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by 8기이현규기자 posted Feb 28, 2018 Views 161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쓰레기로 연료를 만들어 난방을 하는 세상하지만 위험 가능성이 있다면 이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

최근 다양한 환경문제와 천연자원의 유한성에 따라 여러 가지 신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고 있다이 중에 SRF 열병합 발전에 대해 알고 있는가?

 

 SRF(Solid Refuse Fuel) 열병합이란 고체형태의 폐기물로 만들어진 재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용 터빈을 구동하여 전력을 만들고폐열을 이용하여 고압 증기와 온수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그런데 SRF 열병합 발전소를 두고 극심한 찬반논란이 오가고 있다왜 이런 현상이 발생할까?

 

┗ SRF 열병합 발전소의 빛과 어둠그 둘의 교차점은?

 SRF 열병합 발전소가 갈등을 맺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으며 주요 이유로는 SRF의 안전성과 경제적 이익에 있다.

 SRF는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다이옥신다양한 미세먼지 등을 거르지 않으면 인체와 환경에 큰 악영향을 끼친다특히 다이옥신 같은 경우는 다양한 피부 질환암 유발 등 소량으로도 극심한 문제를 이끌어 내기에 민감한 물질이다이에 대해 산업부는 SRF가 국제적으로도 입증이 되었으며 정해진 처리 과정을 거치면 유해 물질을 모두 제거하여 환경과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하지만 해당 주민과 해당 지역은 불신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우리나라가 SRF에 대한 규제가 느슨하고 관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런 갈등에도 SRF 열병합 발전소의 실행을 기획하는 이유는 또한 쓰레기를 매립하고 소각하는 비용을 쓰레기를 연료화함으로써 크게 절약할 수 있으며난방도 아주 값싸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역시 안전성 문제와 큰 갈등이 빚어지며 여전히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caecdfc683fcb9b2e38d8285774b34e5.jpg

-나주 SRF 열병합 발전소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현규기자]

 

 대표적으로 전라남도 나주 빛가람 혁신도시 지역의 SRF 열병합 발전소 갈등을 예로 들 수 있다나주시의 열병합 발전소는 2009년 3월 나주목포순천 처리 시설에서 생산된 전남권 성형 RDF만 사용하기로 했지만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추진으로 광주권의 SRF도 연료로 들어오게 되었다이러한 상황에서 SRF 발전소를 시험 가동하게 되고 주민들이 반대하며 중단을 요청함으로써 갈등이 시작되었다나주시와 주민들은 환경 영향 평가에서는 SRF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고 주장하며 환경부에 건의했고이에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법적 대응을 보이며 여러 가지 갈등을 보이고 있다나주시의 주민 중 SRF에 반대하는 의견을 보인 주민은 시험 가동 중에 중국에서 온 미세먼지와 섞여 집 환기부터 어려움이 생겼고이비인후과 방문이 잦아졌어요호흡기뿐 아니라 피부 가려움증의 반응도 있더라고요. SRF 연료 자체가 재활용이 힘든 폐타이어 등의 쓰레기를 태우는 것인데 과연 유해물질을 완벽히 걸러낼 수 있을지가 참 의심스럽네요.”라는 반응을 보이며 분명히 SRF 열병합 발전소는 우리에게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하지만 발전소를 찬성하는 나주의 한 고등학생은 충분히 SRF에 대한 규제를 가지고 고체연료를 만드는데 왜 불신하죠오히려 우리한테도 경제적으로 이익이 되는 발전소를 찬성합니다.”라는 식의 반응을 보이며 옹호하는 입장도 있는 상황이다. SRF 열병합 발전소에 대한 적절한 조정이 나주시와 다양한 지역더 나아가 우리나라에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bf72ed896f52cf508bbdf7ce71e8d31b.jpg

 - 나주 열병합 발전소 SRF 사용 반대 포스터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현규기자]

 

 천연자원의 유한성환경오염 등으로 신재생에너지가 주목을 받는 시대가 다가왔다이런 시대에 SRF 열병합 발전을 둘러싼 갈등과 같이 안전성과 경제성에 관련된 문제라면 이러한 비판적인 반응과 옹호적인 반응이 서로 갈등하고 타협조정하여 미래의 시대에 대비해 엄격한 규제와 적절한 에너지 생산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6기 이현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기상기자 2018.03.03 01:35
    잘못된 관리가 지속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제대로 된 규제와 청렴한 운영 시스템이 마련되면 좋겠네요 개인적인 생각으론 경제성보다는 안정성이 우선되어야 할 것 같아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06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71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0799
방역패스,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1.12.22 김가은 8371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377
매미나방, 이대로 두어도 괜찮을까? 1 file 2020.08.24 송윤슬 8379
'전태일 정신 계승' 전국노동자대회 그리고 전태일 3법 1 2020.11.19 이정찬 8383
고3 학생들과 함께한 이번 선거 file 2020.05.04 손혜빈 8405
무너져버린 일국양제, 홍콩의 미래는? 2021.03.29 김광현 8407
선거 7번 출마, 허경영…. 서울시장 선거 3위 기록 file 2021.04.12 김민석 8411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413
중국 비상 코로나19에 이어 중국에서 브루셀라병 대규모 확진 file 2020.09.23 오경언 8419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422
전국 학생들이라면 모두 받을 수 있는 '농산물 꾸러미' file 2020.06.29 하늘 8422
조작된 공포. 외국인 이주노동자 1 2020.11.16 노혁진 8424
737 MAX 다시 운행해도 괜찮을까? file 2020.04.24 이혁재 8431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8435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불러온 'Sinophobia', '아시안 포비아'로 확산중 file 2020.03.02 김수진 8444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448
깊어지는 이준석 갈등, 국민의힘 분열되나 file 2021.08.20 윤성현 8448
“Return to MAX” 2021.01.22 이혁재 8449
대낮에 주황빛 하늘? 미 서부를 강타한 최악의 산불 file 2020.09.28 김시온 8450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소소하지만 확실한 노력' file 2020.05.26 박아연 8458
코로나 백신, 그에 대한 국내외 상황은? file 2021.05.18 마혜원 8462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485
테트라팩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0.08.20 김광영 8491
백신 안전성...결정의 기로에 놓인 프랑스 국민들 file 2021.01.26 정은주 8494
점진적인 경제활동 재개에 나선 프랑스 file 2021.05.10 김소미 8494
전 세계가 감탄한 대응책 중 하나, '마스크 5부제' 1 file 2020.04.24 박아연 8501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501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8503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516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518
민식이법 시행, 달라지는 것은? file 2020.04.03 한규원 8520
한국인은 잠재적 확진자? 늘어나는 한국인 입국 금지 국가 file 2020.03.02 김예정 8523
美 폼페이오 방북 취소, 어떻게 봐야 할까 file 2018.09.03 이윤창 8524
미얀마 학생들의 간절한 호소 2021.03.05 최연후 8526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532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540
조국 전 장관의 서초동집회 근황 file 2020.01.17 윤태경 8541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546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557
이재명-김동연 → 윤석열-안철수, 막바지 판도 흔드는 단일화 변수 file 2022.03.04 김희수 8560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8565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570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578
KFX 인니 '손절'? file 2021.03.02 정승윤 8582
변화하는 아프리카, 세네갈 풍력발전소 출시 file 2020.03.04 정윤지 8587
농산물이 일으킨 수출의 문 file 2020.10.05 김남주 8588
정부, ‘중국인 입국 금지'에 대한 견해를 밝히다 file 2020.03.02 전아린 8599
쓰나미처럼 밀려오는 사과문 유튜브 ‘뒷광고’ 점점 밝혀진다 1 file 2020.08.20 오경언 86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