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by 6기정예현기자 posted Mar 01, 2018 Views 195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화재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화재의 발생 원인으로는 건물 재료가 큰 영향을 끼쳤다. 지난 2017년 12월 화재사고가 발생한 제천 스포츠센터는 건물 외장재로 ‘드라이비트’를 사용하였다. 드라이비트 공법은 스티로폼으로 외벽을 감싸고 그 위에 시멘트를 발라 마감하는 공법이다. 이는 습기가 적고 단열이 잘 되며, 가격이 싸고 시공이 간단하여 대중화되었다. 하지만 스티로폼은 가연성 자재이기 때문에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1월 25일 대전소방본부는 드라이비트 외장재 연소실험을 하였다. 실험에서는 스티로폼, 아이소핑크, 난연 스티로폼, 글라스울의 4가지 소재를 드라이비트 공법을 이용하여 제작, 연소하였다. 그 결과, 스티로폼은 불을 붙인 지 약 45초 만에 외벽 중층부 온도가 350도까지 상승하였다. 정부는 2015년 1월 경기도 의정부시 아파트 화재 이후 6층 이상의 건물 외벽에는 드라이비트용 단열재를 가연성 소재로 사용할 수 없도록 건축법을 바꿨지만, 그 이전에 시공된 건물은 법적 조치를 할 수 없는 상황이라 또 다른 화재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화재 발생의 또 다른 원인으로는 ‘필로티 구조’가 있다. 필로티 구조는 1층이 기둥으로 지탱되어 벽면이 모두 뚫려있어 2층부터 주거공간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다. 또한 1층을 지상 주차장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때문에 필로티 구조를 사용한 건물들은 건물 밖이 바로 주차장인 이유로 방화문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불이 나면 순식간에 번질 수 있는 것이다. 제천 스포츠센터 또한 1층이 개방되어 있고 그 위층들은 모두 밀폐되어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 번 불이 번졌을 때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었다. 뿐만 아니라 지난 1월 발생한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에서 또한 필로티 구조가 큰 영향을 미쳤다. 밀양 세종병원은 1층에서 화재가 시작되어 불이 번졌으며 건물 내부에 스프링클러 설치가 되어 있지 않아 더욱 큰 사고로 이어졌다.


 그렇다면 화재가 발생했을 시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먼저 방화문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지만 아파트 비상구 입구에 위치한 방화문은 불편하다는 이유로 열어놓는 경우가 많다. 방화문을 인위적으로 열어놓는 행위는 불법이다.


정예현.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정예현 기자]


방화문에 붙어있는 안내문에는 위의 사진과 같이 문을 개방하여 놓을 경우 200만 원 이하의 과태료 처분을 받습니다.’본 출입문을 꼭 닫아주시기 바랍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하지만 방화문이 개방되어 있는 일은 대다수이다.


또한 아파트 베란다의 경량 칸막이도 화재 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경량 칸막이는 불이 났을 때 옆집으로 피난할 수 있게 쉽게 부서지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경량 칸막이가 있는 공간은 많은 사람들이 물건을 쌓아두는 창고로 사용하고 있다. 게다가 경량 칸막이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많아 실제 화재 시에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다.


화재 발생 원인을 찾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화재의 원인이 되는 것 중의 하나인 안전 불감증을 극복하는 것은 더욱이 중요하다. ‘나의 주변은 안전하다라고 생각하기 전에 한 번 더 주위를 살피고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대처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6기 정예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645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00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301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321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876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1014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635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495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729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282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860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3990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555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291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500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423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01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862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354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601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352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795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256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7635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306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302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0968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787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78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90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073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771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74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527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060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505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720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377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28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00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78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55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81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640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829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52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23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31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774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08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9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