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by 4기이민정기자 posted Nov 27, 2017 Views 109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허리케인.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 이민정기자]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가 푸에르토리코 섬에 지난 9월에 발생했다. 허리케인이 푸에르토리코 섬에 왔을 때, 섬은 완전히 파괴되었다. 섬의 대부분의 주민들이 물이나 전기 같은 기본적인 공급이 되지 않았고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모든 것을 잃었다. 정부의 부정적인 반응에도 불구하고, 군대, 자선단체 등 여러 사람들로부터 많은 지원이 있었다.

 

태풍 자체보다 문제였던 것은 행정부의 대처였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페이퍼타월을 던지며 푸에르토리코 문제 파악을 거절한 행동은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건 이후에 발전이 없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의 무례한 태도는 피해 지역과 피해 가족을 고려할 지도자로서 국가적 망신이며, 하지 말아야 할 태도이다. 이런 지원을 거절하는 일이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 되는 일로 여겨진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푸에르토리코 지원에 대한 거절에도 불구하고, 섬은 참사 후에도 나쁘지 않은 생활을 했다. 자선 단체들이 잘 곳을 잃은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주었고, 임시로 세운 집들이 불편하긴 했지만 이는 범죄가 난무하는 길거리에서 자는 것보다 훨씬 나았다. 일반 사람들에게 받은 지원은 뛰어났고 놀라웠으며 이에 비해서 대통령의 무책임한 반응은 실망적이었다. 시간이 많이 지났지만, 푸에르토리코 사람들은 아직 도움이 필요하고 이는 잊혀져서는 안된다.

 

이 사건은 환경을 보호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와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가 얼마나 문제가 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많은 환경 단체에서도 이런 기후 변화와 환경 변화에 따른 발생 문제의 요인을 분석하여서 집중 재난 대비가 필요하다. 또한, 정부가 자연재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방안과 특별한 대응책을 마련해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을 준비해야 함을 절실히 알게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민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75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83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766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451
학생들에 의한, 학생들을 위한 9시등교. file 2014.09.24 황혜준 23255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603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651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21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541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137
9시 등교, 득일까 실일까 2014.09.22 손윤주 20004
9교시 등교 2014.09.22 김건재 23183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2073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667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846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421
학부모vs.교총, 9시 등교 그 결말은? 2014.09.21 최윤정 20166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642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65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288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350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771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562
9시 등교, 거품 뿐인 정책 2014.09.21 선지수 23219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156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390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19946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686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009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38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815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3990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56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091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880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713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3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387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223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50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096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442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765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577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116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00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119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826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122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026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