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교의 민낯 - 창살 너머의 아이들

by 4기이우철기자 posted Sep 21, 2017 Views 183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916_111006666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우철기자]


어항 물 제때 갈아주지도 않으면서 온갖 생색내는 주인 때문에 애먼 물고기들만 고생합니다.’


얼마 전부터, 학생들의 집단 폭행사건이 뉴스에 연이어 보도되며 다시 한번 학교폭력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학생들의 소행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잔인하고 극악무도한 이번 사건들로 교육부의 학교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에 대한 조치, 일을 키우고 싶지 않아 조용히 넘기려 한 학교 측의 과실 등 현재의 학교폭력 대응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났다.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 중 한 부분인 사회의 계급화’. 아직 뚜렷한 가치관이 성립되지 않은 어린 친구들일수록 이러한 나쁜 문화의 유입을 가볍게 받아들이게 되면서 큰 책임감을 느끼지 못한 채 학교폭력의 피해자 혹은 가해자가 된다. 이렇듯 학교폭력의 원인에는 우리 사회가 작지 않은 책임을 안고 있지만, 현실은 수박 겉핥기식 예방 및 대응으로 학교폭력을 해결하려 든다.


한 사례를 예로 들면, 초등학교 4학년 이상의 학생들은 매년 2회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에 참여하게 된다. 설문지 형식 또는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하는데 대부분 학교가 많은 학생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교실, 컴퓨터실 등 교내에서 수업시간을 이용해 설문조사를 진행한다. 수년째 진행된 학교폭력 실태조사에서 피해자 중 절반 이상의 학생이 주로 학교 안에서, 특히 같은 반 학생에게 학교폭력을 당한다고 응답한 결과는 제대로 보기는 한 것인지, 결국 이런 식일 거면 조사는 왜 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는 상황이다. 피해자와 가해자가 같은 공간 안에서 시행되어 나타난 이 수치가 진실을 말한다고 할 수 있을까? 반대로 어른들의 사회는 직장에서 상사의 눈치를 보지 않고 당당할 수 있는 문화인지를 생각해보면 학생들에게 무리한 걸 넘어서 불가능을 요구하는 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이런 식의 허술한 과정을 통해 지난 7월에 발표된 ‘2017·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의 결과를 보면 학교폭력 피해 응답률이 0.9%밖에 나오지 않는다. 100명 중 한 명 정도만이 학교폭력을 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모두가 다 알지만, 그들만 모른다. 그러나 이 결과를 갖고 그동안의 노력으로 학교폭력에 대한 위험 인식이 향상된 결과라고 자화자찬하는 교육부의 모습을 보면 도움의 손길이 닿지 않는 어두운 곳에서 혼자 끙끙 앓고 있을 피해자들에 대한 미안함과 아무런 도움이 되어주지 못하는 사회에 대한 화가 치밀어 오른다.


이렇게 엉터리인 학교폭력 예방 정책은 전부터 이미 다가올 4차 산업혁명을 예측이라도 한 듯, 심히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창살이 되어 학교 창문에 박혀버렸다. 지난 16, 졸업한 후 처음으로 취재차 방문한 모교는 도심과는 조금 떨어진 곳에서 푸른 자연이 품고 있는 아름다운 모습 그대로였다. 그러나 지금 이 학교에 다니는 후배들은 내가 6년 동안 활짝 열린 창문으로 바라보던 아름다움을 차가운 창살 너머로 밖에 바라보지 못한다는 것이, 학교생활 중 지친 머리를 창밖에 내밀어 시원함을 느끼던 소소한 행복마저 누리지 못하는 것이 정말 안타깝다. 내가 6학년이던 당시, 학교 측에 물어본 창살의 설치 이유는 학생들의 안전상 문제라는 답으로 돌아왔다. 실제로 2012, 대구시교육청이 학교 건물 3층 이상의 창문을 20~25cm만 열리게 하는 장치를 설치하도록 지시하여 자살 방지 대책이 아니냐며 논란이 된 적이 있는 걸 보면 이 또한 무엇을 의미하는지 유추해보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을 것 같다. 안전상의 이유라 해도 적잖이 높은 위치인 2층을 사용하는 학생들은 창살(그들 말로는 안전장치’) 없이 위험을 안고 학교생활을 하라는 것인지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 변명에 지나지 않는다.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 살면서 학생들이 귀에 딱지가 생길 정도로 듣는 말이지만 그런 아이들이 심한 표현을 빌리자면 잠재적 자살자로 규정되어 차가운 창살 밖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규제받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당장으로서는 교내에서 학생들을 가장 가까이에서 보는 선생님들부터 학생 개개인의 더 깊숙한 상처까지 보듬어줄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느끼며 교육청과 교사들이 의견을 잘 수렴하여 근본 있는 정책들을 수립해 나아가기를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이우철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3:43
    폭력예방교육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예전 어른들은 그런 교육을 학교에서 받아보지 못했다고 하시네요. 폭력예방교육을 받더라고 아이들은 좀 더 교묘하게 폭력을 행사하고 있어서 보다 구체적인 예방 교육이 필요한것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47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32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762
[현장취재]가게 옆 거대눈사람이 품은 따뜻한 이야기 10 file 2016.02.13 박다온 16063
[현장취재]청소년이하는 청소년 인식개선 프로그램!<쉬는 날, 왜 쉬어?> file 2015.09.19 박성은 23350
‘2020 삼성행복대상’ 수상자 발표..김하늘 학생 등 청소년 5명 수상 file 2020.11.11 디지털이슈팀 9230
‘4.27 판문점 선언’에 복잡한 속내를 감추지 못하는 중국 1 file 2018.05.03 박현규 13000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803
‘9시 등교’로 달라진 일상에 대한 작은 생각 2014.09.25 이주원 22847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927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10423
‘고령화 사회’ 중심의 서있는 대한민국, 진짜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4 file 2017.02.21 황현지 18963
‘공관병 갑질 논란’ 박찬주 대장 검찰수사 입건, 남편이 장군이면 부인도 장군인가 1 file 2017.08.10 김진선 13524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660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979
‘만 18세 선거권’, 그 양날의 검 2 2017.05.24 김윤혁 13053
‘박항서 효과’로 인한 대한민국의 경제 발전 1 file 2019.01.28 이유성 12974
‘북극곰의 날’을 아시나요? 2 file 2017.03.01 노태인 16062
‘불이 났어, 기다리지마.’ 14년 전 오늘을 기억하자 9 file 2017.02.18 오시연 17689
‘사형 선고’ 이영학, 판결불복 항소에 이어 재판부에 반성문 제출 1 file 2018.03.20 이정은 11526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2503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1014
‘쓰레기’에 몸살 앓는 여의나루 한강 공원 1 file 2016.06.25 김선아 24673
‘어디 1호선이 운행 중단됐다는 거야?‘···전국 폭우와 함께 되돌아보는 ’서울 공화국‘ 2 file 2020.08.18 박지훈 12172
‘이 시국’의 한국 경제를 극복할 방안, ‘한국판 뉴딜’을 알아보자 file 2020.08.28 김나영 8580
‘이슬람포비아’에 잡아 먹힐 건가, ‘이슬람포비아’를 뛰어넘을 것인가? file 2018.09.28 이혜림 10126
‘청소년 정책 총괄’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에 진선미 의원 file 2018.08.30 디지털이슈팀 11150
‘최저임금 1만 원 인상’ 의 일장일단(一長一短), 그리고 알지 못했던 주휴수당 file 2018.08.17 송지윤 10380
‘코로나19 시대에서 일상회복으로의 전환기에 청소년들이 겪는 생활실태’ 주제로 서울특별시 청소년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20 이지원 7859
‘코로나19’ 시대 속에서 대한민국이 강국이 된 배경은? 1 file 2020.12.24 정예람 18121
‘포켓몬 고’ 따라 삼만리, 각종 부작용 속출 file 2017.02.08 박현규 17024
‘하기스 퓨어 물티슈’ 등 10개 제품, 메탄올 기준치 초과.. 판매 중지 및 회수 조치 13 file 2017.01.16 김해온 22943
‘학폭 미투’ 지울 수 없는 기억, 돌이킬 수 없는 과거 file 2019.06.04 장예주 10051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2130
“Return to MAX” 2021.01.22 이혁재 8673
“남자가 그럴 수 있지”, 피해자 가슴에 비수 꽂는 한마디 file 2018.04.16 김고은 14384
“다시 시작하는 대한민국” 2 file 2017.05.13 한지선 9742
“러시아인들은 환경에 대한 경각심이라고는 눈곱만큼도 없다"... 그러나 현재 일본은? 1 file 2021.04.28 김태환 10681
“사람이 다스리지 말고 법이 다스리게 하라” 1 file 2017.03.20 이윤영 11470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667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그랬다.” 4 file 2016.06.14 장은지 15227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854
“저도 학교 가고 싶어요”… 끝이 보이지 않는 원격 수업의 연장선 3 file 2020.09.07 이지민 11706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4228
“청년층 취업난, 고용 정보 획득의 어려움도 큰 원인” file 2022.12.02 이지원 5533
“탄핵 다음 탈핵이다” 핵 사용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의 나비행진 4 file 2017.03.12 양현진 13860
“학교 가기 무서워요” 위험천만한 세종시 보람초의 등굣길 2 file 2016.07.24 정현호 17580
“허위사실 유포 강경 대응”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명예훼손으로 A청소년언론 대표 고소 file 2017.12.12 디지털이슈팀 14956
“헬기에서 총 쐈지만 전두환은 집행유예?” 비디오머그 오해 유발 게시물 제목 1 file 2020.12.07 박지훈 8883
中 "北, 괌에 미사일 발사시 중립 지켜야"…美 "北 건국일(9월 9일)에 공습하겠다" 1 file 2017.08.16 양승철 12318
中 환경규제, 기회를 잡아야 file 2017.11.13 김욱진 102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