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스는 누구 겁니까?

by 6기연창훈기자 posted Feb 20, 2018 Views 112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1.jpg

[이미지 제공=굿모닝충청 정문영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는 적폐 청산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과거 정부의 적폐 청산에 총력을 쏟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적폐를 조사하던 중,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 사건은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정치적 이슈 중 하나가 되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스와 이명박 전 대통령 사이에 불거지는 의혹은 무엇일까? 쉽게 말하자면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다. 현재 다스는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 씨의 회사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이러한 논란에 휩싸인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


▶다스란?
다스는 자동차 시트, 시트 프레임을 생산하는 회사로, 1987년 설립된 '대부기공'이 2003년 다스로 이름을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립 이듬해부터 현대자동차에 납품을 시작하여 현재는 경주 본사를 포함하여 미국, 중국, 체코, 인도 등 전 세계 13개의 사업장을 운영 중이며, 국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외에 폭스바겐, 벤츠 등 해외 업체에도 납품을 하고 있다. 다스는 2016년 기준 2조 1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고,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이 현대자동차에 의해 발생한다. 현재 대주주는 이명박 대통령의 맏형 이상은 씨이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연창훈기자]


먼저 이명박 전 대통령과 다스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BBK 사건을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BBK는 1999년 김경준이 설립한 투자자문회사이다. 이후 김경준은 이명박과 함께 사이버 종합금융회사 LKe 뱅크(2000년 2월), 증권회사 EBK(2000년 6월)를 공동 설립한다. 하지만 후에 알고 보니, 이 세 회사 설립에 들어간 돈은 모두 같은 돈이었으며, 세 회사의 경리 또한 같은 사람이고, 세 회사의 자금이 모두 한 통장에서 관리되었다는 사실이 이후 밝혀져 BBK의 설립이 취소된다. 김경준은 이를 만회하고자 상장폐지 직전의 투자사인 옵셔널벤처스를 매입해 거짓 정보로 투자자들을 속여 380여억 원을 횡령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과의 신뢰관계가 틀어져 결별하게 된다.


이후 2007년, 당시 제17대 대선의 한나라당 유력 대선 후보였던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이 사건에 아주 깊게 연루되어 있다(혹은 사건의 주범이다.)는 논란이 일어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김경준의 단독 범행으로 결론이 나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무사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김경준은 홀로 징역 8년을 선고받고, 지난해 3월 만기 출소, 미국으로 돌아간 김경준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BBK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김경준이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당시 다스가 BBK에 투자를 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단지 투자했다는 사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내막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3.jpg

[이미지 제공=시사IN 주진우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다스는 당시 BBK에 190억 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당시 다스의 상황을 본다면, 다스는 당시 유통 자산 480억 원, 유동부채 790억 원, 순 자산 127억 원, 연 순수익이 30억 원인 상황으로 당시 신생회사인 BBK에 자신 회사의 순 자산보다 많은 금액인 190억 원을 투자한다는 것은 일반인의 상식선에서는 합리적이라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또 다른 이유는 도곡동의 땅 처분과 관련이 있다. 1995년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과 처남 김재정이 도곡동 땅을 처분하게 되는데, 이 땅은 1993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이라는 폭로가 이미 나왔던 상태였고, 이 과정에서 나온 돈 중 157억 원을 출자금으로 투입하였다. 이 말은 즉.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이었던 도곡동 땅에서 나온 157억 원, 당시 이명박이 회장직에 있던 BBK에 투자한 이상은과 김재정, LKe 뱅크, 옵셔널벤처스에 다시 들어가게 된 157억 원, 이들을 종합해 보면,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으로 가닥이 잡히게 되고, 그렇다면 주가조작 사건에 당연히 연루가 된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삼성전자가 다스의 미국 소송 비용을 대납했다는 정황을 검찰이 포착하였고, 전국 곳곳에 숨겨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들이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도곡동 땅의 매매금과 다스의 배당금, 다스의 자회사 홍은프레닝의 비자금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쌈짓돈 마냥 사용했다는 사실과 다스의 지분이 100%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관계자들의 증언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거기에 최근, 다스가 40개의 차명계좌를 통해 120억 원의 비자금을 운용한 흔적이 발견되었고, 2004년 현대자동차 양재동 사옥 증축에 서울시의 도움(당시 이명박 서울시장 재임 시절)을 받은 후, 현대자동차 협력기업 다스의 매출이 급상승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우리는 적폐와 싸우기 위해서 촛불을 들었다. 그리고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소환되고 있다. 아직도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이 상당수지만, 이 기사를 읽는 사람들이라면, 최소한 적폐를 향한 촛불을 꺼서는 안 된다. 모든 시민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때 우리의 민주주의는 비로소 한 걸음 앞으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스는 누구 겁니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연창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서영채기자 2018.02.20 16:37
    기사 잘 봤습니다 ! 정치 쪽은 자세하게 몰라서 다스의 존재만 알고 있었는데 내용을 보니 그냥 집고 넘어갈 문제는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
    6기최윤정기자 2018.02.21 00:54
    요즘 뉴스를 잘 못 봐서 다스를 잊고 있었는데 기자님 덕분에 다스의 존재를 다시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관련 사실도 자세히 알 수 있었네요. 마지막 문장인 '그래서 다스는 누구껍니까?' 인상깊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40
    확실히 MB는 JH에게서 배운것이 많은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782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508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9084
사라지는 통일의 필요성.. 대책은 무엇인가 3 file 2017.08.17 김정환 11353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2028
인천 물폭탄..심각해지는 자연재해 4 file 2017.08.16 조유림 12850
성동구 평화의 소녀상 지킴이 플래시몹 1 file 2017.08.16 황수현 11894
광복을 꿈꾸고 조국을 그리던 시인, 윤동주 3 file 2017.08.16 장서윤 1173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533
中 "北, 괌에 미사일 발사시 중립 지켜야"…美 "北 건국일(9월 9일)에 공습하겠다" 1 file 2017.08.16 양승철 12206
유엔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나서다 1 file 2017.08.14 전보건 14580
文정부 공약실행, 블라인드 채용 실시. 8 file 2017.08.12 이연인 15252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10424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342
마음을 울리는 노란 나비, 국제사회로 '1295번째 날갯짓' 2 file 2017.08.11 김유민 10897
하늘의 별 따기인 교대 입학..... 임용은 별에 토끼가 있을 확률? 1 2017.08.11 박환희 12912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340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216
‘공관병 갑질 논란’ 박찬주 대장 검찰수사 입건, 남편이 장군이면 부인도 장군인가 1 file 2017.08.10 김진선 13416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511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110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869
영화 '택시운전사' 그리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 5 file 2017.08.08 박수지 13879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634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664
"나는 오늘도 운 좋게 살아남았다"…강남역서 여성 혐오 살인 공론화 시위 11 file 2017.08.07 김서희 17738
일본대사관 앞으로 날아든 노란 나비들 -제1294차 수요집회를 다녀와서 3 file 2017.08.07 홍정연 12686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524
프랑스 파리와 미국 LA, 2024년과 2028년 하계 올림픽의 무대가 되다! 1 file 2017.08.07 이수연 11906
시간이 멈추어 있는 항구 - 목포신항만 세월호 거치장소 1 file 2017.08.07 이준석 12027
자유한국당 류석춘 혁신위원장 "일베해라" "틀딱" 2 file 2017.08.05 한한나 13565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8579
미혼모 청소년들의 학습권 보장:이루어질 수 있을까? 2 file 2017.08.04 변우진 13008
언제나 진실은 하나! 아직 끝나지 않은 세월호 11 file 2017.08.03 임현수 12241
학생이 스스로 쓰는 '셀프(self)생기부', 얼마나 믿을 만 한가? 7 2017.07.30 서은유 33501
시리아, 드디어 끔찍한 전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을까? file 2017.07.29 윤정민 10599
'연인'을 가장한 '악마'들 3 file 2017.07.29 김나림 12129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군자 할머니, 나비가 되다 2 file 2017.07.27 유림 12076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232
고용노동부 상담원 파업 "우리에게도 월급을 달라" 1 file 2017.07.26 김도연 13231
가격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7.26 박다혜 11071
사법시험의 폐지와 '로스쿨 제도' 5 file 2017.07.25 최서진 11367
새로운 경제 정책, 대한민국을 바꿀 것인가 1 file 2017.07.25 홍은서 9702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408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501
文의 경제정책, '무엇이 다른가' 1 file 2017.07.25 이수현 10487
드론 야간 비행 허용 국회 통과 ···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야 1 file 2017.07.25 이정수 11444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165
청소년이 직접 만드는 청소년의 권리 2 file 2017.07.25 최지오 12056
자사고, 특목고 폐지, 왜 찬반이 갈릴까? 8 2017.07.24 추연종 25233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19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