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by 5기문서연기자 posted Oct 02, 2017 Views 108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 나는 촛불 혁명으로 태어난 대통령 '


' 민주주의의 위기 속 대한민국 촛불시위는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 '


' 민주공화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지난 19일 (현지시각) 문재인 대통령이 미국의 싱크탱크 애틀랜틱 카운슬(대서양 협의회)에서 주관하는 2017년 세계시민상을 수상했다. 세계시민상은 2010년에 제정된 세계시민의식 구현과 민주주의 발전 등에 기여한 인사에게 전해지는 상으로 올해 문재인 대통령,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중국 출신 피아니스트 랑랑이 선정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세계시민상을 전해 받은 시상식에서 " 우리 국민은 촛불혁명으로 세계 민주주의 역사에 희망을 만들었다."라 소감과 " 추운 겨울 내내 촛불을 들었던 국민께 이 상을 바치고 싶다."라는 소감을 남겼다. 또, 대한민국 국민이 ' 민주공화국의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것'을 세계에 다시금 알렸고, 본인에게도 대통령이 국민의 한 사람이라는 사실을 알려주었다는 말을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일 시상식에서 2차 세계대전부터 지금까지의 현대사를 함축해 설명하며 그 과정에서 발생한 위기들이 국민의 힘으로 극복해 나아간 것임을 말하였다. 특히 문 대통령은 자신을 ' 촛불혁명으로 태어난 대통령'이라 칭하며 " 우리 국민은 촛불 혁명과 헌법의 절차를 통해 국민의 뜻을 배반한 대통령을 파면했다."그리고 " 가장 아름다운 방법으로 국민의 뜻을 실행했다."라며 의견을 주장했다.

문 대통령은 " 한국전쟁 후 대다수 국민이 절대 빈곤에 시달렸고 민주주의는 꿈처럼 느껴졌지만 세계가 한국 국민의 역량을 확인하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라는 말과 함께 4 ·19 혁명과 5 ·18 광주민주화운동, 1987년 6월 항쟁을 예로 들며 국민의 마음속에 뿌리내린 민주주의에서 국민은 시대의 흐름을 독재에서 민주로 바꿔 냈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소수의 저항에서 다수의 참여로. 한국 민주주의는 경제위기를 극복하는 힘이기도 했다."라는 말과 함께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한 힘도 광장의 국민으로부터 나왔다."고 말했다. 또, 학생 시절 민주화운동 참여와 노동 변호사, 인권 변호사로 활동한 자신의 이력을 언급하며 "나는 촛불정신을 계승하라는 국민의 열망을 담고 대통령이 됐다"라고 말했다.


150669585511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문서연기자]


이후 문재인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트뤼디 총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를 남기며 훈훈한 대화를 나누었음을 볼 수 있었고, 수상을 위해 모인 자리에서도 북핵에 대응하기 위한 대화를 오갔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문서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다윤기자 2017.10.12 22:21
    이런 기쁜소식이 있었군요! 함께 이뤄낸 듯하여 기분이 좋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08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18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5688
기억해야 할 소녀들 file 2018.12.26 강이슬 10497
베트남은 지금 '박항서 감독'에 빠졌다 2018.12.26 김민우 8772
보이지 않는 임산부 1 file 2018.12.26 황규현 9773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4948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1161
보이저 2호, 태양권 계면 벗어나다 file 2018.12.24 김태은 10858
국민의 청원이 가진 양면성 file 2018.12.24 박예림 11422
미래 배달사업의 선두자; 드론 file 2018.12.24 손오재 9736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460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1756
청소년을 위한 페미니즘, 교육이 나서야 한다 3 file 2018.12.18 황준하 11712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336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9286
말로만 '소방 안전 확인', 아직도 문제 개선 의지 없어 2018.12.11 노영석 10159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106
선진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 대한민국을 우주 강국으로 4 file 2018.12.10 백광렬 11314
여자아이들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를 지켜주세요 2 file 2018.12.06 강민정 11262
또 다른 재난, 미세먼지 file 2018.11.30 서민석 9657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729
김종천 청와대 의전비서관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29 김도영 9746
페미니즘. 이제는 가벼운 문제가 아닙니다. 2 file 2018.11.28 백종욱 12956
문 대통령 경제사회노동위원회를 만나다 file 2018.11.28 이진우 9789
세종시이전과 '세종시 빨대효과' 1 file 2018.11.27 강동열 10917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10047
청소년과 정치 1 file 2018.11.26 장보경 13371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763
이주노동자에 대한 청소년 인식 개선 시급 file 2018.11.26 여인열 13268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147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759
'학원 집 학원 집...' 초등학생들의 이야기 file 2018.11.22 박서현 12124
의료 서비스의 특징이자 맹점, 공급자 유인 수요 file 2018.11.22 허재영 22945
방탄소년단의 일본 무대 취소사건, 그 이유는? file 2018.11.22 조윤빈 11580
거대정당 독식하는 선거제도 개혁해야... file 2018.11.22 박상준 11277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11199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184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14936
'강아지 하늘샷', 동물학대 논란에 휩싸이다 3 file 2018.11.19 신미솔 13101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13571
위디스크 양진호 회장, 갑질의 선을 넘었다 file 2018.11.19 박예림 10692
"비타민씨! 남북 공동 번영을 부탁해" 2018.11.16 유하은 14172
카슈끄지 사건의 후폭풍 file 2018.11.14 조제원 10567
갈수록 심해지는 청년층 근로빈곤율 2018.11.12 전고은 10977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15404
안전을 덮는 위장막, 이대로 괜찮은가? 2018.11.08 김근욱 14680
페이스북과 유튜브, 오류의 원인은? file 2018.11.08 김란경 425323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678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file 2018.11.07 백광렬 14716
사법부, 잇따른 영장기각 file 2018.11.07 박상준 102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