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구별되고 분리되었던 공진초, 그리고 지금은?

by 4기김유진기자(정치부) posted Sep 25, 2017 Views 104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차이는 ‘구별되고 분리되어야 할 것’이 아니다.]

지난 9월 5일 오후, 강서구 특수학교 설립 교육감-주민 2차 토론회가 열렸다. 1차는 욕설과 고성이 난무하다 시작하지도 못했다. 반대 측은 ‘한방병원이 들어서야 한다.’며 ①지역 이미지를 무시해선 안 된다. ②강서구에 2개의 특수학교는 형평성에 어긋난다. ③집값이 떨어진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반면에 찬성 측 주민은 ① 어떤 이유보다도 학생들의 교육이 먼저여야 한다. ②무성하게 풀이 자란 학교의 관리 또한 필요하다. ③이웃을 생각하는 온정이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를 들었다. 여기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한방병원 건립’은 사실상 사업 자체가 불투명한 것으로 밝혀졌다. 공진초의 터는 시 교육청 소속으로 특수학교 건립 예정이라는 통보를 받은 이후 병원 설립 논의 자체가 중단된 상태라고 밝혔다.

6bd1f2cae03dc2d377c65a21148477d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유진기자]

위 이미지는 기사와 상관 없는 학교의 사진입니다.


강서구는 현재 서울시 내 장애 아동수가 가장 많은 자치구이지만 약 100명을 교육할 수 있는 교남학교 하나 존재하고 있다. 그래서 특수학교 재학생 4284명의 통학시간을 조사한 결과 30분 이상 1756명(41%), 1시간 이상 200명 정도의 수가 답했다. 고로, 타 지역으로 학교를 다니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 장애인 부모회에서는 “아이들이 학교는 다녀야 하지 않겠습니까? 여러분들이 지나가다 때리셔도 맞겠습니다. 그런데 학교는 절대로 포기할 수 없습니다."라며 호소했으나 욕설, 야유, 비난 등 반대 주민들의 반응과 함께 강서구을 김성태 의원은 “왜 학교 건설을 강요하느냐?"라며 호소 중 자리를 떠버리는 등의 태도를 보여 논란이 되고 있다. 강서구만이 문제가 아니다. 서울시 25구 중 8곳에는 특수학교가 한 곳도 없다. 2002년 종로구 경원 학교를 끝으로 15년간 공립 특수학교는 신설되지 않았다. 하지만, 전국 특수학교 주변 부동산 가격 변화를 보면 인접 지역과 이 인접 지역의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4.34%와 4.29%로 사실상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자료가 있다. 단지 특수학교 거부가 NIMBY 현상('Not In My Backyard'의 약자로 위험시설, 혐오시설 등이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들어서는 것을 강력하게 반대하는 시민들의 행동을 말하는 신조어)의 일종이라면 반박할 자료가 될 수 있다.


공진초는 전두환 집권 당시 한강 종합개발계획의 사업의 일원으로 만들어진 ‘폐촌 부지’ 위에 설립되었다. 공진초의 바로 옆 건물에는 영구 임대 아파트가 자리하고 있다. 지역 유일의 학교인 ‘공진초’에는 한 부모, 조손, 장애인 가정과 일반 가정 모두 함께 어울려 지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 옆에 새 학교가 지어졌다. 같이 공부시키기 싫다는 분양 아파트, ‘블루라인’ 아파트의 민원을 받아들이고 ‘분리’시켰다. 공진초는 조용히 영구임대 아파트만의 시설로 줄어들었고 앞으로 학생이 감소할 것 같다며 폐교되었다. 그리고 현재, 아직 새로운 학생들이 들어오기도 전에 또 ‘분리 그리고 구별’되어가고 있다. 빈부가 함께 살고 있던 공간에 교육 당국이 구별을 인정하고 ‘낙인’ 찍으며 빈부의 구별 공간을 만들어 내었다. 그리고 이전이라는 명목하에 폐교 시키고자 고군분투했다. 폐교 반대 서명을 하고, 교육청을 찾아가 항의하고 서울시의회에 협조를 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되었다. 그리고 현재는 “장애인은 한 군데 몰아넣어야 한다. 장애인은 무섭다."라며 차이가 난다는 이유로 또한번 ‘분리 시키고 구별’시킨다.

현행 특수교육법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특수교육기관을 설립해 지역별 및 장애 영역별 균형 있는 특수교육을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주민 반대를 설득해내지 못하고 특수학교 증설을 계속 머뭇거리다가는 균형은커녕 교육 소외를 더 심화시킬 것이 분명하다. 그리고 교육에 ‘평등’을 주장하는 한국 사회에서 ‘장애인은 예외인가?’ ‘사람이 먼저’인 대한민국에서 차이를 이유로 ‘분리시키고 구별시켜서’ 되는가? 서울교육청은 주민들과 더 소통하고, 그간 문제를 해결한 모범사례를 잘 살펴 접점을 찾아야 한다. 예정대로 2019년 개교를 이뤄 장애 학생의 학습 환경이 신장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추가 신설도 추진해 줄 것을 당부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김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462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266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6596
떠오르는 세월호 떠올라야 할 진실 file 2017.03.25 김지원 10361
땅울림 동아리;대한민국은 더 이상 안전지대가 아니다? 2017.11.30 안정민 14620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5937
딜레마에 빠진 청와대 국민청원,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7 남홍석 9442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 새로운 무역전쟁의 '예고편' file 2021.04.28 박수현 7989
등교시 단정한 교복.. 저희에겐 너무 답답해요 4 file 2016.03.24 박나영 20227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363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15386
드론 야간 비행 허용 국회 통과 ··· 긍정적인 부분만 있는 건 아니야 1 file 2017.07.25 이정수 11527
드라마, 과연 현실성은? 3 file 2016.04.20 이민정 16153
드디어 임박한 토론, 후보들의 앞에 놓인 과제는? file 2022.02.03 김희수 10477
뒤늦게 알게된 요양원 건설 소식, 주민들의 반발 file 2018.02.26 하태윤 12078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652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474
동물보호법, 유명무실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2 file 2016.07.25 김혜빈 14457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984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4992
돌고래들의 권리는 안녕합니까? 13 file 2016.02.22 김승겸 17476
돈에 있는 바이러스를 씻어내기 위해서는 세탁기에 돈을 돌려야 한다? 3 file 2020.08.24 이채원 19036
돈벌이 수단으로 전락한 유튜버 file 2020.12.29 윤지영 8710
돈 없이도 가능한 해커 : 피해 급증하는 랜섬웨어 1 file 2017.02.13 김지환 18637
독도를 향한 그들만의 외침 file 2018.04.16 최운비 12177
독도를 위해 할 수 있는 일 3 file 2016.03.20 정아영 45512
독도는 협상 조건이다? file 2019.06.13 맹호 13218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238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812
독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땅 2017.10.25 김민영 12160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315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259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3241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3873
도편 추방제와 탄핵 1 file 2017.02.25 김지민 16546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누진세 개편 file 2016.12.25 장서윤 29700
도서정가제 전면시행 그리고 2년, 3 file 2017.01.25 이다은 18731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8695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313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5621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7312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563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161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290
도날드 트럼프와 할리우드, 그 불편한 관계 6 file 2017.01.25 장윤서 16402
덴마크 법원, 정유라 구금 4주 연장...송환 장기화 2 file 2017.02.25 박지호 13442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10206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1919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8943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754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74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