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가상화폐 속으로 빠져들다!

by 5기임소현기자 posted Jan 22, 2018 Views 1092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6일 방송된 SBS그것이 알고싶다에서 쩐의 전쟁? 비트코인편을 담았다. 대중들은 많은 관심을 보였고 인터넷 인기검색어에 비트코인이라는 단어가 자주 올라있었다.


 한편 가상화폐가 계속 확산되면서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폭등과 폭락이 반복되는 가운데 하루에도 수십 번씩 오르락내리락하여 롤러코스터와 같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KakaoTalk_20180119_04243572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임소현기자]


 대표적으로 빗썸은 가상화폐의 시세가 18일 기준 1000만 원대로 떨어졌다. 지난 6일까지만 해도 2500만 원대까지 올라가 있었으나 2배 정도 떨어진 것이다. ‘리플’, ‘이더리움등 다른 가상화폐도 마찬가지다. 가상화폐는 지난해 많은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였으나 비트코인 같은 경우 100만 원대였던 시세가 2000만 원대로 올라가 20배 이상의 시세를 보였다.


 가상화폐 같은 경우 폭등과 폭락이 잦지만 이번만큼 크게 일어난 적은 없었다. 폭락이 크게 일어난 상황은 정부의 말이 큰 혼동을 준 것이다. 정부는 가상화폐에 대한 대중에 문제를 우려해 가상화폐규제에 대한 의사를 표했으나 크게 신경 쓰지 않고 계속하여 가상화폐를 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 신념간담회에서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가상화폐거래소 폐쇄를 언급했고 말이 많아지자 청와대는 정확한 것이 아니다.’라고 전하였다. 가상화폐는 폭락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규제 때문만은 아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가상화폐의 폭락이 이어지고 있다. 국외에서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 의사를 표현하여 각 나라의 가상화폐가 폭락하였고 이와 같은 상황이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


 이대로 가상화폐는 무너질 것인가?


 가상화폐는 하루에도 수십 번 폭등하고 폭락하기 때문에 무너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본다. 가상화폐라는 것은 긍정적으로 본다면 사회에 큰 영향이 되어 전 세계의 화폐가 통일될 수 있으나 부정적이라면 대중의 거래가 많아져 소위 도박에 빠지게 될 수 있다. 두 가지 경우가 공존하나 이것 하나만은 확실하다. 자신이 한 일에 책임을 지고 회피해서는 안 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5기 임소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나형록기자 2018.01.22 16:04

    가상화폐에 대해 관심이 없어서 잘은 몰랐는데 가상화폐의 시세 상황을 잘 설명해 주는 유익한 기사를 써주셔서 감사드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1933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623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99861
청소년 타깃 담배 광고가 흔하다고? 5 file 2020.08.03 위성현 16826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6827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838
고속버스 시내버스…. 심지어 통학 버스도 음주운전 기승 6 file 2016.03.26 최희수 16838
한 여성의 죽음, 그리고 갈라진 여성과 남성 3 file 2016.05.22 김미래 16848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6855
간통죄 폐지 이후 1년, 달라진 것은? 8 file 2016.02.25 한서경 16874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6877
포켓몬GO, 사건사GO? 5 file 2017.02.25 김대홍 16877
기대와 우려속···안철수 전 대표의 '5-5-2 학제 개편안' 2 file 2017.02.19 김정모 16878
벽화, 주민들을 괴롭히고 있진 않습니까? 2 file 2016.03.24 이하린 16881
김정남 암살, 그 이유는? 북한 이대로 괜찮은가 1 2017.03.02 조영지 16889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6897
날개 꺾인 나비들의 몸부림, 그리고 두 국가의 외면 7 file 2016.02.25 최은지 16924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6929
비바람에도 꺼지지않는 촛불, 14차 광주시국 촛불대회 1 file 2017.02.13 정진영 16929
변화해야 할 대학교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10 file 2016.02.22 박나영 16931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6933
내가 하면 로맨스, 네가 하면 스캔들? 4 file 2017.01.25 김민정 16951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6965
부산구치소 이전 설명회, 시민들의 반발로 무산 1 file 2017.02.19 손수정 16971
사드 배치, 남한을 지킬 수 있는가 17 file 2016.02.16 고건 16972
내 손 안의 판도라... 스마트기기 14 file 2016.02.13 한종현 16974
세종시 공공임대아파트 분양전환 갈등 2019.06.27 황수빈 16983
나비 달기 캠페인과 함께 하는 위안부 서명운동 4 file 2016.04.09 오시연 16987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6987
소녀가 홀로 싸우지 않도록 우리가 함께할게요. 10 file 2017.02.16 안옥주 16988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2 file 2016.04.22 이강민 16994
원자력의 두 얼굴? 뭐가 진짜 얼굴인지 알고 있잖아요! 7 file 2017.02.12 박수지 17016
비정규직 정규직 전환, 누가 차별당하는 것인가 4 file 2017.07.19 윤익현 17031
제노포비아, 한국은 어떤가요? file 2018.10.24 남지윤 17043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7052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056
믿을 수 없는 사학재단의 끊임없는 비리 - 성신여대 심화진 총장 법정 구속되다 1 file 2017.02.24 정선우 17057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059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7092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101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101
기내난동은 이제 그만! 항공보안법 개정안 발의 3 file 2017.02.19 이나희 17129
폐허가 되어 버린 리우 올림픽, 마냥 동정만 할 수 없는 이유 3 file 2017.02.24 박우빈 17140
당진시장, 시민들의 소리를 들어 1 2017.01.24 박근덕 17143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7152
헌법재판소 앞, 식지않는 열기 file 2017.02.18 전태경 17161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173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7186
비판을 비판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3 file 2017.02.20 김민주 17187
자유학기제로 진로 고민 해결? 5 file 2016.04.10 이민정 17218
교권이요? “선생님 수업하실 때 선생님 성함 제일 크게 외치는 사람이 이기는 게임도 하고요…” 5 file 2017.07.23 신아진 17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