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그들의 세상에 한 걸음 다가가기 – 조현병

by 5기박재찬기자 posted Feb 01, 2018 Views 2018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정신질환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편견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정신질환을 앓는 사람은 드물며, 이들은 폭력적이고 예측 불가능한 행위를 한다는 것이다. 정신 질환 중에서도 조현병은 부정적인 인식이 가장 심한 병이다. 조현병은 과거 정신분열증이라고 부르던 질병으로, 부정적인 인식과 편견이 매우 강해 조현병으로 병명이 바뀌었다.

조현병이란 무엇일까? 조현이란 현악기의 줄을 고르다라는 의미인데, 사람의 신경계나 정신의 조율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 발생하는 병이다. 조현증의 진단기준(DSM-5)에 따르면, 망상, 환각, 와해된 언어, 극도로 와해된 또는 긴장성 행동 등이 6개월 이상 나타나면 조현병으로 의심할 수 있다.

병에 대한 무지는 사실과는 거리가 먼 편견을 낳고, 이는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을 강화시켜 병을 진단받고 치료받는 것이 주는 사회적 낙인 때문에 치료를 기피하여 병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을 낳는다. 2016년 강남역 살인사건이 발생한 이후, 언론은 피의자가 조현병 환자라는 사실을 보도하였다. 조현병에 대해 잘 모르고 있던 사람들은 언론의 보도가 반복되면서 조현병 환자들은 폭력적이며 위험하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지게 되었고, 정신질환 환자들에 대한 격리조치를 강화하자는 주장이 나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현병에 대한 이와 같은 편견들은 모두 사실과 다르다. 정신질환 중에서도 편견이 심한 조현병에 대해 바르게 알아봄으로써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가지고 있는 정신질환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자.

1. 조현병을 앓고 있는 사람은 드물다?

조현증은 누구나 걸릴 수 있는 병이며, 조현증을 앓고 있는 사람은 우리나라에도 적지 않게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인구 1001명꼴로 걸리는 비교적 흔한 질병이다. 국내에서도 약 50만 명의 조현병 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진료비 지급 자료에 따르면, 2014년 조현병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104000명에 불과하다. , 질병에 대해 잘 모르거나 사회적 낙인을 우려해 병을 숨긴다는 것이다.

2. 조현병을 앓는 사람은 폭력적이고 위험하다?

사실과 다르다. 연구에 따르면, 조현병을 앓는 사람 중 폭력성을 보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폭력성을 보이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병과 직접 연관된 것이 아니라 약물중독 같은 물질장애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있다. 범죄 이력, 충동조절 장애, 치료 거부 등도 조현병 환자의 폭력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꼽혔다. 실제로 조현증 환자는 오히려 겁이 많고, 혼자 있기를 원하며 대인관계를 피한다고 한다. 강남역 살인사건과 같은 주요 살인 사건의 피의자가 조현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이 대중들로 하여금 조현병 환자=위험한 사람이라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 것이다.

통계.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재찬기자]

3. 조현병을 앓는 사람은 일상생활이 불가능하고, 평생 앓아야 한다?

사실이 아니다. 조현병은 초기 상담과 약물치료를 잘 받는다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그러나 초기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치료를 중단해 재발할 경우 그만큼 치료 효과가 떨어지고 만성화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조현병의 환자들이 조현병을 진단받는 젊은 시기에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낙인은 진단과 치료를 회피하게 만들어 그들의 회복을 가로막는다.

조현병을 앓는 사람 중에서는 정상적인 생활을 넘어 전문적인 일을 하거나 훌륭한 업적을 남긴 사람도 있다. 영화 <뷰티풀 마인드>(2001)의 실제 주인공인 천재 수학자 존 내시는 30대 초반이었던 조현병을 앓기 시작했다. 그러나 치료를 받으면서 병세가 호전됐고, 1994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미국의 정신건강 전문의 다니엘 피셔는 조현병으로 수차례 입원을 했지만, 지금은 회복해 조현병 환자들의 권익보호 활동에 나서고 있다. 엘린 삭스는 만성 조현병 환자지만, 회복하여 현재는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SC) 법대 교수가 되었고, 2012TED강연을 통해 조현병을 포함한 정신질환에 대한 국가적 지원 증대를 촉구하고 사회적 편견을 없애기 위한 연예계와 언론의 노력을 부탁한 바 있다. 또한 조현병 극복을 위해 한 노력에 대한 자서전을 출간하기도 했다.

4. 조현병의 가장 효과적인 대응방안은 격리다?

엘린 삭스 미국 남캘리포니아대 교수는 2012TED강연에서 자신이 강제 입원되어 조현병 치료를 받을 당시를 회상하면서 조현병 환자들 또한 고통을 우리와 다르지 않게 느끼며, “물리적으로 몸을 구속하는 일이 생명을 구하는 일인지 목숨을 빼앗는 일인지 애매할 지경이었다고 이야기했다. 서진환 교수(성공회대 사회복지학과)가 국민일보에 기고한 글에 의하면, 강제 입원 및 격리는 환자의 거의 모든 자유를 앗아갈 수밖에 없으며 입원해 있는 동안 폭력이 만연한 고통을 겪으면서 비참함과 굴욕을 느꼈다고 말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고 한다. 또한 그들이 재발 없이 정상적생활을 할 수 있던 건 입원치료보다 자신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주는 사람과의 만남, 안정적 주거, 안정된 직장생활 등 때문이었다. 반대로 재발을 초래한 상황은 사회적 낙인이 두려워서 병원치료나 약을 끊었을 때, 폐쇄병동에 입원시킬까 봐 환청을 숨겼을 때, 생계 걱정으로 불안이 증가했을 때 등이었다.

실제로 정신장애 환자를 병원에 오래 머물게 하지 않고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이 세계적인 추세라고 할 수 있지만, 그러나 한국은 이에 역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2013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자료에 따르면, OECD 회원국 중 1991년부터 2011년까지 20년 동안 정신과 병상 수가 늘어난 건 한국이 유일하며, 한국에서 정신장애로 병원에 입원하는 기간은 116일로 OECD 회원국 평균 27.5일보다 4배 이상 길었다.

 

이처럼 조현병은 희귀한 병이 아니며, 누구나 겪을 수 있다. 또한 조현병 환자가 폭력적이거나 위험하다는 것을 편견에 불과하며, 조기에 치료하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강제입원과 격리는 조현병의 좋은 해결방안이 되지 못하며, 조현병을 앓는 사람에 대해 사회의 따뜻한 관심과 편견 없는 시선으로 바라보려는 우리의 노력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박재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987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699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0004
서로 도우며 사는 사회. 사회적 경제 기업가를 꿈꾸다 file 2019.08.21 추세영 15578
증권회사의 증권회사인 한국예탁결제원에 가다! file 2019.08.26 윤다인 14937
신나는 물놀이에 흠뻑 젖다 ‘정남진 장흥 물축제’ file 2019.08.26 조햇살 17678
포마켓, 포천 시민이 만들어가다 file 2019.08.26 김선우 15671
해외파 선수들의 기대되는 활약 file 2019.08.26 배승환 16475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6859
세계문화유산, 하롱베이를 찾아서 file 2019.08.27 정다솜 13947
나도 우리집 귀한자식, 청소년의 노동권리 당당하게 누리자! 1 file 2019.08.27 강훈구 14069
'2019 한중국제영화제 영사모 지역문화페스티벌' 세종시에서 열리다! file 2019.08.27 이채연 17816
여름! 2019년 청소년물총물빛축제 1 2019.08.30 11기김정규기자 17333
청소년 우울증, 당신은 안전하십니까? 2019.08.30 12기우가희기자 17578
엄마! 소고기는 왜 돼지고기보다 비싸요? 3 file 2019.09.02 김도현 49461
2019 Asian Science Camp file 2019.09.02 백윤하 15159
환경파괴를 최소화한 케이블카를 타고 쿠란다마을로 file 2019.09.02 임하늘 17398
똑똑(knock)한 관심, 행복한 우리 file 2019.09.04 양윤서 15673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9049
우리 역사가 깃든 장소, 오죽헌 2019.09.09 김혜진 18068
서울디저트페어에 다녀와서 1 2019.09.09 김효정 16431
수원 화성행궁 야간 개장 file 2019.09.16 신승우 17939
베트남의 스타벅스, 콩카페 1 file 2019.09.23 정다솜 18143
송도, 유튜버들의 집합소가 되다 file 2019.09.23 김민진 21332
가을, 청년들의 고민을 마음껏 비우는 시간 file 2019.09.25 김윤 16195
전국이 다 암전! 저녁 9시가 되면 다 불을 끄세요 file 2019.09.26 윤다인 19515
신인 작가들의 날갯짓, '젊은 작가상' file 2019.09.27 김사랑 16694
하나 되어 울리는 우리들의 마음, '제41회 고등학교 합창발표회' file 2019.09.27 김지우 18004
우비 입은 소녀상, 제1399차 수요집회 file 2019.09.27 유채린 14196
문화로 인한 갈등 그리고 공존 file 2019.09.30 이승환 20346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2 file 2019.09.30 김민경 20937
또 하나의 가족 2019.09.30 이지환 14951
어서와! 이런 홍보단은 처음이지? 2019.10.02 김지은 17090
‘2019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보은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19.10.02 디지털이슈팀 18031
풍성한 거리예술축제 '2019 목포 세계마당 페스티벌' 4 file 2019.10.02 조햇살 19193
한국중등축구연맹회장배 겸 경상북도지사배 국제축구대회 성료. 유소년의 미래를 여는 기회 file 2019.10.10 이지훈 17586
세계의 문화를 품다 '2019 이태원 지구촌 축제' 3 file 2019.10.16 정다운 17755
감정, 너 어디서 왔니? 4 file 2019.10.16 윤지현 16345
과학의 관점을 바꿔주는 제16회 수원정보과학축제에 다녀오다 1 file 2019.10.23 유석훈 17090
2019 WRO KOREA 1 file 2019.10.23 이현진 14285
환경을 생각하는 텀블러, 리유저블 텀블러 4 file 2019.10.24 박효빈 19202
100만 명이 다녀간 ‘2019 장성 황룡강 노란꽃잔치’ file 2019.10.25 조햇살 16130
자도 자도 피곤한 당신, 수면 주기를 확인하라? file 2019.10.25 이선우 18096
격하게 반응하라 이것은 수학인가? 놀이인가? <제4회 강원수학나눔축제> 1 file 2019.10.25 강민지 20336
수포자도 놀러오세요, 제11회 전북수학체험한마당 1 file 2019.10.28 임세은 17186
2019년 국내 여행은 순천으로! file 2019.10.28 박수민 16223
우리가 직접 부모를 고르는 시대, ‘페인트’ 2 file 2019.10.29 송이림 15893
제3회 배곧꿈여울축제 file 2019.10.29 심재훈 17300
담양군 청소년 문화의집의 학습동아리 S·C·P 운영 file 2019.10.30 조미혜 15028
Trick or Botanic! 서울식물원에서 만난 핼러윈 4 file 2019.11.01 정다운 17221
수학으로 놀자! '2019 부산수학축제' 1 file 2019.11.01 김민정 158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