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Sep 25, 2017 Views 1015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차이는 ‘구별되고 분리되어야 할 것’이 아니다.]

지난 9월 5일 오후,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 2차 토론회가 열렸다. 1차는 욕설과 고성이 난무하다 시작하지도 못했다. 반대 측은 ‘한방병원이 들어서야 한다.’며 ①지역 이미지를 무시해선 안 된다. ②강서구에 2개의 특수학교는 형평성에 어긋난다. ③집값이 떨어진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반면에 찬성 측 주민은 ① 어떤 이유보다도 학생들의 교육이 먼저여야 한다. ②무성하게 풀이 자란 학교의 관리 또한 필요하다. ③이웃을 생각하는 온정이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여기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한방병원 건립’은 사실상 사업 자체가 불투명한 것으로 밝혀졌다. 공진초의 터는 시 교육청 소속으로 특수학교 건립 예정이라는 통보를 받은 이후 병원 설립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6bd1f2cae03dc2d377c65a21148477d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유진기자]

위 이미지는 기사와 상관 없는 학교의 사진입니다.


강서구는 현재 서울시 내 장애 아동수가 가장 많은 자치구이지만 약 100명을 교육할 수 있는 교남학교 하나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특수학교 재학생 4284명의 통학시간을 조사한 결과 30분 이상 1756명(41%), 1시간 이상 200명 정도의 수가 답했다. 고로, 타 지역으로 학교를 다니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 장애인 부모회에서는 “아이들이 학교는 다녀야 하지 않겠습니까? 여러분들이 지나가다 때리셔도 맞겠습니다. 그런데 학교는 절대로 포기할 수 없습니다."라며 호소했으나 욕설, 야유, 비난 등 반대 주민들의 반응과 함께 강서구을 김성태 의원은 “왜 학교 건설을 강요하느냐?"라며 호소 중 자리를 떠버리는 등의 태도를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강서구만이 문제가 아니다. 서울시 25구 중 8곳에는 특수학교가 한 곳도 없다. 2002년 종로구 경원 학교를 끝으로 15년간 공립 특수학교는 신설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국 특수학교 주변 부동산 가격 변화를 보면 인접 지역과 이 인접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4.34%와 4.29%로 사실상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자료가 있다. 단지 특수학교 거부가 NIMBY 현상('Not In My Backyard'의 약자로 위험시설, 혐오시설 등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시민들의 행동을 말하는 신조어)의 일종이라면 반박할 자료가 될 수 있다.


공진초는 전두환 집권 당시 한강 종합개발계획의 사업의 일원으로 만들어진 ‘폐촌 부지’ 위에 설립되었다. 공진초의 바로 옆 건물에는 영구 임대 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 지역 유일의 학교인 ‘공진초’에는 한 부모, 조손, 장애인 가정과 일반 가정 모두 함께 어울려 지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 옆에 새 학교가 지어졌다. 같이 공부시키기 싫다는 분양 아파트, ‘블루라인’ 아파트의 민원을 받아들이고 ‘분리’시켰다. 공진초는 조용히 영구임대 아파트만의 시설로 줄어들었고 앞으로 학생이 감소할 것 같다며 폐교되었다. 그리고 현재, 아직 새로운 학생들이 들어오기도 전에 또 ‘분리 그리고 구별’되어가고 있다. 빈부가 함께 살고 있던 공간에 교육 당국이 구별을 인정하고 ‘낙인’ 찍으며 빈부의 구별 공간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이전이라는 명목하에 폐교 시키고자 고군분투했다. 폐교 반대 서명을 하고, 교육청을 찾아가 항의하고 서울시의회에 협조를 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장애인은 한 군데 몰아넣어야 한다. 장애인은 무섭다."라며 차이가 난다는 이유로 또한번 ‘분리 시키고 구별’시킨다.

현행 특수교육법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특수교육기관을 설립해 지역별 및 장애 영역별 균형 있는 특수교육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주민 반대를 설득해내지 못하고 특수학교 증설을 계속 머뭇거리다가는 균형은커녕 교육 소외를 더 심화시킬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교육에 ‘평등’을 주장하는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은 예외인가?’ ‘사람이 먼저’인 대한민국에서 차이를 이유로 ‘분리시키고 구별시켜서’ 되는가? 서울교육청은 주민들과 더 소통하고, 그간 문제를 해결한 모범사례를 잘 살펴 접점을 찾아야 한다. 예정대로 2019년 개교를 이뤄 장애 학생의 학습 환경이 신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추가 신설도 추진해 줄 것을 당부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김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125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784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1415
금리 인상의 양면성 2017.12.13 원종혁 11671
글로벌 여성 인권대사 2기, 그 화려한 막을 내리다 15 file 2016.02.10 이유수 20059
근로자의날, 일제식 표현이라고? 2 file 2016.03.25 김윤지 16856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651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5064
그립고 그리운 세 번째 봄, 세월호 기억식 열려 file 2017.04.25 소지인 10790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451
그람 염색, 세균을 눈으로 직접 확인해보자 file 2019.06.12 양지윤 28767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461
그늘막 쉼터, 호응 얻고 있지만 아쉬움도 남아... 5 file 2017.08.08 박현규 12527
그날의 기억 잊혀도 되는 걸까? 5 file 2018.04.20 강동준 12264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807
그것이 알고 싶다, 텔레그램 n번방 file 2020.03.26 오경언 10776
그가 받아야 할 말을, 왜 그가 던지는가 2 file 2017.08.17 김민국 10929
그 시절 빼앗긴 행복, 아직도 그들의 상처는 깊어간다. file 2017.08.28 박민수 10126
권선택 대전 시장, 시장직 상실. 대전 지하철 2호선은 어디로? 2017.11.21 한훤 11567
권리와 자유를 지키는 홍콩의 목소리 1 file 2019.09.30 김하민 13753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576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008
국회의원 체포 동의안. 방탄국회 만드나 2 file 2018.05.31 함현지 10827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448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3883
국제사회의 흐름에 발맞춘 한국의 '스마트시티' file 2018.11.20 함혜원 10129
국제 금값 2천 달러 돌파…연일 고공행진 이어가는 금값 file 2020.08.06 이민기 15435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357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390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4961
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반응은 여전히 '싸늘' file 2017.02.02 유근탁 15861
국정교과서 마지막 결과는? 3 file 2017.02.20 김윤정 15954
국정 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2 file 2017.02.04 정주연 17279
국정 교과서 논란, 무엇이 옳은가 file 2017.05.20 박하영 10288
국적법, 누구를 위한 법인가? 95% 중국인 적용 대상 file 2021.06.02 이승열 6651
국민청원이 병들어간다 2 2018.08.27 지선우 9633
국민청원 게시판, 국민의 외침에 선명한 메아리로 돌아오길... 1 file 2019.02.27 김동환 10731
국민이 선택한 19대 대통령 문재인 1 file 2017.05.17 김상원 11148
국민이 묻고 대통령이 직접 답한다! 대국민 보고대회 - 대한민국, 대한국민 file 2017.08.31 이수현 10815
국민의힘, 부동산 투기 의혹 제기된 의원 1명 제명, 5명 탈당 요구 조치 file 2021.08.27 송운학 8192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윤석열 전 검찰 총장 file 2021.11.08 송운학 8755
국민의힘 대선 토론 취소, 이준석 리스크의 현실화? file 2021.08.23 송운학 9426
국민의힘 당 대표 경선.... 승자는? file 2021.06.07 김민석 8524
국민의힘 경선 투표율 50% 이상 달성, 역대 최고치로 전망 file 2021.11.04 이승열 7171
국민의당-바른정당 통합, 정치권에 새로운 바람 불까? 3 file 2018.01.26 정민승 11444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481
국민의당 탈당파 민평당, 정의당과 연대? file 2018.02.05 박우진 10059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549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3948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396
국민의당 27일 전당대회 통해 새 지도부 선출 1 file 2017.09.04 황예슬 102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