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중국 춘제(春节)에 대해 알아보자

by 8기전병규기자 posted Feb 14, 2018 Views 1574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 15일부터 2 21일까지는 중국 춘제 연휴 기간이다. 우리나라의 구정과 같이 많은 시민이 고향을 방문하고 자신의 가족들과 맛있는 음식을 먹고, 아이들과 친척들과 세뱃돈을 나누며 함께 시간을 보낸다. 춘제 기간이 다가오면, 우리나라의 KTX 열차승차권의 경쟁이 치열해지듯, 중국 고속철인 까오티에 (高铁) 승차권 경쟁 역시 매우 치열해진다. 이처럼 한국과 중국 양국의 시민이 음력 설 보내는 방법은 틀에서 다르지 않다. 하지만 자세히 들어가 보면 국가의 문화와 풍습이 다름을 있다. 중국의 춘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1. 홍바오 (红包)

IMG_20180211_132459-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 전병규 기자]


중국의 춘제를 대표하는 것을 뽑으라면 누구나홍바오 뽑을 것이다. 홍바오는 우리나라의 세뱃돈과 비슷한 개념으로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행복과 축복을 기원하며 돈을 홍바오(红包)라고 불리는 빨간 봉투에 담아주는 중국의 전통문화다. 아이의 행복을 기원하는 만큼, 홍바오 앞면에는 대부분 福, 钱任性, 大利大吉와 같이 상대방의 행운을 기원하는 말들이 적혀있다. 어른이 아이에게 주는 홍바오에는 양의 제한이 없지만, 친구나 동료 사이의 홍바오는 주로 적은 양의 돈을 넣어서 준다. 최근에는 실제 홍바오를 사용하는 대신, 위챗 (微信 - 중국 대표 메신저) 이나 알리페이 (支付宝 - 중국 온라인 결제 시스템)가 제공하는홍바오기능을 이용하여 돈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사람은 실제 홍바오를 주고받는 것을 선호하며, 실제로 홍바오는 매년 많은 상점에서 어렵지 않게 있다.


2. 폭죽 터트리기 (란바오주 - 燃爆竹)

춘제 기간 중국을 여행한다면, 많은 사람이 폭죽을 터뜨리는 것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보기 어려운 모습이지만, 중국에서 폭죽을 터트리는 것은 2000전부터 시작된 중국 전통문화 하나이다. 사람들은 악귀를 쫓아내고, 새해에 승진, 결혼, 진학과 같은 경사가 일어나기를 바라는 의미로서 춘제 기간이나 정월 대보름에 폭죽을 터트린다. 많은 중국인이 현재에도 폭죽을 터트리며 행운을 기원하지만, 최근에는 환경오염, 폭죽으로 말미암은 사상 사고와 자원 낭비 등을 걱정하며 하지 않는 경우도 늘고 있다.


3. 춘련 붙이기 (티에춘리엔 - 贴春联) / ‘자가 적힌 전지 붙이기 (창화시에   - 窗花写

IMG_20180214_102130-min.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 전병규 기자]


많은 중국 영화와 중국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를 보면, 앞에 () 자가 뒤집어서 걸려있거나, 한자가 적혀있는 빨간 종이 (춘련)가 문에 붙어있는 것을 있다. 자가 적힌 전지를 문에 뒤집어서 붙이는 것과 춘련을 앞에 붙이는 모두 중국의 춘제 문화의 일부이다. ‘자를 뒤집어서 붙여 놓는 것은 복과 행운이 이미 도착하였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자가 쓰인 전지는 가운데에 자가 쓰여있고, 주변을 화려한 중국 전통 문양이 감싸고 있는 형태이다. 중국 송나라와 명나라 시대부터 시작된 춘련은 빨간 직사각형 종이 위에 행운의 말귀나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말을 적어 앞에 붙여둔다. 개의 춘련은 글자 수가 같아야 하고 길이 역시 같아야 하며, 춘련에 적혀있는 글귀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야 한다. 따라서 춘련을 제작하거나 구매할 , 단어의 결합이나 동사와 형용사의 수와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4. 음력 설맞이 대잔치 (춘지에완후이 - 节晚会)

음력 설맞이 대잔치는 중국 중앙인민방송국 (CCTV) 1983년부터 매년 춘제 당일 하루 오후 8시에 생방송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대략 4시간 정도의 시간 동안 중국의 전통춤, 전통 음악과 희곡을 비롯하여 현재 중국 최고의 가수들과 연기자들 (TFBOYS,  왕리홍 ) 출연하여 공연을 진행한다. 가수들 각각의 공연뿐만 아니라 연기자들과 가수들이 함께 합창하는 진귀한 장면을 볼 수 있다. 최근 들어서 4시간의 시간 동안 춘제완회만 방송한다는 점에 대하여 회의감을 표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춘제완회는 현재까지도 매년 30% 정도의 시청률을 보여주며, 중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문화행사 하나로서 자리 잡고 있다. 2018 춘제완회는 2 15 저녁 8시에 방송되며, 중국 4 지역 (주하이, 하이난, 구이저우, 산둥)에서 진행된다.


중국의 춘제 문화는 우리의 설날 문화와 같이 모두 해의 성공과 행운을 기원하는 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별한 구정을 맞이하고 싶다면, 춘제 행사들과 풍습에 관심을 두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6 전병규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강지희기자 2018.02.16 05:51
    중국에서 신년을 맞이하는 법에 대해 그 특징적인 요소들을 잘 뽑아서 기사를 써주신 것 같아요. 경험해본 사람으로써 다시금 추억도 생각나고 중국의 새해맞이법에 대해 잠시나마 생각해볼 수 있게 되어서 좋아요. 눈에 잘 들어오는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정진화기자 2018.02.17 11:51
    중국도 우리나라처럼 설날에 세뱃돈을 주고받는 문화가 발달되어 있다는 걸 처음 알았네요. ㅎㅎ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006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17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7998
잊지 못할 또 하나의 아픈 우리 역사, 제주 4.3 사건 1 file 2018.02.27 강진현 15876
쿠키 하나 속 따뜻한 마음 1 file 2017.09.29 조영서 15876
진정한 국경일의 의미, 역사로 찾자! 4 file 2017.02.21 정채린 15875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5873
5월 5일 어린이날, 꿈 키움 축제 현장 file 2016.05.25 류보형 15873
에코맘코리아 팀장 연수 file 2017.04.16 김태호 15872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꿈과 도전정신을 키워주는 제18회 세계지식포럼 file 2017.10.30 신종윤 15871
'맛있으면 0칼로리!' 2017 서울 디저트 페어-초코전 열려 14 file 2017.02.14 유현지 15870
나를 알려라 : PR 문화 3 file 2016.03.06 이민재 15870
성추문의 케이시 애플렉, 우리는 그저 그를 축하해야 하는가? 1 file 2017.02.27 한지나 15869
소프트웨어, 체험하면서 배워요! '2018 광주SW 체험축전' file 2018.11.12 손민경 15867
전 세계를 공포에 떨게 한 랜섬웨어, 랜섬웨어가 뭐길래? file 2017.05.26 박건령 15867
애니메이션의 흥행공식 2 2017.05.25 김보경 15867
셧다운제, 폐지 혹은 규제 완화 될까 file 2017.05.24 최민주 15866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5863
삼선동 선녀축제, 함께 즐기는 지역 문화 file 2016.10.25 김미래 15859
부활하는 한국 축구.. 벤투호에 거는 기대 1 file 2018.10.01 이준영 15858
어린이들의 날! 다양한 체험과 함께하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5855
거리 위 작은 상담소, 아라메 카페를 아시나요? 1 file 2017.11.08 김은민 15854
2017 천안 북페스티벌, 책과 함께 어우러지다 file 2017.10.31 김유진 15854
예술적인 끼를 마음껏 발산하라, 동부중학생 음악경연대회 1 file 2016.11.07 오시연 15849
우리가 몰랐던 초콜릿의 씁쓸한 맛 3 file 2017.03.21 정가원 15847
노벨문학상의 대혁명 file 2016.10.27 김나림 15845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843
천안에 도시락 배달 천사들이 떴다! 1 2017.08.25 오세민 15841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5838
[KS특집 1. SK와이번스] 6년 만의 한국시리즈, 8년 만의 우승 이끌 수 있을까 1 file 2018.11.07 정승호 15837
북촌 한옥마을 늘어나는 관광객, 줄어드는 주민 5 file 2017.05.20 이지현 15837
추석 연휴 뒤, '명절 증후군' 극복법 1 file 2016.09.17 김혜린 15837
세상을 알리는 새로운 눈이 되다, 로이터 사진전 2 file 2016.09.15 민원영 15834
없어져야 할 강제 결혼식, 알라 카추 file 2021.04.26 이수미 15833
2018 코리아 크리스마스 페어, 일산 킨텍스 개최... file 2018.12.24 신해수 15833
수학으로 놀자! '2019 부산수학축제' 1 file 2019.11.01 김민정 15831
AR과 포켓몬 GO 2016.07.19 박성수 15831
역사 속으로, 동래읍성 역사축제 file 2018.10.18 유채영 15830
‘평화 통일을 향한 당신의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남북개발협력을 위한 통일스케치북 file 2021.10.01 한승범 15827
2018 카트라이더 쇼케이스 Show me the New generation file 2018.11.30 고은총 15825
드디어 발표된 월드컵 엔트리, 이제는 비난보단 응원해줘야 할 때 1 file 2018.05.16 이건 15822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청소년페스티벌 Youth Only Live Once’ 열어 1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5819
2018 평창올림픽, 경기에 대한 해외 반응은? file 2018.03.05 김세현 15818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817
내 상사가 유튜버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2 file 2020.06.15 류혜성 15814
지리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축제,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에서 열리다 file 2018.06.18 김성윤 15812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4 file 2017.02.28 최지민 15812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5809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5807
2018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기대되는 강원도 file 2018.01.23 이은채 15804
제64회 백제문화제 9월 15일 성황리에 개막...‘한류원조’ 백제를 즐기다 file 2018.09.27 전예민 158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