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생들이 '직접' 진행하는 어린이날 행사열려

by 2기박성은기자 posted May 05, 2015 Views 302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142-887 서울특별시 강북구 4.19로 74, 강북청소년수련관 (수유동, 난나강북청소년수련관)

 서울시 강북구의 강북청소년 수련관에서 어린이날 축제가 열렸다. 이날 행사는 강북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운영위원회 '늘해랑' 학생 16명과 봉사 기획단 '청소년 만세' 학생 20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진행하였다.



1430831204662.jpeg


 강북 청소년 수련관 청소년 운영 위원회 '늘해랑' 은 '추억만들기'를 주제로 하여 딱지치기, 공기놀이, 스티커 타투, 불량식품 뽑기 등의 부스를 운영하였다.

1430831156309.jpeg

크기변환_1430831147925.jpeg


청소년 봉사 기획단 '청소년 만세' 는 '장애인식 개선 캠패인'과 '세계 문화' 를 주제로 각각 3개의 부스를 운영하였다. '장애 인식 개선'의 부스로는 시각장애인 체험, 청각장애인 체험, 지체장애인 체험이 운영되었다. '세계 문화' 부스에서는 세계문화관련 스피드 퀴즈, 국기 팔찌 만들기, 전통 의상 인형 만들기가 운영되었다. 그 외에는 풍선아트, 문고리 만들기, 성격검사 등의 부스가 운영되었다.?

 청소년들이 운영하는 10개의 부스 중 8개 이상을 참여하면 강북 청소년 수련관의 '휴카페'를 하루동안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이 부스 외에도 어린이날을 맞아 수영장, 인공 암벽장이 무료로 운영되었다.


이날 방문객은 약 1000명 이었다. 행사를 진행한 청소년 봉사기획단 학생들은 첫 행사였음에도 불구하고 예상보다 많은 방문객이 찾아와 놀랐다는 후문이다. 학생들은 "사람들이 너무 많이 몰려와 피곤했다.","아이들이 좋아하는 모습에 뿌듯했다.","힘들었지만 보람찬 하루였다."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청소년 운영 위원회 '늘해랑'과 봉사기획단 '청소년 만세'는 오는 16일, 23일 강북 청소년 수련관, 30일 북서울 꿈의숲에서 시립 청소년 주말활동진흥센터 주관 '놀토엑스포' 에 참여한다. 오늘과 같은 부스로 운영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박성은 기자]

happy_0917@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김민주기자 2015.05.07 00:02
    어린이날은 노는 날이라고 기뻐하며 혼자만의 시간을 보낸게 부끄러워지네요.
    이런 행사 정말 좋은 것 같아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2기이수연기자 2015.05.10 13:28
    어린이 날에 매일 받기만 하던 어린이들이 직접 행사를 운영하며 많은 것을 배웠을 것 같아요! 앞으로도 이런 자의적인 행사가 많이 열렸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직접 사진도 찍고 취재한 것이 인상 깊은 기사 였어요!
  • ?
    3기정연경기자 2016.02.12 18:55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이제 막 어린이 시절을 지난 청소년들이 개최한 행사여서 좀 더 어린이들을 이해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었을 것 같아요! 이렇게 좋은 행사가 앞으로도 많이 이루어질 수 있으면 좋겠네요! 좋은 취재와 기사 감사합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83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14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450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24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26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558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605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89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494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15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19958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144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023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623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0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362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103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608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597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233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00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720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519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165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07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315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885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636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19942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10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777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37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29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55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834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651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285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58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183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03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34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382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723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513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067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534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078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778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078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5994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7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