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스는 누구 겁니까?

by 6기연창훈기자 posted Feb 20, 2018 Views 113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1.jpg

[이미지 제공=굿모닝충청 정문영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는 적폐 청산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과거 정부의 적폐 청산에 총력을 쏟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적폐를 조사하던 중,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 사건은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정치적 이슈 중 하나가 되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스와 이명박 전 대통령 사이에 불거지는 의혹은 무엇일까? 쉽게 말하자면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다. 현재 다스는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 씨의 회사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이러한 논란에 휩싸인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


▶다스란?
다스는 자동차 시트, 시트 프레임을 생산하는 회사로, 1987년 설립된 '대부기공'이 2003년 다스로 이름을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립 이듬해부터 현대자동차에 납품을 시작하여 현재는 경주 본사를 포함하여 미국, 중국, 체코, 인도 등 전 세계 13개의 사업장을 운영 중이며, 국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외에 폭스바겐, 벤츠 등 해외 업체에도 납품을 하고 있다. 다스는 2016년 기준 2조 1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고,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이 현대자동차에 의해 발생한다. 현재 대주주는 이명박 대통령의 맏형 이상은 씨이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연창훈기자]


먼저 이명박 전 대통령과 다스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BBK 사건을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BBK는 1999년 김경준이 설립한 투자자문회사이다. 이후 김경준은 이명박과 함께 사이버 종합금융회사 LKe 뱅크(2000년 2월), 증권회사 EBK(2000년 6월)를 공동 설립한다. 하지만 후에 알고 보니, 이 세 회사 설립에 들어간 돈은 모두 같은 돈이었으며, 세 회사의 경리 또한 같은 사람이고, 세 회사의 자금이 모두 한 통장에서 관리되었다는 사실이 이후 밝혀져 BBK의 설립이 취소된다. 김경준은 이를 만회하고자 상장폐지 직전의 투자사인 옵셔널벤처스를 매입해 거짓 정보로 투자자들을 속여 380여억 원을 횡령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과의 신뢰관계가 틀어져 결별하게 된다.


이후 2007년, 당시 제17대 대선의 한나라당 유력 대선 후보였던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이 사건에 아주 깊게 연루되어 있다(혹은 사건의 주범이다.)는 논란이 일어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김경준의 단독 범행으로 결론이 나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무사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김경준은 홀로 징역 8년을 선고받고, 지난해 3월 만기 출소, 미국으로 돌아간 김경준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BBK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김경준이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당시 다스가 BBK에 투자를 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단지 투자했다는 사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내막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3.jpg

[이미지 제공=시사IN 주진우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다스는 당시 BBK에 190억 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당시 다스의 상황을 본다면, 다스는 당시 유통 자산 480억 원, 유동부채 790억 원, 순 자산 127억 원, 연 순수익이 30억 원인 상황으로 당시 신생회사인 BBK에 자신 회사의 순 자산보다 많은 금액인 190억 원을 투자한다는 것은 일반인의 상식선에서는 합리적이라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또 다른 이유는 도곡동의 땅 처분과 관련이 있다. 1995년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과 처남 김재정이 도곡동 땅을 처분하게 되는데, 이 땅은 1993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이라는 폭로가 이미 나왔던 상태였고, 이 과정에서 나온 돈 중 157억 원을 출자금으로 투입하였다. 이 말은 즉.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이었던 도곡동 땅에서 나온 157억 원, 당시 이명박이 회장직에 있던 BBK에 투자한 이상은과 김재정, LKe 뱅크, 옵셔널벤처스에 다시 들어가게 된 157억 원, 이들을 종합해 보면,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으로 가닥이 잡히게 되고, 그렇다면 주가조작 사건에 당연히 연루가 된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삼성전자가 다스의 미국 소송 비용을 대납했다는 정황을 검찰이 포착하였고, 전국 곳곳에 숨겨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들이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도곡동 땅의 매매금과 다스의 배당금, 다스의 자회사 홍은프레닝의 비자금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쌈짓돈 마냥 사용했다는 사실과 다스의 지분이 100%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관계자들의 증언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거기에 최근, 다스가 40개의 차명계좌를 통해 120억 원의 비자금을 운용한 흔적이 발견되었고, 2004년 현대자동차 양재동 사옥 증축에 서울시의 도움(당시 이명박 서울시장 재임 시절)을 받은 후, 현대자동차 협력기업 다스의 매출이 급상승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우리는 적폐와 싸우기 위해서 촛불을 들었다. 그리고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소환되고 있다. 아직도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이 상당수지만, 이 기사를 읽는 사람들이라면, 최소한 적폐를 향한 촛불을 꺼서는 안 된다. 모든 시민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때 우리의 민주주의는 비로소 한 걸음 앞으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스는 누구 겁니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연창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서영채기자 2018.02.20 16:37
    기사 잘 봤습니다 ! 정치 쪽은 자세하게 몰라서 다스의 존재만 알고 있었는데 내용을 보니 그냥 집고 넘어갈 문제는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
    6기최윤정기자 2018.02.21 00:54
    요즘 뉴스를 잘 못 봐서 다스를 잊고 있었는데 기자님 덕분에 다스의 존재를 다시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관련 사실도 자세히 알 수 있었네요. 마지막 문장인 '그래서 다스는 누구껍니까?' 인상깊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40
    확실히 MB는 JH에게서 배운것이 많은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97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3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627
구글 클래스 접속 오류... 학생부터 교사까지 '일동 당황' file 2020.09.28 황수빈 12540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548
국공립 어린이집의 확대 file 2019.11.29 임소원 12554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563
'학생을 위한' 수능 절대평가 과목 확대, 학생을 위한 것인가? 6 file 2017.08.24 도서영 12581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591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아시나요? 2 file 2017.07.08 이가현 12598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601
해외, 국내의 #Metoo 운동, 차이점은? 1 file 2018.05.08 김세현 12603
페이스북 이용한 '개인정보 불법 유통' 근절 필요 file 2018.04.11 신진우 12604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변동 1 2018.10.01 권나영 12606
헌법기관 vs 헌법기관... 아직 끝나지 않은 싸움 file 2017.03.21 박찬웅 12613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2619
이번 설날 연휴, 고속도로 정체가 발생한 이유는? 1 file 2019.02.20 권민성 12625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633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1 2018.09.27 유하은 12641
잇따르는 티베트 분신, 그러나 국제사회는 무관심... file 2018.03.02 박현규 12644
아리아나 그란데, 맨체스터 아레나 공연 중 테러 7 file 2017.05.30 서주현 12645
생활쓰레기문제, 한국인의 저력을 보여 주자. 2 2017.07.17 박수지 12647
헌법재판소,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file 2019.05.28 김민준 12652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658
청소년들이 던져야 할 질문 하나, 과연 문명의 발전은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었을까? 2 2019.01.11 임효주 12664
끝나지 않은 그들의 수라, 미제 사건 file 2017.03.18 최사라 12671
양산 폐교회 건물 인근에서 훼손된 사체 발견 file 2021.01.11 오경언 12671
사드, 그리고 각국의 시각 3 file 2017.03.22 김규리 12678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690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691
에이즈 치료제를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file 2020.03.09 김서연 12694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696
대한민국 교육의 주체는 누구인가? 1 file 2018.07.13 강민지 12702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2703
국내외 큰 문제 '개 물림 사고' 국내에서도 처벌 강화된 법 필요... 2 2017.11.06 이신희 12709
유기질 폐기물이 에너지 자원으로? file 2019.02.28 서민석 12717
"청정지역" 제주도, 그곳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2020.09.07 서보민 12722
선거연령 하향, 이제는 시작될 때 3 file 2017.05.24 김혜빈 12741
일본대사관 앞으로 날아든 노란 나비들 -제1294차 수요집회를 다녀와서 3 file 2017.08.07 홍정연 12756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756
여성 위생용품 생리대, 발암물질 또 검출 논란 4 file 2018.10.19 김수림 12756
불안한 일회용 생리대, 천 생리대는 어때? 12 2017.09.06 김나연 12758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762
민주-보수 4당의 정치 구도, 향후 어떻게 전개될까 2 file 2018.01.31 양륜관 12768
뛰뛰빵빵 기사님! 오늘도 안전운전하세요! file 2017.10.25 성승민 12780
학폭위 이대로 당하고 있어야만 하나? 1 2019.01.29 김아랑 12783
상업적 대리모 그리고 인간 존엄성 1 file 2020.05.06 임효주 12793
안희정, 국민에게 사과 … 피해자에게는? file 2018.03.22 박소현 12815
대통령의 경제공약, 어디까지 왔는가 file 2019.05.22 김의성 12829
유력 美 국방장관 후보 플러노이, '72시간 격침' 기고문서 군사 혁신 강조 3 file 2020.11.24 김도원 12839
연극계에 이어 교육계도, 연이어 나타나는 미투 폭로 2 file 2018.03.26 조유나 128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