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by 5기박찬영기자 posted Nov 09, 2017 Views 1512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여러 청소년 범죄가 일어남에 따라 소년법이 주목받고 있다. 소년법이란 반사회적 환경에 놓여 있는 소년법상의 소년을 처벌보다는 교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수여한 법률이다. 기본적으로 아직 미숙한 청소년들의 잘못을 바로 고치는 목적을 가진 법이지만 최근 여러 가지 이유로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소년법이 청소년의 범죄를 강경하게 처벌하지 못하게 방해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거에도 청소년의 처벌이 미약하다는 점을 악용해 성인이 저지른 범죄를 청소년에게 뒤집어씌우거나 일정한 대가를 제시하고 대신 자수하도록 하는 등의 악용사례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 들어서 여고생이 아무런 연관이 없는 여자아이를 계획을 세워 토막살인을 낸 인천 초등학생 살인사건과 올 9월에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강릉 여고생 폭행 사건 등이 연달아 세상에 알려졌다. 미성년자들 스스로 모의하고 저지른 강력범죄들이 그 높은 수위와 함께 가해 학생들이 자신들의 행동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태도가 SNS와 미디어를 통해 알려지자 소년법 폐지 또는 개정에 대한 요구가 빗발쳤다. 실제로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라온 소년법 폐지 청원이 많은 지지를 받기도 했다.

 

 그러나 몇몇 특정한 자극적인 사건들만을 기억하며 소년법 폐지를 주장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능하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다. 몇몇 청소년이 강력범죄를 저지른다고 해서 모든 청소년이 잠재적 범죄자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소년법 폐지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이유는 한국이 UN 아동권리협약을 따르고 있기 때문이다. 이 조약에는 "사형 또는 석방의 가능성이 없는 종신형은 18세 미만의 사람이 범한 범죄에 대하여 내려질 수 없다."라는 규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소년법 폐지가 사실상 불가능해지자 최근에는 비교적 현실적인 소년법 개정을 주장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개정을 요구하는 사람들이 주장하는 주요 내용으로는 형사미성년자 연령 하향, 형사미성년자 연령 하향, 처벌의 상한선 증가, 신상정보 공개 등이 있다. 이러한 개정은 현실적이고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치계, 법조계에서도 실현 가능한 개정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견해다. 여론조사 결과 또한 소년법 개정을 지지하는 비율이 64.8%25.2%가 지지한 폐지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소년법 개정 주요 내용>

개정 주요 현안

현 법률

개정 시 법률

형사미성년자 연령

만 14세

만 12세

소년법 적용 대상

최대 만 19세

최대 만 18세

처벌의 상한선

징역 15년, 가중 시 20년

징역 20년, 가중 시 30년

신상정보 공개

공개 불가

공개 허용

[이미지 제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찬영 기자]


 청소년은 우리 사회의 미래다. 미래를 잘 준비하기 위해 우리는 다양한 노력을 해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게 보호해주어야 한다. 하루빨리 소년법이 개정되어 청소년들이 바람직하게 행동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5기 박찬영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김나연기자 2017.11.09 16:39
    청소년들을 어느정도 보호받되 처벌은 엄해야 할 것같아요 그래서 소년법이 폐지되기 보다는 개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박찬영기자 2017.11.11 14:41
    저도 엄중한 처벌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6기박세진기자 2017.11.12 12:08
    모두가 올바른 청소년의 길을 걸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4기박소연기자 2017.11.24 16:23

    소년법 개정과 동시에 범죄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을 강화하는 것을 우선으로 하여?다시는 소년법을 악용한 범죄 사례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기사 잘봤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18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9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481
프로스포츠에 뿌리박힌 승부조작 3 file 2016.08.24 박민서 18433
중앙선관위, 선거연령 18세로.. 2 file 2016.08.24 안성미 17048
정당방위 적용 범위 개선되어야 file 2016.08.25 조해원 18903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5116
믿을 수 없는 더위에 지쳐가는 국민들 1 file 2016.08.25 이나은 13899
아이스크림 정찰제에 대한 견해 차이 2 file 2016.08.25 이은아 16482
Greatest Fakes, China file 2016.08.25 정채현 52999
사드 배치에 성난 성주, 김천 주민들… “사드가 안전하다면 청와대 앞마당에 놓으세요” 1 file 2016.08.25 유진 15682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0999
자나깨나 누진세걱정 ... 집에 에어컨은 있는데,,, 2 file 2016.08.25 이예린 15754
[이 달의 세계인] 알레포의 기적, 옴란 다크니시 file 2016.08.27 정가영 16022
아이에겐 엄격하고 애완견에겐 관대하다 1 file 2016.08.31 김관영 16040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238
잊혀져가는 옥시, 그들의 제품을 다시 찾아보다 5 file 2016.09.11 김수빈 15774
스크린 독과점의 논란, 재시작? 3 file 2016.09.14 손지환 17247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5114
폭염이 몰고 온 추석경제부담 2 file 2016.09.23 이은아 17162
한반도를 둘러싼 외교전쟁 file 2016.09.24 이민구 16865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222
여전한 아동노동착취의 불편한 진실 2 file 2016.09.24 노태인 35264
청소년들의 순수한 팬심을 이용하는 엔터테인먼트의 장사술, 이대로? 2 file 2016.09.25 이세빈 16744
공정무역의 가면을 쓴 불공정 무역 4 file 2016.09.25 노태인 55677
김재수 장관 해임건의안 가결로 본 대한민국의 정치 file 2016.09.25 구성모 17286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753
사재기, 보이지 않는 검은 손 2 file 2016.09.25 강하윤 16313
상인들의 시장문화도 바꾸어버린 김영란법 2 2016.09.26 류보형 14525
죽어서도 편히 쉴 권리, 반려동물에게도! 2 file 2016.09.30 박채원 15017
김영란법에 대해 알아보자 7 file 2016.10.02 천주연 16697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8336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20175
복지를 통해 부의 불균형을 해결한다? file 2016.10.24 장은지 17497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5056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396
'우리가 백남기다', 백남기 농민 추모대회 2016.10.24 박하연 17786
청소년들의 언어사용 실태 5 file 2016.10.25 김나연 69397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507
위험천만 승용차 등하교길 그리고 해결방안 file 2016.10.25 류나경 18042
중학교에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 현 주소는? 2 file 2016.10.25 신수빈 17136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730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309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969
언론출판의 자유 2 file 2016.11.03 유승균 18247
한마음으로 뭉친 시민들의 광화문 집회 1 file 2016.11.06 김관영 18762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318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844
'박근혜는 하야하라!'전국에서 타오르는 열기, 광주 촛불 집회 2 file 2016.11.12 박하연 20191
[종합] 광화문광장, 100만 촛불 들어서다 file 2016.11.12 이지원 18242
수능, 마지막이자 새로운 시작 4 file 2016.11.17 서지민 179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