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달리는 학교, 전남독서토론 열차학교

by 5기김가빈기자 posted Sep 29, 2017 Views 151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이번 여름, 무더위에 전라남도 교육청에서는 142명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설레는 마음으로 버스에 탑승한다. 이 학생들은 곧 중국과 러시아를 거쳐 몽골을 방문할 학생이었다.
올해 제3회를 맞은 전남 독서 토론 열차 학교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체 활동과 독서 토론 활동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높이기 위해 도입되었다. 이번 열차 학교는 고려인 강제 이주 80주년을 맞이하여 몽골 방문 일정을 포함하였다. 열차 학교에 선발된 학생들은 사전 캠프와 탐방 후 사후 캠프를 통해 열차 학교를 졸업하게 된다. 142명의 학생들은 열차 학교 기간 동안 독서토론, 진로 탐색 등 교육 활동으로 인기가 늘어가고 있다.

045b5dcb84a378f17f119a41eb422069.jpg

[이미지 제공=전라남도 교육청,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제3회 열차 학교 학생들은 7월 19일 목포를 출발해 인천항에서 중국 단동항을 거쳐 중국에 입국했다.
백두산을 걸어 오르며 통일의 의지를 다지고 국경을 넘어 러시아에서 시베리아 횡단열차에 탑승했다.
러시아의 드넓은 벌판을 3박 4일간 밤낮으로 달리는 열차 안은 비좁고 협소하지만 학생들의 기대와 설렘으로 가득 차 있었다. 열띤 토론도 열차 안에서는 더욱 재밌게 느껴진다. 14일 만에 도착한 종착지, 몽골에서는 지구촌 환경 지키기라는 임무가 주어지게 되고 학생들은 불모지에 정성스레 나무를 심었다. 16박 17일의 기나긴 여정을 끝마친 학생들은 I-brand 책 쓰기 마무리를 위한 2차례의 사후 캠프를 참석하게 되며 오는 10월 27일 졸업식을 마지막으로 전남 독서토론 열차 학교의 대장정을 마무리 짓게 된다.

그렇다면 독서토론 열차 학교의 학생 선발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이번 열차 학교는 기존의 추천 방식을 도전과 열정을 고취 시키고 기회균등을 위해 희망 학생은 누구나 응모할 수 있도록 선발 방식을 바꾸었다. 필독 도서 5권의 독후감과 중학교 생활기록부 심사를 통해 1차 선발을 하며 2차 심층 면접을 통해 선발을 하게 된다. 2018년에 출발하는 독서토론 열차 학교의 참가 학생 선발이 곧 실시되게 된다. 전남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많은 지원이 예상되는 가운데, 열차 학교는 전남의 글로벌 인재 양성에 큰 요소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평생 잊지 못한 뜻깊은 경험으로 남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김가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3388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3114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52854
'요즘 핫하지 말입니다'...'태양의 후예'의 이모저모 file 2016.03.21 이채은 15572
진정한 '孝'의 의미 2 file 2016.05.06 한지수 15572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5574
2017 '사이언스리더스리더(Science Reader's Leader)' 1기 모집 1 2017.05.27 김도연 15576
SNS, 관계 형성의 투명한 벽 1 file 2016.04.23 최원영 15579
수학으로 놀자! '2019 부산수학축제' 1 file 2019.11.01 김민정 15580
일본인이 기억하는 시인 윤동주 2 file 2020.12.09 유승호 15581
문화의 날이 열리는 그 곳 1 file 2016.08.12 박지우 15582
영상편집의 꽃, CG(Computer Graphics) 17 file 2017.02.21 오지현 15582
롯데제과, ‘왓따 스크류바’ 껌 출시 1 file 2017.08.14 디지털이슈팀 15583
잠원나루축제 개최 file 2017.10.16 정수민 15583
한파로 전국이 꽁꽁, 눈으로 도로에 묶인 전주 file 2018.01.19 김수인 15583
‘평화 통일을 향한 당신의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남북개발협력을 위한 통일스케치북 file 2021.10.01 한승범 15585
기부자님들, 모발기부는 이렇게! 7 2017.02.13 김승연 15588
초록우산어린이재단, 경기북부권역 9개교 나눔실천리더 발대식 개최 file 2018.08.28 디지털이슈팀 15589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전설의 트리가 철거되다. 5 file 2017.02.19 최현정 15590
'성 패트릭의 날 축제', 신도림 녹색으로 물들다 2 file 2017.04.02 최성경 15590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5593
그저 학교 안가는 날이라고요? 절대 아니에요! file 2017.06.05 김나림 15593
기록적인 한파, 그 이유는? 1 2018.01.30 박채리 15593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선거연령 하향 앞두고 ‘미래에서 온 투표’ 캠페인 2018.03.26 디지털이슈팀 15593
음악 덕에 다시 보고 싶어지는 영화들 3 file 2017.10.16 최슬기 15596
세븐틴, 데뷔 3주년 기념 전시회 '17'S CUT' file 2018.06.19 여혜빈 15597
6자회담, 부산에서 열리다 1 file 2018.05.30 이시영 15599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5601
6·25 전쟁의 최대 격전지, '백마고지'에 다녀오다 1 file 2019.02.22 차가연 15602
제주 ADRF 학생들, 아프리카 어린이들을 위해 모금활동 진행 1 file 2016.08.13 임주연 15603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대한민국청소년의회에서 만나다! 4 2017.03.06 최정원 15603
AR과 포켓몬 GO 2016.07.19 박성수 15604
영원한 신라의 보물, 불국사 file 2017.05.31 김하은 15604
청소년의 꿈과 희망이 넘치는 '어서와, 청소년문화는 처음이지?' file 2017.06.12 조예린 15606
뜨거운 감자 ‘연예인 SNS’, 제한 필요한가? 7 file 2017.04.10 김현정 15607
라라랜드를 걷어찬 엠마왓슨의 복귀작 미녀와야수 1 file 2017.03.24 김민재 15609
2018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기대되는 강원도 file 2018.01.23 이은채 15609
"Happy Animals-'함께' 행복한 세상" 제6회 순천만세계동물영화제 개최되다 file 2018.08.21 정혜연 15609
K리그 안의 또 다른 재미, 경인(인경)더비! 1 file 2018.04.09 김도윤 15612
할머니의 마음에도 광복이 올까요? 2 file 2017.10.09 최효설 15613
가을과 함께하는 인천대공원 걷기대회 file 2016.11.24 최찬영 15616
나눔 히어로즈가 되어주세요. 4 file 2017.02.16 윤하은 15618
전 세계가 주목, 인천에서 시작한 오버워치 월드컵 1 2018.08.31 이유리 15618
서울시립동대문청소년수련관, ‘청소년페스티벌 Youth Only Live Once’ 열어 1 file 2017.11.26 디지털이슈팀 15620
한국인 유일의 단독 방북 취재, 진천규 기자 file 2019.02.21 오유민 15620
2016굴포천 대청소,환경미화는 선택 아닌 필수 file 2016.10.23 최찬영 15623
세상을 알리는 새로운 눈이 되다, 로이터 사진전 2 file 2016.09.15 민원영 15626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4 file 2017.02.28 최지민 15629
일본 과학자 단체, 반세기만에 '군사기술 관련 과학연구 안한다'성명 재발표 확정 file 2017.04.15 이윤희 15629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5630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막 1 file 2018.02.21 문지원 1563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