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겨울 필수품, 핫팩 완전정복

by 5기박채리기자 posted Jan 29, 2018 Views 164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추운 겨울철에 없어서는 안 될 아이템 중 하나가 핫팩이다. 핫팩의 종류로는 크게 분말형과 액체형 그리고 충전식이 있다. 이렇듯 다양한 종류와 대게는 저렴한 가격, 알록달록한 캐릭터 문양으로 무장한 핫팩은 겨울 생필품이 되었다. 그렇다면 이 핫팩들은 과연 어떤 원리로 열을 발산하고 있는 것일까? 하고 한 번쯤은 궁금증을 가져본 적이 있을 것이다. 먼저 분말형인 가루 핫팩의 경우는 팩 안에 들어있는 철에 그 열쇠가 있다. 철의 특징은 공기 중에서 산소를 만나게 되면 산화철이 되면서 녹이 슬고 그 과정에서 열을 발생한다. 이때 철이 산화되는 데는 시간이 걸리므로 핫팩을 제조할 때에는 팩 안에 철 이외 염화나트륨과 탄소가루를 넣어 산화 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발생한 열은 6~8시간 정도 지속되지만 산화된 철가루는 다시 철로 환원되지 않으므로 재사용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가격이 저렴하고 열이 상대적으로 오래 지속되므로 가장 사랑받는 제품이다. 액체 형 핫팩의 주성분은 하이포라고 불리는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이다. 이 하이포는 대게 고체 형태로 존재하는데 과포화 상태의 하이포 용액의 경우, 조금의 충격만 가해져도 고체 결정을 만들면서 열을 발생한다. 이 원리를 이용해서 액체 형 핫팩은 그 안에 작은 칩을 삽입해두고, 그 칩을 3~4회 정도 꺾어 충격을 주어 열을 발생하고 있다. 이 액체 형 핫팩은 끓는 물에 몇 분만 녹여주면 다시 액체 상태로 돌아와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발열 시간이 2~3시간 정도밖에 안 되는 단점도 있다. 마지막으로 충전식 핫팩은 건전지를 이용하거나 USB를 통해 휴대폰처럼 배터리를 충전해서 그 배터리에서 발열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간단한 충전을 통해 열을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고 여러 번 재사용 할 수 있지만 가격이 높은 편이다.

이렇듯 제품이 저마다의 장단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자신의 생활습관이나 가격에 맞는 것을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안전성을 꼭 고려해서 사용하도록 해야만 한다.


IMG_1742.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채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박채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10기허기범기자 2018.01.29 21:13
    핫팩을 이용해 손과 발을 먼저 따뜻하게 하면 동상 걸릴 위험이 크다는 것을 이전에 언론 보도를 통해 본 적이 있습니다 .. 이러한 내용도 들어간다면 더욱더 알찬 기사가 될 것 같습니다 .. 핫팩이 열을 발생하게 되는 새로운 과학적 원리를 기자님의 기사를 통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3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52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398
동장군이 찾아왔지만, 청주시 야외스케이트·썰매장 북적거려···· 1 file 2018.02.02 허기범 16310
동작구청 중고생 교복 나눔장터 행사 1 file 2017.02.25 김주영 18401
동양최대 목조건축물 대광사 미륵보전 완공 file 2017.04.18 정인교 17582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818
동아리 COY가 주최하는 학교밖청소년 토크콘서트 열려 file 2016.11.25 박성수 15502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1126
동산고, 송호고와 함께하는 영어책 읽어주기 멘토링 '리딩버디' file 2017.03.18 김명진 17428
동백의 딸들, 성화 봉송에 참여하다 file 2017.11.07 이유진 16756
동물보호법 개정, 그리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file 2017.03.20 박수지 15517
동물, 사람의 가족이 되다 file 2017.05.24 김혜원 13818
동물 없는 동물원: Augmented Reality Zoo file 2019.09.05 이채린 19033
동물 실험에 따른 생명윤리 문제 4 file 2017.05.18 김동수 23622
동대문 DDP에서 열린 '헬로키티 50주년 특별전' file 2024.04.27 이주하 6735
동남아시아의 빈부 격차, 과연 해결이 가능할까? 1 file 2016.05.28 임주연 23797
동남아 여행, 이 애플리케이션 꼭 다운 받아야해! file 2020.09.21 정진희 12787
돌풍의 에버튼! 파죽의 7연승 file 2020.10.14 최준우 14153
돌아온 컨셉 장인, (여자)아이들 1 file 2020.04.27 김민결 12730
돌아온 안방마님 양의지, 팀에 끼치는 영향은? 2 file 2017.07.26 최민주 14889
돌아보는 '설날'.... 연휴의 연장선 아닌 온정 나누는 우리의 고운 명절 5 file 2016.02.25 안성주 24361
돌고래에게 자유를! 1 file 2017.03.21 문아진 18492
독특한 향기의 문화를 담은 중남미문화원 1 file 2020.02.04 맹호 14622
독일어를 즐기고 싶은 사람들에게, 주한독일문화원 '파쉬 페스트' 1 file 2017.06.25 장지윤 16659
독수리의 기적, '나는 행복합니다' file 2018.10.16 이수민 16186
독서의 도시 김해의 2016김해의 책 file 2016.07.18 최우석 16095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094
독서 기록 앱, '북적북적'을 파헤쳐 보다 1 file 2021.10.25 김승원 11082
독보적 콘텐츠로 팬들과 소통한다! 세븐틴의 ‘고잉 세븐틴’ file 2020.11.25 김민결 13985
독립지사의 고통이 담긴 곳, 서대문형무소 file 2019.06.03 이윤서 16288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4356
독립기념관에 가다 2019.01.25 전서진 17794
독도의 날 맞아, 독도문화제 개최 file 2018.11.28 여인열 13803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752
독도를 가슴에 품고 대한민국을 세계로! 4 file 2017.06.03 정지윤 14846
독도, 세종실록지리지 50쪽에는 없다 3 file 2018.11.09 박상연 35520
독도 체험관, 서울에서 독도를 만나다 file 2016.03.21 이소민 18764
독도 사랑 필통을 만들다!!(하늘고등학교 한방울 봉사단) 6 file 2016.03.13 김강민 16881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10058
도쿄올림픽, 안전하게 치러질 수 있을까? file 2021.04.20 풍은지 13019
도전! 골든벨 묵호고와 함께하다. 1 file 2014.10.25 최희선 35466
도자의 꿈, 문화를 빚다. 2017.05.24 홍선의 15060
도자기 속에 숨겨진 '독', 이제는 밝히겠다. 2018.04.05 유민울 21768
도움이 필요할 땐 이곳으로-한국소비자원 file 2016.11.18 김나림 18121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4858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6497
도심속 찬란한 멋과 예술, '제3회 부산 희망드림 빛축제' file 2023.03.27 김보민 6598
도심속 역사이야기 file 2017.04.08 정주연 13813
도심 속의 작은 우주, 대전시민천문대 3 file 2019.01.23 정호일 18156
도심 속에서 찾는 여유, '덕수궁' file 2021.09.09 박혜원 110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