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강원도 표준 디자인 교복, 학생들은 '불편'

by 6기이형섭기자 posted Feb 07, 2018 Views 283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불만족 70%, 동복과 춘추복 디자인·재질·보온성·활동성 개선 필요

동복, 실용적이지 못하다···표준 교복 첫 세대, 맞지 않는 교칙 적용

교복의 본래 역할인 격식과 학교 상징은 사라져


 강원도 교육청이 학부모의 교복비 부담 해소를 목적으로 운영하는 표준 디자인 교복 사업은 그 목적을 일부 달성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성과를 냈다. 하지만 다수의 학생이 표준 디자인 교복 중 동복과 춘추복(이하 동복)의 디자인·재질·보온성·활동성에 대한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고, 표준 디자인으로 인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사업이 많은 기대를 모으고 있는 만큼 강원도 교육청은 해당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간구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6년부터 강원도 교육청은 학부모의 교복비 부담과 소규모 학교 학생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강원도 교육청이 전문가들과 함께 확정한 표준 디자인 교복을 각 학교가 선택하는 표준 디자인 교복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현재 강원도 내 표준 디자인 교복을 이용하는 중·고교는 45개교(2017 6월 기준)이다.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국민 10대 공약에 포함되며 기대를 모으고 있다.


사진 1. 설문조사 결과 도표.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형섭 기자]


 그러나 표준 디자인 교복이 도입되고부터 이용하는 학생들의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지난 1 30일부터 2 3일까지 강원도 내 표준 디자인 교복 사업 대상 학생 77명을 상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매우 불만족 불만족 의견이 70%로 집계됐다. 


불만족 원인으로는 디자인 50%로 가장 많았으며, ‘재질 28%로 그 뒤를 이었다. 학생들은 마이 재질이 싫어요.”, “디자인이 상당히 심각하고, 재질도 두껍기만 하고 방한에 도움을 주지 않음.”, “마이는 무겁고, 맨투맨은 목이 잘 늘어남.”, “패딩과 마이를 같이 입어야 하는 교칙을 따르는 학교에서는 활동성이 매우 부족하며, 마이의 무게에 비해 보온성이 좋지 않음.”, “따뜻하지 않음.”, “동복의 재질이 너무 빳빳하여 팔 움직이기가 매우 불편하고, 너무 무겁다.”, “디자인은 유치원 원복처럼 생겼음. 마이는 두꺼워서 그 위에다 패딩까지 껴입으면 꽉 껴서 못 움직임. 마이 재질 진짜 구라 하나도 안치고 부직포임. ㄹㅇ(진짜, 진짜의, 진실된의 뜻을 가진 영단어 real을 한글로 표기하는 레알의 초성. [네이버 오픈 국어사전]) 가격만 비싼 잠옷임.” 등의 의견을 밝혔다. 


한편 이 조사에 참여한 학생 82%가 동복을 이용하고 있고, 제시된 비판들 모두가 동복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디자인과 재질, 보온성과 활동성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족 원인은 동복으로 한정되는 모습을 보였다.


 표준 디자인 교복을 이용하는 중학생 강 모 군은 학생들의 불만족 여론이 가장 높은 동복에 대해서 동복 마이는 보온 효과가 없는데도 한겨울에 두꺼운 외투를 입을 때 안에 껴입어야 해서 실용적이지 못한 것 같아요. 또 보온 효과가 부족하고, 재질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학생들이 있어, 누군 입고 누군 안 입어서 교복 같지도 않아요. 마이는 부피도 부피인데 거기다 무거워서 움직임이 둔한 경우가 더 있고, 먼지가 잘 달라붙는 재질에 무겁고 보온 효과가 없어 실용적이지 못해요. 부피가 커서 마이 위에 외투를 입는 한겨울에도 불편하고, 활동할 때 몸이 둔해지기도 해요. 세탁기에 빨면 옷이 줄어들어서 세탁소에 맡겨야 하기도 해요.”라며 표준 디자인 교복이 실용성이라는 목적이 있지만 실제로 이용하는 입장에서 볼 때 실용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교칙은 교복 마이까지 입어야 그 위에 겉옷을 더 입게 허용하는 데 불편하다 보니 학생들은 마이를 입지 않고 겉옷만 입어서 복장 불량으로 선도에 많이 적혀요. 이런 부분에 있어서 교칙을 수정하면 좋겠지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죠.”라며 교복과 맞지 않는 교칙을 적용받아 겪는 고충이 많다고 말했다. 교칙이 표준 디자인 교복 기준이 아닌, 본래 각 학교의 교복 기준으로 제정돼 있기 때문이다. 처음 적용되는 시기라는 점으로 고려했을 때 이런 문제가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는 있으나, 그렇다고 표준 디자인 교복을 이용하는 첫 세대의 학생들에게 무분별한 피해를 강요하는 것을 옳다고 보기는 어렵다.


사진 2. 교복 입은 학생.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형섭 기자]


 표준 디자인 교복이 도입되고부터 교복의 본래 역할인 격식과 학교 상징이 사라지기도 했다. 현재 표준 디자인 교복을 이용하는 중학생 강 모 양은 격식을 갖춰야 하는 여러 행사에 참여할 때마다 표준 디자인 교복을 이용하지 않았던 선배들이나 다른 학교 친구에게 교복을 빌려야 하는 고충을 겪고 있다. 교복 디자인이 격식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강 모 양은 칙칙한 색상이 학생들의 개성을 드러내기 힘들고, 21세기에 맞지 않는 디자인인 것 같아요. 표준 디자인 교복 사업의 대상이 아니었던 선배들은 교외에서도 당당하게 교복을 입고 다니는데, 저희는 자신감이 하락하고 소극적이게 되는 것 같아요. 원래의 교복은 정장 스타일이어서 격식이 갖춰졌는데, 저희 교복(표준 디자인 교복)은 정장 스타일이 아닌 야구 잠바, 맨투맨 스타일이라서 격식을 갖추기 힘들어요.라고 말했다. 


일부 학생들은 교복 대신 정장을 따로 마련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부담되는 비용은 표준 디자인 교복이 아닌 본래 각 학교의 교복을 구입했을 경우와 비슷하거나 더 많아진다. 이와 함께 강 모 양은 표준 디자인 교복이 도입되고부터 각 학교의 특징이 없어지게 됐어요. 여러 학교의 청소년들이 모이는 자리에 가면, 누가 어느 학교에서 왔는지 구분이 힘들어져요.”라며 교복을 입는 가장 큰 목적 중 하나가 교복이 학교를 대표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 표준 디자인 교복을 입으면 그런 목적이 사라지게 돼요.”라고 말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이형섭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성은기자 2018.02.27 20:48
    교복을 입는 목적과 학생들의 편의를 모두 위해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83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541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8926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0937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모두가 행복할 변화인가? file 2017.05.21 한윤정 10930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0929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file 2017.03.25 안호연 10929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0923
가격제도,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7.07.26 박다혜 10923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0920
문재인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그 이유는? 2018.08.22 고아름 10913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10911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0911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1 file 2018.01.22 임소현 10910
불매운동, 자주적 화합의 계기 될 수 있을까 1 file 2019.10.15 박문정 10908
미중 무역전쟁, 어디까지 갈까? file 2018.07.25 오명석 10906
영화 ‘택시운전사’그리고 현재의 ‘택시운전사’ file 2017.08.29 김민진 10903
코로나19 예방하는 마스크! 알고 쓰자 file 2020.05.04 윤혜림 10902
광복절은 영화만 보는 날? 4 file 2017.08.22 성유진 10902
할랄 그리고 경제 file 2018.04.24 조찬미 10898
코로나 시대, 청소년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file 2021.04.27 이민준 10897
이제는 말할 수 있다. 3 file 2018.08.02 심윤지 10897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897
문재인 대통령의 주황색 넥타이··· 독도가 우리나라 땅인 이유는? 3 file 2017.05.27 이다호 10897
학교폭력, 교육의 문제다 3 2018.06.07 주아현 10896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0895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정우 美 송환 불허한 법원, 가라앉지 않는 비난 여론 2 file 2020.07.22 김수연 10889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0889
평생 잊혀지지 않는 상처 file 2018.04.26 손어진 10887
학생들의 시선에서 본 2018 남북정상회담 2 file 2018.05.28 박문정 10885
문재인 대통령, 세월호 기간제 교사 순직 인정 2 file 2017.05.16 장인범 10885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0876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0876
한국, 소비자신뢰지수 22년만에 최고.."1995년 이후 최고 수준" file 2017.08.22 디지털이슈팀 10875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0870
증가하는 노인 복지 정책 예산.. 효과는? file 2019.01.23 허재영 10869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층 근로빈곤율 2018.11.12 전고은 10864
위안부 합의, 피해자들의 끝없는 고통 1 file 2017.08.29 신기재 10864
이제는 편안해질 수 있을까요 file 2017.04.17 안유빈 10864
프로야구 응원가 '부활' 할까 file 2019.03.04 오동택 10859
한국, 디지털화 수준 60개국 중 7위…"성장성은 49위에 그쳐"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10858
백두산이 폭발한다? file 2019.05.24 백지은 10848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0846
오늘날 전 세계를 뒤흔들고 있는 미투 운동의 시작점은? 2018.04.16 최시원 10844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0844
인류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전 세계적 노력 file 2017.03.25 노태인 10834
세종시이전과 '세종시 빨대효과' 1 file 2018.11.27 강동열 10823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10821
일본 정부 파격적 제안... '무(無)자녀세' 계획 등장해 file 2017.11.22 이윤희 10818
한국 WTO 사무총장 후보 유명희, 결선 진출 2 file 2020.10.21 차예원 10814
매년 10월 25일 독도를 천명하다. file 2017.11.10 이윤빈 108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