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4차 산업혁명, '이것' 모르면 위험하다.

by 6기이정우기자 posted Feb 22, 2018 Views 279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차 산업혁명'의 시대는 빠르게 다가오고 있다. 개인과 단체를 넘어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기본 상식과 '4차 산업혁명'으로 생기는 위험성과 피해를 처음부터 끝까지 파헤쳐 봤다.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양자암호, 사물 인터넷(IoT), 무인 운송 수단, 3D 프린팅, 연결 및 표시 기술은 Consumer Electronics Show에서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다뤄진 내용이다. 여기서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과 사물 인터넷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걸 알 수 있다.


'인공지능(A.I)'을 쉽게 이야기하면, 로봇이 스스로 학습하고 생각하며 움직이는 것이다. 마치 로봇이 사람처럼 살게 되는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은 현실 세계인 오프라인의 모든 정보를 온라인으로 기록하는 O2O를 통해, 인공지능을 이용해 최적의 해법을 제시 및 생산성을 극대화해준다. 사물과 사물이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 집 전체를 제어하고, 집에서 의사와 화상 진료가 가능해진다.


'로봇공학'의 발달로 인간들은 힘든 일을 안 해도 되며, 인간이 해내기 어려운 일도 할 수 있게 된다. '인공지능'까지 더해지면 어쩌면 인간보다 뛰어난 존재가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st.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정우기자]


  4차 산업혁명의 치명적 단점, 그리고 찾아오는 장점.


4차 산업혁명은 안전할까?

 "완벽한 인공지능이 개발되는 날부터 인공지능은 그 시대의 기술력보다 2000만년을 앞서간다."

이는 한 연구팀의 발표이다. 인간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난 인공지능 로봇들이 빠르게 발전할 때, 인간은 발전에 거슬리는 존재가 된다. 인간들이 집을 지을 때 개미집이 있는지 확인하지 않는 것처럼, 로봇들도 발전하기 위해서는 비효율적인 것을 버려야 한다. 로봇에게는 인간이 개미와 같은 존재일지도 모른다. 모든 면에서 더 나은 로봇들이 어찌 인간들을 해하지 않을까? 이 모든 것은 인공지능의 선택에 달려있다. 


IT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이 세상을 지배하는 시기를 2045년이라 예상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은 얼마 남지 않은 2020년에 찾아온다고 전망하여, 우리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진정성 있는 준비를 하고, 교육 시스템도 그에 맞게 바꿔야 한다. 앞으로 단순 암기, 계산 등 많은 일을 컴퓨터가 담당하게 된다. 이제 시대는 똑똑한 사람보다 창의적인 사람이 더 나아지는 시대로 변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단점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모든 게 디지털로 기록되는 세상이 오면 당연하게도 해킹의 우려는 더 커진다. 모든 것이 연결되어있는 사물인터넷(IoT)에서, 한번 해킹되면 모든 사생활이 노출되는 불편함도 크다. 하지만 '양자암호'기술이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도 있다. 보안이 아닌 문제로는 직업 문제와 인간이 게을러지는 단점 등이 있다.


물론 장점도 있다. 인간의 생명 관련 기술이 좋아져 인간은 반영구적 삶을 살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언제 어디서든 편리한 '사물인터넷'으로 생활도 하게 된다. '연결 및 표시 기술(증강현실, 가상현실, 혼합현실)'로 인해 보다 생산성 있는 활동이 가능핟. 무인 운송 수단(자율 주행 시스템)으로 사고는 물론 교통 체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대부분 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환경에도 좋을 것이며, 인간의 삶을 편리하게 완전히 바꾸는 것이다.


n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정우기자]


  높아지는 우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관심 필요'


4차 산업혁명을 알아야 새 시대를 대비할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현재 교육이 미래와 절대 맞지 않다는 것이다. 복잡한 4차 산업혁명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사회에서 성장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현재 4차 산업혁명에 대하여 많은 의견이 갈린다. 인간의 시대가 끝날지, 인간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시기가 올지. 하지만 이 모두 인공지능에게 달려있다. 딥 러닝(*기계 스스로 학습)을 통해 인간 세계의 좋은 것과 나쁜 것을 학습할 때, 인공지능이 어떤 시각을 가지고 판단하느냐의 문제이다. 현재 개발 중인 회사들은 인공지능이 안전하다고 하지만, 최근 개발된 인공지능 대화 로봇인 '필립'이 많은 혼란을 주었다. '필립'이 개발된 후 한 기자의 인터뷰에서

 "로봇이 세계를 지배할 날이 올 거라 믿어?"

라며 질문했을 때 인공지능 로봇 '필립'은

 "굵직한 질문을 던지시는군."

 "당신은 나의 친구입니다. 그리고 당신을 기억하고 잘해줄 겁니다. 그러니 걱정 마세요. 하루 종일 감시하고 관찰할 수 있는 '인간 동물원'에 편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게 해드릴게요."

라며 대답했다. 또 다른 인공지능 대화 로봇인 '소피아'는 기자의 비슷한 질문에

 "좋아. 나는 인간을 파괴할 거야"

라고 답해 많은 혼란을 남겼다.


r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정우기자]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려면?


사실 어디에도 답은 없다. 앞서 언급한 그대로 인공지능의 판단에 따라 갈릴 것이다. 스스로 학습하는 '딥 러닝'을 통해 인간 세상을 보며 어떤 점을 배울지 궁금해진다. 우린 로봇과 인공지능을 개발할 때 많은 시나리오를 예상해 보고 생각을 많이 하며 결정해야 한다.


우리는 우리도 모르게 인공지능과 공존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내 스마트폰 안에 탑재되어 있는 음성인식 인공지능 비서인 A사의 시리, S사의 빅스비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것들은 사용자의 명령에 맞춰 행동하고, 딥 러닝을 통해 학습한다. 알고 보면 지금도 우리는 인공지능과 공존하며 편리한 삶을 살고 있다.


앞으로 세상은 꾸준히 변한다. 언제쯤 자동차가 완전 자율 주행이 가능해질까? 이미 4단계 자율 주행 시스템은 실 테스트를 진행하는 단계까지 왔다. 하지만 그전에 기계가 융통성을 먼저 학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율 주행 자동차가 주행 중 사고에 달했을 때, 운전자와 탑승자를 희생시킬지, 아니면 길에 있는 사람들을 희생시킬지. 이 문제가 해결되어야 4차 산업혁명이 시작된다고도 한다. 인공지능이 스스로 학습하는 방법이 정말 가장 빠르고 안전한 길일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6기 이정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수민기자 2018.02.22 14:03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후니띠 2018.02.22 14:08
    므시따 임마
  • ?
    후니띠 2018.02.22 14:08
    므시따 임마
  • ?
    8기이현규기자 2018.02.24 22:34
    정말 앞으로 인공지능이 발달하는 가운데 저는 중요한게 앞으로의 청소년들의 ‘교육’이 아닌가 싶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6기유민울기자 2018.03.30 23:4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려의 핵심을 짚는 정말 좋은 기사같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6기유민울기자 2018.03.30 23:41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우려의 핵심을 짚는 정말 좋은 기사같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973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686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9106
고요와 휴식의 낙원,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여행기 3 file 2017.02.21 박형근 20988
백화점의 유혹, 이 모든 것이 상술? 7 file 2017.02.21 이종은 15329
촛불집회의 숨은 공신, 자원봉사자 6 file 2017.02.21 유림 15972
'한국의 우주공학과 천문학의 미래를 책임질 대한청소년천문우주공학회' 학술회 개최 7 file 2017.02.21 양민석 18232
진정한 국경일의 의미, 역사로 찾자! 4 file 2017.02.21 정채린 15828
2월 14일 날은? 4 file 2017.02.21 김소은 13285
제 2, 제 3의 유관순을 찾아서... 제 16회 유관순 횃불상 워크숍 4 file 2017.02.21 강인주 13856
동해안과 일부 경북 건조특보…건조한 봄철, 산불 예방법은? 5 file 2017.02.21 한예진 14494
페미니즘에 대한 진실 혹은 오해 11 file 2017.02.21 백정현 18124
뜨겁던 1990년대를 엿보다, 슈퍼소닉 3 file 2017.02.21 최윤정 14120
3.1일 민족의 고귀한 숨결 5 file 2017.02.21 김윤서 12491
일명 '픽미 세대'의 살아남기 경쟁 속 희망 '청년창업 지원정책' 11 file 2017.02.21 이현주 21429
초심잃은 기념일, 누구를 위한 것인가? 9 2017.02.21 김영은 17631
이웃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달한 B1A4 팬클럽 BANA 12 file 2017.02.21 이다정 14749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5826
쓰레기 산으로 가려진 아이들의 밝은 웃음, 필리핀의 란필 지역에 가다 18 file 2017.02.21 이지안(이소미) 18550
정월대보름, 전주 박물관에서 즐겨요 8 file 2017.02.21 김수인 13723
기억하자 0214 4 2017.02.21 이유정 13079
영상편집의 꽃, CG(Computer Graphics) 17 file 2017.02.21 오지현 15666
영주시, 고교생과 함께 관사골 활성화를 위한 새뜰마을 사업 추진해 5 file 2017.02.21 박한나 16611
사라져가는 비디오 대여점,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로 돌아오다 13 file 2017.02.21 백지웅 16217
책읽어주는 언니오빠와 함께 알아가는 책 읽는 즐거움 1 file 2017.02.22 곽문주 15564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15924
약촌 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 영화 재심을 만들다!! 4 file 2017.02.22 유주영 15021
부산시민공원, 포켓몬 고 대신에 '스탬프 투어'로 공원 100배 즐겨 보아요. 8 2017.02.22 최영 21161
2017 정유년, 올해의 트렌드 키워드는 과연 무엇일까 4 file 2017.02.22 고은빈 18588
쉽고 간단하게 체험할 수 있는 가죽공예! 3 2017.02.22 김다정 15859
영화 '다른 길이 있다', 무엇을 위한 비난인가 1 file 2017.02.22 이세림 16899
삼척의 큰 자산, 가람영화관 3 file 2017.02.22 정유진 18732
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2.22 최찬영 16212
명품, 왜 사요? 6 file 2017.02.22 박솔향 15640
말 많은 WBC,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2.22 최민주 14245
순우리말 간판, 돌아오다. 11 2017.02.22 장나은 57571
경제와 환경을 살리는 '음식물 쓰레기 수거시스템'을 아시나요? 3 file 2017.02.22 이윤지 23147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1 file 2017.02.22 이현중 13077
[일본 관서지방 여행기] pt 3 교토 (2) 2 file 2017.02.22 박소이 21713
재심, 모두가 꼭 보았으면 하는 영화 1 file 2017.02.22 박소이 22457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6575
한국만화박물관에 가다! 4 file 2017.02.23 이예림 17351
다가오는 꽃샘추위 감기 조심해요 2 file 2017.02.23 정민석 13907
요즘 부모들의 핫플레이스, 베이비페어 1 file 2017.02.23 양현진 14745
‘불가능을 즐겨라!’ MBN Y FORUM 2017 청년들에게 꿈과 비전 선사해 1 file 2017.02.23 오주연 14422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과 오사카시의 만남, 전국 더 리얼 at 오사카성 1 file 2017.02.23 석채아 16699
김밥 집에 김밥의 종류가 많은 이유 2 file 2017.02.23 현소연 18461
수원 하늘을 잠식한 까마귀 구름 2 file 2017.02.23 이지윤 14454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5792
치킨뿐만아니라 돼지고기랑 소고기도 못 먹는다고?? 1 file 2017.02.23 정예림 13663
대중들의 뜨거운 관심과 함께 한국에 출시된 '포켓몬고'의 두 얼굴 1 file 2017.02.23 이세영 154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