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by 6기조승주기자 posted Feb 21, 2018 Views 1153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마약이 이용자가 없고 관리가 소홀한 기업의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공개적으로 거래되고 있다온라인상 주인이 없는 사이버 폐가를 통해 유통되고 있는 것이다.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가 된 사이버 폐가를 통해 마약 유통 실태를 취재했다.


언뜻 부품제작 회사에서 마약을 판매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이버 폐가를 통해 마약 판매상들이 쓴 홍보성 글이다여기에서 볼 수 있는 크리스탈작대기아이스얼음과 같은 단어들은 마약의 한 종류인 필로폰을 뜻하는 은어이다이 글의 작성자는 자신의 메일주소도 함께 게시하였는데 이는 구매할 마음만 있다면 누구나 상관없이 마약 거래 접근이 가능하다는 얘기인 것이다이러한 글들이 작성되는 곳은 관리가 소홀한 인터넷 사이트소위 사이버 폐가라고 불리는 곳들이다.


사이버 폐가들은 한때 중소기업이나 공익단체가 사용했던 사이트들이다중소기업이나 공익단체는 IT 인력이 부족해서 주로 홈페이지 제작과 개편을 외주에 맡기는데업체들이 망하게 되면 아무도 관리하지 않은 홈페이지만 덩그러니 남게 된다결국이는 불법 거래상들의 좋은 거래 장소가 되어 범죄꾼들의 사이버 소굴이 되어버린다.


이 사이트에 마약 판매상이 올린 글의 댓글 수만 해도 200여 건이 넘고자유게시판 목록에 있는 마약 판매 글은 4700여 건이 넘는다.


왜 사이버 폐가를 통해 불법으로 마약이 거래되는 것일까사이버 폐가에서 글을 작성할 때 본인을 인증하는 기본 정보마저도 입력하지 않고 간단하게 이름과 패스워드보안 숫자만을 입력한다이름을 쓰는 란에 본인의 이름을 치지 않는다고 해서 글을 게시하는 데 있어 제재를 받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글의 작성자를 찾기에 더욱 어려움이 있다그리고 마약 거래 접선 시에는 서버가 해외에 있고 대화 내용이 얼마 뒤 자동 삭제되는 메신저만 이용한다


SNS에 게시된 필로폰 판매 광고.PNG

[이미지 제공=대검찰청 홈페이지,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같이 마약 유통 상황이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지만단속이 그 상황을 따라가기는 힘든 상황이다사이버 폐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들을 통해 마약을 판매하거나 구매하는 마약사범의 수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청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해 마약을 판매하거나 구매한 마약사범의 수는 2012년 86명에서 2013년 459명으로 1년 사이 5배가량 급증했고 최근 2017년은 1100명으로 2013년의 2배가량 증가했다.

2016년 1,120명에서 2017년 1,100명으로 20명이 감소하긴 하였지만이는 미미한 차이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경찰 관계자는 사이버 폐가가 범죄 알선 창구로 이용되는 것을 막으려면 사람들의 접속을 제한하거나 완전히 폐쇄하여야 하는데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지적 때문에 강제 폐쇄가 어려운 상황이다만약 사이버 폐가에서 불법으로 마약을 판매하고 있는 홈페이지를 발견하였다면 캡처해서 증거자료를 확보한 후 가까운 경찰관서에 신고하면 전국의 마약수사대 또는 마약 수사 전담팀에서 수사를 진행한다.”라고 말했다.


사이버 폐가에서 불법 마약 거래가 이루어지는 것을 뿌리 뽑기 위해서는 우리의 적극적인 신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6기 조승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856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626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0767
사과, 어려운 일 입니까? 5 2017.09.12 5기김경원기자 11599
사교육 이대로 가도 문제없는가..! file 2017.03.20 이현 10423
사드 반대했더니 불순세력, 사드배치 반대했더니 지역이기주의 file 2016.07.24 조민성 15728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7169
사드 배치, 황강댐 ‘수공’ 레임덕 완화 도구 1 file 2016.07.18 이민구 14858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706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660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285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383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750
사라져가는 교복의 의미 4 file 2018.12.27 정지혜 18226
사라져가는 프랑스의 엘리트주의 file 2021.04.26 김소미 10003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6092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523
사라진 여당 추천위원들… 이대로 세월호 특조위 무력화 되나 9 file 2016.02.25 유진 16474
사람 하나 잡는다, 가짜 뉴스가 뭐길래? 5 2017.02.24 김가은 14822
사람이 포켓몬을 잡는 건지 포켓몬이 사람 잡는 건지... 9 file 2017.02.09 이지은 16722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993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10420
사법시험 폐지의 합헌 결정에 대한 반발, 그 이유는? 1 file 2018.01.18 이승민 11401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469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721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420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254
사이버 폐가는 불법 마약 판매상의 놀이터 file 2018.02.21 조승주 11536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354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NO JAPAN file 2019.08.29 선혜인 13790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538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0871
사회를 갉아먹는 '인간바이러스' file 2020.09.03 김예한 8409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이대로 경기는 나아질까 file 2021.12.20 박서빈 8637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674
사회적 문제 학교폭력, 법적 관념에서 답을 찾다 file 2017.11.23 김현재 11773
사회적 사각지대 속 청소년 부모, 긴급복지지원 법 발의되다 file 2020.07.27 김예한 10477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915
산사태와 폭우 피해를 줄여주는 사방댐 file 2019.10.28 윤혜림 15574
산업 현장은 아직도 사이버 공격에 취약하다, “콜로니얼 파이프라인 랜섬웨어 사건” file 2021.07.09 우상영 7984
산업부 삭제된 ‘北 원전 건설’ 문건 공개...원전게이트인가? file 2021.02.05 이승열 11077
산업재해로 멍든 포스코, 포항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 1 2021.02.18 서호영 7594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3 2018.09.28 박시현 12182
살충제 계란 파동, 그 현황과 피해 1 file 2017.09.01 오수정 12618
살충제 계란, 그것이 알고싶다 file 2017.08.30 강명진 10260
살충제 계란, 지금에서야 밝혀진 이유 1 file 2017.09.07 김연아 13136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311
살충제 달걀 사건으로 알아보는 살충제 이야기 2 2017.09.04 최수혜 11723
살충제 달걀 파동, 그 결과는? 1 file 2017.08.25 김민 11389
살충제 달걀, 과연 우리는 안심하고 먹어도 될까? file 2017.08.29 임수연 9683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104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