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by 6기박우빈기자 posted Sep 19, 2017 Views 1074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영국, 런던 남부 파슨스 그린 지하철역. 그날도 직장인들은 출근하기 위해 지하철을 기다리고 있었다. 특별한 일이 없을 날이었다. 그들은 저마다의 생각에 잠겨 오늘 있을 일들과 그 밖의 것들을 머릿속에 그려보고 있었을 것이다. 지하철이 들어오고 있었다. 천천히 출입문이 열리고 있었다. 그때 마지막 객차 안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15(현지시각), 아침 출근길 영국 지하철 열차 안에서 사제폭발물 테러가 발생했다. 다친 사람은 22명으로, 당국에서는 이 사건을 테러로 보고 있다. 누가 한 짓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폭탄은 슈퍼마켓 비닐봉지에 담긴 페인트통으로 위장한 것으로, 타이머가 장착되어 있었다고 한다.

폭발음은 지하철역 밖의 카페까지 들릴 정도로 매우 컸다. 거리는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되었고, 사람들은 저마다 다급하게 역 밖으로 나가기 위해 애썼다. 부모들은 아이들을 걱정했고, 학생들은 가족을 걱정했다. 영국은 또 한 번의 테러를 겪었다.

이미 영국은 올해만 네 번의 테러를 당했다. 지난 3월에는 웨스트민스터 인근에서 승용차 테러로 5명이 사망했고, 5월에는 아리아나 그란데가 공연하던 맨체스터 공연장에서 자살폭탄테러가 발생해 22명이 숨졌다. 6월에는 런던 브릿지에서 차량 및 흉기 테러로 7명이 죽었다. 네 번째 테러는 런던 이슬람 사원 인근에서 차량 테러가 일어나 1명이 사망했다. 이런 상황에 또 하나의 테러가 발생하니 영국 정부는 큰 봉착을 맞았다.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 사건이 일어난 후, 자신의 트위터에 게시글을 하나 올렸다. 지하철 테러 사건은 패배자 테러리스트가 벌인 사건이라며 아프고 사악한 사람들이기에 반드시 예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며 패배자 테러리스트들은 훨씬 더 엄격하게 다뤄져야 한다. 미국으로의 여행 금지는 더 확대되고, 더 엄격하고, 더 구체적이어야 한다라며 우리는 지난 9개월 동안 오바마 정부가 8년간 한 것보다 더 많은 진전을 이뤄냈다면서 매우 독하고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이와 같은 트윗에 누구라도 수사 중인 사건에 관해 추측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하며 그의 생각에 반대를 표했다.

메이 총리는 테러가 일어난 이후 파슨스 그린에서 부상을 한 시민들, 이번 테러에 다시 한번 신속하고 용감하게 대응한 응급 대원들과 뜻을 함께한다고 말했다. 런던시장인 사디크 칸은 우리를 해하고 우리의 삶을 파괴하기 위해 테러를 이용하는 끔찍한 이들을 강도 높게 비난한다면서 시민들에게 차분하면서도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어 주기를 당부했다. 앰버 러드 내무장관은 일상의 시민들이 또다시 무차별적인 방식으로 (테러의) 목표가 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테러에도 영국의 테러경보는 심각단계에 머물렀다.

올해 들어 영국에서 많은 테러가 일어나고 있다. 사람들이 위험한 테러에 노출되는 일이 없도록,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그림1.pn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박우빈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박우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유림기자 2017.09.24 00:54
    각국에서의 테러 위협이 점점 더 고조되고있는게 눈에 확실히 보여서 더욱 불안하고 안타깝습니다. 이번 런던에서 일어난 테러로 목숨을 잃은 분들의 명복을 빌며, 세계적으로 테러 발생을 줄일 수 있도록 해결 방안을 모색하길 바랍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한동엽기자 2017.09.24 12:53
    요즘 들어 과격주의자 단체들이 유럽을 중심으로 여러 곳에서 테러를 일삼고 있는 것을 자주 보게 됩니다. UN을 비롯하여, 국가적, 범세계적 차원으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정예림기자 2017.09.25 22:00
    너무 안타깝고 좋은 대책을 만들어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80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23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459
예상치 못한 북한의 도발, 우왕좌왕하는 트럼프-아베 2017.02.19 장진향 14916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920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934
스윙 보터? 게리맨더링? 캐스팅보트? 1 file 2017.06.26 강민 14935
美서 '북한·러시아·이란' 통합제재안 통과, 각국의 반응은? 3 file 2017.08.09 홍동진 14941
신생아 낙상사고 후 3년간 사실 은폐... 의료윤리는 어디로? 2019.06.24 한웅희 14948
돌아오지 못한 눈물, 스텔라 데이지호 4 file 2017.09.26 임용택 14949
아파트 금연구역 지정, 좀 더 쾌적한 아파트 단지를 만들어요 2 file 2016.07.24 박하은 14952
내전의 시련 속에서 한줄기 희망 시라아 민간구조대 ‘한얀 헬멧’ file 2016.08.24 노태인 14953
당신은 알고 있었는가,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파업 3 file 2016.06.18 정현호 14961
점점 폭력적으로 변해가는 태극기 집회 6 file 2017.02.20 송선근 14961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4963
리우올림픽 D-10, 불안한 치안부터 러시아 도핑 논란까지 4 file 2016.07.27 이소민 14976
故백남기 농민 부검영장 강제집행 시도와 철수, 그 이후의 현장 1 file 2016.10.24 박채원 14980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4985
아이스크림 정찰제, 확신할 수 없는 효과 1 file 2016.08.25 박하연 14991
브뤼셀 테러 발생, IS의 테러는 어디까지 5 file 2016.05.24 정가영 14992
"PARK OUT" 박근혜 탄핵 해외 반응 2 file 2017.03.12 이태호 14992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14997
이 ‘데자뷰’의 끝을 다시 써보려 해 5 file 2016.09.16 조민성 14999
인천 초등생 살인 사건.. 13년으로 감형? 불만 표출 1 file 2018.05.09 이승원 15001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5003
정부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역사진흥원’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09.04 디지털이슈팀 15008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5017
당사자인가, 연대인가? 인권운동의 딜레마 file 2018.12.26 김어진 15022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5023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닌, 시작이다 2 2018.10.12 유형민 15054
각 나라의 코로나19 대처법은? file 2020.04.09 이채영 15054
갈수록 난민혐오 심해져. 2 file 2016.03.25 임유희 15075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5075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5082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085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5093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5104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그랬다.” 4 file 2016.06.14 장은지 15106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5110
애국자인가 반역자인가? 4 file 2017.02.22 심지수 15114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114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5115
장 마감 직전 10분 동안 급락한 신풍제약…코로나19 이후 과열된 주식 시장 file 2020.07.31 이민기 15118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5132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135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145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146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5155
바른정당 광주·전남도당 창당대회 개최 “친박은 배신의 정치인” file 2017.03.07 황예슬 15157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5167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