기자]

 , 시리아 내에서 세력을 키우고 있는 IS(급진 수니파 무장단체인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 시리아를 넘어 세계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IS 시리아 어린이 200여명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하기도 했다. 시리아 내전은 많은 사람들에게 상처를 주고 그들의 희망을 빼앗아가고 있다. 터키 바닷가에서 발견된 소년 아일란 쿠르디의 주검을 보고 세계가 울었다. 하루빨리 내전이 종식되어 시리아가 희망의 땅으로 불리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 구희운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한유성기자 2018.03.12 20:18
    뉴스에서 종종 봤는데 사망자가 20만 명 이상이라니 생각보다 상황이 안 좋네요 기사 잘 보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90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6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422
정부가 만든 AI사태 2 file 2017.02.16 박현지 13070
'제2의 조두순'사건에 분노하는 국민들..아동 성범죄 처벌 강화해야.. 6 file 2018.01.10 이정은 13087
포항 지진... 피해 상황은 어떤가 2017.11.28 이지혜 13089
논란 많은 한국의 페미니즘, 왜? 5 file 2018.08.23 김성백 13096
미래 원자력정책 탈원전, 과연 현실적인가 1 file 2017.03.13 최가현 13098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3098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3105
아픈 우리 아이, 치료방법 있나요? 1 file 2018.06.11 이승현 13114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114
美 워싱턴주, 시신을 흙으로 만드는 법안 통과 1 file 2019.05.24 이현 13129
기아자동차 스팅어, 시승차 화재에 이어서 고객 출고차량 엔진 과열로 차량교체.. file 2017.07.19 김홍렬 13130
박 前 대통령 탄핵...해외 반응은? 4 file 2017.03.11 정예빈 13131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3133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3137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146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그게 정확히 뭐죠? 2019.04.29 박수혁 13148
공공의대 설립, 정부와 의사 간의 팽팽한 논쟁, 그 승자는? file 2020.09.21 김가은 13149
국공립대학교 입학금 전면 폐지하다! 1 file 2017.08.27 김규리 13164
하늘의 별이 된 설리, 우리가 해야할 숙제는? 2 file 2019.11.15 정다은 13185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3187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3192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3206
국민을 기만하는 가짜뉴스, 대처방안은? 2 file 2018.09.03 박민서 13214
나라 싸움에 등터지는 학생들 file 2017.03.25 김윤혁 13221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3222
주황리본을 아시나요? 5 file 2017.08.17 김영인 13225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3239
의정부 고교생 장 파열 폭행 사건... 과연 진실은? 1 file 2019.02.26 최수혁 13240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240
한겨레교육, 꼭 알아야 하는 글쓰기 교육 11월 개강 file 2022.11.01 이지원 13252
이주노동자에 대한 청소년 인식 개선 시급 file 2018.11.26 여인열 13263
브렉시트....현재 진행 상황은? file 2017.12.12 현승현 13271
말 한마디 없이 광고의 의도를 전달한다고? 2019.06.24 김여진 13282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3286
주소지 파악 불가한 정체불명의 ‘대한민국청소년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8.02.26 디지털이슈팀 13297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 file 2017.03.11 한지선 13300
세계 성평등 지수 국가 7위인 뉴질랜드와 115위인 한국이 바라보는 페미니즘은 다를까? 1 2020.05.19 박혜린 13301
정치에 참여할 수 없는 사람들 1 2017.02.16 김유진 13312
일본 불매운동, 왜? file 2019.08.28 김민경 13312
덴마크 법원, 정유라 구금 4주 연장...송환 장기화 2 file 2017.02.25 박지호 13315
노동인권을 다룬 만화, '송곳'을 통해 알아보는 노동3권 1 file 2017.09.11 신동경 13316
불거지고 있는 인터넷 실명제 논쟁... 해결책은? 3 file 2019.11.18 박수빈 13319
'Be 정상회담' 청소년이 정책의 한가운데 서는 시간 file 2017.11.01 오주연 13329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수, 보호무역 1 file 2017.10.25 김규리 13332
포항 5.4 지진으로 보여준 필로티의 위험성 1 file 2017.11.23 김성연 13333
평화를 위한 한 걸음, 평화 기림상 건립 제막식 열려 1 file 2017.03.13 임수종 13334
로봇세 부과해야 하나 2021.03.08 김률희 13335
패스트푸드는 이제 안녕, 오늘부터는 슬로푸드 file 2019.06.07 이채은 133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