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오늘 영국 밤하늘의 뒷이야기, 가이 포크스 데이

by 4기국제부김다은기자 posted Nov 07, 2017 Views 161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15, 매년 이날만 되면 영국에서는 화려한 불꽃놀이가 열린다. 사람들은 미묘한 미소를 짓고 있는 가면을 쓰고 거리에 나와 노래를 부르고, 불꽃놀이를 하며 밤늦게까지 축제를 벌인다고 한다. 영국은 115, 축제의 날을 가이 포크스 데이라고 부른다.

 

가이 포크스 데이는 가이 포크스(Guy Fawkes)라는 남자의 이름에서 나온 말이다. 가이 포크스는 1605년 몇몇의 주동자들과 함께 영국 의회를 폭파하려는 화약음모사건을 계획하다가 도중 밀고에 의해 발각되고 결국 체포되어 다음 해 131일 처형된다. 1605년 영국은 중세 시대, 종교적인 사회였다. 가이 포크스는 가톨릭교도로, 헨리 8세부터 엘리자베스 1세까지 이어지는 영국의 가톨릭 탄압 이후 가톨릭교도인 제임스 1세가 영국의 왕위에 오르자 가이 포크스와 가톨릭교도들은 희망을 품는다. 그러나 제임스 1세가 영국을 다시 가톨릭 국가로 되돌려 놓길 바랐던 가톨릭교도들은 친성공회적인 정책을 펼치는 제임스 1세에게 실망한다. 그에 불만을 품은 가톨릭교도들 중 가이 포크스와 로버트 캐츠비 등은 현 정부를 무너뜨리고, 당시 9세였던 엘리자베스 공주를 국왕으로 옹립시킨 뒤 가톨릭 국가인 스페인의 힘을 빌려 자신들이 실권을 장악해 영국을 엄격한 가톨릭 국가로 변모시키기 위해 화약음모사건을 계획하였다.

 

처음 115일을 기념한 건 1606115일이었다. 성공회와 청교도 주축의 의회가 화약음모사건의 실패를 기념하기 위해 이 날을 감사절로 정했다. 사람들은 거리로 나와 가이 포크스 인형을 가지고 조롱하고 태우며 축제를 즐겼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조롱의 의미는 사라지고 현재는 가이 포크스와 화약음모사건의 주동자들을 권력에 대항한 영웅으로 보고 그들의 정신을 길이는 추세이다. 특히 잉글랜드에 감정이 있는 스코틀랜드인이나 미국인에게는 자유와 혁명의 인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요즘은 가이 포크스 인형을 가지고 조롱하며 화약음모사건의 실패를 기념하기보다는 가이 포크스를 기리고 그의 혁명정신을 받들자는 분위기에서 축제가 진행된다.

 

1509814392344.jpe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다은 기자]

 

가이 포크스의 가면은 1982년 만화로 출간된 브이 포 벤데타(V For Vendetta)에서 가이 포크스를 모티브로 한 주인공 브이의 가면이 가이 포크스를 나타내는 가면이 되었고, 이후 성공적인 반응으로 영화화되었다. 가이 포크스의 이름 Guy괴상한 옷차림의 남자를 지칭하는 대명사로 쓰이다가 점점 남자, 친구, 동료 등의 의미를 갖게 되었고 요즘은 성별 관계없이 사람들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김다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874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03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542
죽은 아들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준 한 여성 1 file 2016.03.23 정희진 16056
평화통일을 향한 한 발자국 1 file 2016.08.04 천예영 16053
지나치게 '가성비' 좇는 우리 사회, 긍정적으로만 볼 수 있을까? 2 2017.03.28 마가연 16050
네이버, '실시간 검색어' 전격 폐지... file 2021.02.22 이지연 16045
`2018 화순 국화향연`이 펼쳐지다 file 2018.11.29 조햇살 16045
2017 롤챔스 코리아 스프링 시즌, 막을 내리다. file 2017.04.24 조윤지 16043
무더운 여름철, 냉방병이란? file 2017.07.24 이다호 16040
숀 'Way Back Home' 1위, 모든 게 바이럴 마케팅 덕분? 6 file 2018.08.07 정유리 16039
추운 겨울날, 마음을 따듯하게 지펴줄 겨울영화 추천 1 file 2018.02.28 이예린 16038
통일을 향한 움직임... 통일공감 대토론회 열려 file 2016.06.25 황지연 16038
치과 공포증, 존재하는 질환일까? 3 file 2020.09.17 김수경 16037
공공 장소, 도서관에서의 행사. 성공적!! file 2016.04.17 3기장정연기자 16037
교보교육재단, 창의적 인재육성프로그램 체인지 프로그램 성공적 개최 1 file 2017.07.11 이태양 16036
'서울환경영화제' 성공리에 막을 내리다 1 file 2016.05.28 임선경 16033
일본인 원장에 맺힌 한, 소록도 병원 file 2020.05.18 홍세은 16032
투타 균형 류중일의 LG, 안정적 2위 수성 가능할까 file 2018.06.27 이준수 16032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그러면 사람은? 1 file 2017.05.14 이주형 16029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를 지켜주세요 file 2016.05.08 안세빈 16029
2017. 222년 만의 정조대왕의 효심의 길, 능 행차 재현 현장을 가다. file 2017.10.12 이지은 16028
시원함 전에 안전을 먼저 확인하자. 2 file 2017.06.08 김나림 16027
2020년 정부 기관이 바라본 국내외 게임 동향은 어떨까? 1 file 2021.02.01 김동명 16026
두산베어스,21년만의 정규시즌 우승 file 2016.09.24 김나림 16026
베트남과 대한민국은 쌍둥이 1 file 2018.09.28 이지현 16025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6022
숨기기보다 드러내는 것이 치매 예방의 지름길 1 file 2018.08.27 여인열 16019
위안부 소녀상을 태우고 달리는 151번 버스를 아시나요? 5 file 2017.08.25 이준형 16018
프로야구, 최악의 위기를 맞이하다 1 2016.11.14 김지현 16018
즐겨라! 제12회 전주평생학습한마당 file 2017.09.29 최은수 16017
아이의 화장 이대로도 괜찮을까? 5 file 2017.03.18 김윤지 16015
얼마 남지 않은 프로야구 개막, D-2 file 2018.03.23 최민주 16010
하얀 파도와 '성난 서퍼들' 1 2017.08.02 이주은 16010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6010
프로듀스 101 시즌 2 출신 주학년, ‘더보이즈(THE BOYZ)’ 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도약 4 file 2017.08.16 박지연 16008
학생은 교복 입은 시민! 아동, 청소년 정책 박람회, Be정상회담! 1 2017.10.30 권오현 16007
축제의 섬, 자라섬으로! file 2017.08.30 추지호 16005
나를 알려라 : PR 문화 3 file 2016.03.06 이민재 16005
김해시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에서 의미있는 청소년 자원봉사학교 열려 2017.09.05 손단비 16002
삼선동 선녀축제, 함께 즐기는 지역 문화 file 2016.10.25 김미래 15999
피 터지는 8월 가요계 1 2017.08.21 남승훈 15998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 file 2021.12.13 이서정 15996
중국의 모바일 기기의 확산이 바꾸어 놓은 중국의 독특한 소비문화 1 file 2017.06.28 박태림 15995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15993
현재와 미래로 걸어가는 문, 스마트 디바이스 쇼 KITAS 2017 1 2017.08.25 박정현 15992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5992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5990
신기한 방송체험, 상암MBC월드 file 2017.09.14 김동연 15987
쏟아지는 ★들 성추문 스캔들, '현혹되지 마라' 1 file 2016.07.26 이봄 15986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59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