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영광을 마신 남자, 배리마셜

by 4기김민정기자 posted Oct 09, 2017 Views 1879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꿀꺽" 여기 며칠간의 고민 끝에 박테리아 10억 마리를 마신 남자가 있다. 그 남자는 바로 배리 마셜 (Barry J. Marshall). 지금부터 그 남자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195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최대 금광 도시인 캘굴리에서 19살, 18살의 어린 부부가 첫아이를 낳았다. 바로 배리 마셜. 어린 시절의 마셜은 아무리 어려운 책이라도 끝까지 읽지 않으면 손에서 놓지 못하고, 버려진 기계가 있으면 꼭 뜯어봐야 직성이 풀리는 남다른 아이였다. 또한 아버지는 수리공, 어머니는 간호사라는 직업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화학 약품들을 쉽게 접할 수 있었다. 그래서 어린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화학 약품들을 적절히 섞어 불꽃놀이용 화약을 만들거나 모스 부호 발생기를 만들어 동생들과 함께 놀며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 꿈 많고 호기심 많던 소년은 의대에 진학하여 1977년 로열 퍼스 병원에서 위장병학 전문의로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20170924_15103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민정기자]



3년 뒤, 마셜은 인생을 바꿔줄 동료를 한 명 만난다.

 그 동료는 바로 로빈 워런(J. Robin Warren). 마셜과 워런이 만났을 당시에는 워런이 만성위염 환자의 위 점막을 관찰하다가 세균처럼 보이는 나선 모양의 것들을 발견했다. 또한 이것들의 주위에는 늘 염증이 나 있어 당시의 만성질환은 세균과 관련이 없다는 것과 위에는 세균이 살지 못한다는 통념을 뒤로하고 나선 모양의 정체를 밝히는 연구에 착수했으나 학계는 그를 미치광이로 몰아가기까지 했다. 하지만 단 한 사람, 마셜만은 워런 박사의 나선 모양의 발견을 넘기지 않고 그때부터 함께 연구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두 사람은 우선 세균이 위 속에 산다는 증거를 제시하려면 세균을 배양해야 했다. 위 속 환경과 거의 유사하게 온도, 습도, 영양분을 맞추었지만 배양 접시의 세균은 자라지 않았다. 몇 달에 걸친 배양 실험이 모두 실패하자 너무 지친 나머지 휴가를 떠났는데 이때 뜻밖의 행운이 찾아왔다.


그들에게 찾아온 뜻밖의 행운은

 실수로 방치해 두었었던 배양 접시가 휴가를 다녀오니 안에 균이 배양되어 있던 것이다. 알고 보니 보통 실험실에서는 48시간 동안만 배양한 뒤 폐기하는데, 헬리코박터균은 다른 박테리아보다 천천히 자라 관찰 기간 동안 눈에 보일 정도로 자라지 않았던 것이다. 그리고 이 나선 모양 세균을 마셜 박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로 명명했다. 이때 헬리코(helico)는 나선형을, 박터(bacter)는 세균을, 파일로리(pylori)는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통하는 유문 부위를, 합쳐서 위와 십이지장의 연결 부위인 유문 부위에 존재하는 나선형 모양의 세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배양했다는 기쁨도 잠시, 두 사람은 두 번째 벽에 부딪히게 된다. 배양된 헬리코박터를 동물에 주입했지만 어떤 동물도 위장질환을 일으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헬리코박터가 위 속에 존재할 수 있을 뿐 위궤양, 위암 등 질환의 원인균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마셜 박사는 며칠간 깊은 고민에 빠져 있다가 결국 무모한, 하지만 용감한 실험을 감행하게 된다.


마셜의 무모한, 하지만 용감한 실험

 그것은 바로 직접 실험 대상이 되어 헬리코박터가 가득 든 용액을 마시는 것이었다. 마셜 박사가 이런 무모한 결정을 하게 된 것은 간단한 의학적 지식인 '인수 공통 질병은 의외로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이다. 마셜 박사는 자신을 실험 대상으로 삼고 용액을 마셨고, 급성 위궤양에 걸려 위가 뒤틀리고 구역질이 나는 고통을 겪으면서 스스로 일지를 쓰고 위 점막 여기저기에 헬리코박터들이 박혀있는 것을 채취하고 다시 배양해 헬리코박터가 위장질환의 원인인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헬리코박터에 의한 궤양이 아니라 단순 소화성 궤양이라 여겼을 때의 치료 방법은 위산 생성 억제였다. 그래서 헬리코박터균이 원인일 때는 오히려 더 상태가 악화되었는데, 마셜 박사와 워런 박사의 연구 덕분에 원인에 따른 알맞은 처방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헬리코박터를 통째로 마셨던 마셜 박사는 통증에 시달리다가 항생제를 먹고 나서야 통증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로 이어진 치료 연구에서도 헬리코박터균이 위에서 제거되었을 때 환자들의 소화 궤양이 치료되는 것을 확인해 새로운 치료 기회를 얻게 되었다. 따라서 두 사람은 2005년에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을 수 있었다. 두 사람의 연구로 많은 사람들이 만성감염, 염증, 암의 관련성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김민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145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76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2685
지리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축제,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에서 열리다 file 2018.06.18 김성윤 15860
문화와 예술로 하나되는 세상 - 2016 주한 외국대사관의 날 file 2016.11.20 김은형 15859
AR과 포켓몬 GO 2016.07.19 박성수 15858
전주하면 비빔! 전주비빔밥축제에 가다 1 file 2018.11.02 김수인 15857
서울 오토살롱 주목할 업체는? 2018.07.24 안디모데 15853
뜨거운 감자 ‘연예인 SNS’, 제한 필요한가? 7 file 2017.04.10 김현정 15853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851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5851
발레리노를 꿈꾸는 소년, 'Billy Elliot'라는 영화를 아시나요? file 2018.06.18 최아령 15848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5847
전 세계가 주목, 인천에서 시작한 오버워치 월드컵 1 2018.08.31 이유리 15845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4 file 2017.02.28 최지민 15842
K리그 안의 또 다른 재미, 경인(인경)더비! 1 file 2018.04.09 김도윤 15840
동양의 나폴리와 함께하는 통영한산대첩축제 file 2018.08.23 강이슬 15839
핀란드의 산타마을 3 file 2019.01.03 계진안 15838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5838
비트코인, 편리함 뒤에 가려진 진실 1 file 2017.02.28 이수빈 15836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선거연령 하향 앞두고 ‘미래에서 온 투표’ 캠페인 2018.03.26 디지털이슈팀 15833
2018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기대되는 강원도 file 2018.01.23 이은채 15833
영원한 신라의 보물, 불국사 file 2017.05.31 김하은 15833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5832
하늘 위 노란 리본 4 2017.03.27 서지은 15831
한파로 전국이 꽁꽁, 눈으로 도로에 묶인 전주 file 2018.01.19 김수인 15825
아름다운 '스칸디나비아반도'로의 여행! 1편- 핀란드 2017.09.01 김성미 15825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5825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전설의 트리가 철거되다. 5 file 2017.02.19 최현정 15825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5821
일본인이 기억하는 시인 윤동주 2 file 2020.12.09 유승호 15820
서울대학교와 함께하는 공학도의 꿈, 공(工)드림 캠프 2 file 2017.02.26 최승연 15820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진천규 기자 file 2019.02.21 오유민 15819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 청소년 자살 예방 위한 ‘다 들어줄 개’ 캠페인 실시 file 2017.12.13 디지털이슈팀 15819
'요즘 핫하지 말입니다'...'태양의 후예'의 이모저모 file 2016.03.21 이채은 15818
벤투 선장의 성공적인 첫 출항 2018.09.11 서성준 15817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5816
평창 패럴림픽 마스코트, '반다비' 2 file 2018.03.01 이가영 15815
라라랜드를 걷어찬 엠마왓슨의 복귀작 미녀와야수 1 file 2017.03.24 김민재 15815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5814
'국민 프로듀서'의 권리, 어디까지인가? 1 file 2017.05.25 방가경 15812
집 앞에서 주인들을 기다리는 택배들을 위한 서비스, 택배 픽업 서비스 1 file 2017.04.21 최민영 15811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대한민국청소년의회에서 만나다! 4 2017.03.06 최정원 15811
나눔 히어로즈가 되어주세요. 4 file 2017.02.16 윤하은 15811
청소년의 꿈과 희망이 넘치는 '어서와, 청소년문화는 처음이지?' file 2017.06.12 조예린 15806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4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5804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막 1 file 2018.02.21 문지원 15803
'성 패트릭의 날 축제', 신도림 녹색으로 물들다 2 file 2017.04.02 최성경 15799
새로운 재활용 방법 '업사이클링'의 등장 file 2017.03.18 4기기자전하은 15799
기록적인 한파, 그 이유는? 1 2018.01.30 박채리 15798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7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