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소녀상 지킴이들 '소녀상 농성 대학생 단체', 600일 맞다.

by 5기조유진기자A posted Sep 11, 2017 Views 113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9789e59877b715706c292f355fb10b0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조유진기자]


현재 일본은 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생각하는가? 지난 8월 19일 일본 대사관 앞에서 20명도 채 안 돼 보이는 청년들이 소녀상 옆에서 소리치고 구호를 외쳤다. 이들은 소녀상농성 대학생 단체로써 2015년 활동을 시작해 지금까지 매주 토요일 위안부 할머니들 피해에 대한 일본의 사죄를 요구하며 많은 사람들의 외면 속에서 활동해왔다. 현재 위안부 문제는 피해자들과 상의 한마디 없이 합의가 이뤄진 상태며, 지난달 23일 김군자 할머니가 돌아가시면서 현재 37명의 할머니들이 남아 계신다.


600일을 맞이한 그들은 79세 김판수 씨를 전주에서 초대해 13년간 운동해 온 김 판수 씨를 존경하는 마음을 표하며 함께 운동을 진행했다. 김 판수씨는 2005년부터 수요집회에 참가하며 위안부 할머니들과 함께 일본의 사죄를 요구해왔으며, "정부가 아닌 위안부 할머니들께서 직접 사과를 요구하는 것에 분노해 시작하게 되었다"라며 위안부 할머니들의 억울함을 호소했다. 


이날 운동에 참여했던 26세 최나라니라 씨는 "26년째 수요집회가 매주 열리고 있는데 600일 정도는 아무것도 아니죠"라며 운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히며 "이건 사회의 문제기 때문에 우리 정부가 나서서 도와줘야 해요."라고 말을 덧붙였다. 그리고 그녀는 "처음에는 아무도 먼저 나서지 않는다는 절망과 실망으로 시작했으나, 나중에 갈수록 사람들이 모여드는 것을 보고 열정을 느꼈어요"라고 하였다.


53deb387aab55526fe8d2408a55e1d0d.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조유진기자]


한편 운동에 참여하는 사람들 중에는 청소년도 있었다. 지금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계민혁 군은 "일본에 태도를 보고 분노를 느껴서 운동을 시작했어요. 위안부 할머니들께 너무 죄송하고, 나이를 불문하고 누구나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해요"라고 하였으며, 참여를 하면서 느낀점을 물었을 땐 "운동에 참여하는 형, 누나들과 대화를 나눠보니 배워 가는 것도 많고, 참여하는 데에 의의가 있기 때문에 끝까지 참여하려고 합니다."라고 하며, 운동에 대한 그의 의지를 밝혔다. 


현재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는 이미 합의된 것이라며 모르쇠를 표하고 있다. 그러나, 피해자들은 돈을 받으려고 이 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다. "위안부 할머니들이 더 희생되기 전에 하루빨리 문제가 해결됐으면 좋겠다."라고 소녀상 농성 대학생단체의 대표는 말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조유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정상아기자 2017.09.11 20:10
    일본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직접 행동으로 보여주는 농성 대학생 단체가 정말 대단한 것 같아요!! 빨리 위안부 문제가 해결이 됐으면 좋겠어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정용환기자 2017.09.12 00:35
    제 비슷한 또래의 청소년이 자신과 할머님들을 위해 싸우는 모습이 존경스럽네요.
    괜스래 제 모습도 돌아보게 돼요.
  • ?
    4기조은아기자 2017.09.19 11:14
    정말 중요한 문제에 대해 취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423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08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4562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172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171
스페인을 덮친 테러 6 file 2017.08.23 박형근 11170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그 안에 담겨 있는 새 정부의 메세지 file 2017.09.05 이지훈 11161
작지만 큰 그녀들의 외침 4 file 2018.07.26 김하은 11156
'재팬 패싱'은 현실화될 것인가 1 file 2018.06.12 이후제 11155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1154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152
세상에 진실을 알리는 우리의 목소리: 1365차 수요시위 2018.12.26 하예원 11148
백악관에 닥친 권력 전쟁, 백악관 내전 1 file 2017.08.11 박우빈 11142
이게 선진국 일본의 코로나19 대처방식이라고? 2 file 2020.04.21 이예빈 11136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133
줄지않는 아동학대...강력한 처벌 필요 file 2018.11.23 김예원 11131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129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128
보이지 않는 칼날 2 file 2018.03.26 김다연 11123
사드 보복, 경제적 손해량은 어느정도일까 file 2017.03.19 이수현 11117
조두순의 출소와 그의 형량과 해외 아동 성범죄 사례들 비교 1 2021.03.02 김경현 11108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107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106
GM 군산공장 폐쇄, 그 속내는? file 2018.03.02 백다연 11106
블라인드 채용 득인가 실인가 2017.09.25 황수민 11106
Marketing Taste Test - 블라인드 시음 1 file 2018.06.11 조찬미 11104
노트르담 대성당의 붕괴 file 2019.05.14 양재성 11098
마크롱 정부에 반발한 '노란 조끼 운동' 시위 file 2018.12.10 정혜연 11097
설날 물가 상승, 여러분의 지갑은 안녕하셨습니까? 1 2017.03.13 임촌 11096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095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094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092
한중관계, 깊어지는 감정의 골 1 2017.05.21 유승균 11092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090
"잊지 않겠습니다" 지난달 16일 안산서 세월호참사 5주기 기억식 열려 file 2019.05.23 황수빈 11074
노동계의 사각지대. 비정규직 그들의 외침.... 7 file 2017.09.14 서호연 11074
'구지가'로 불거진 논란, 교권침해인가 성희롱인가 file 2018.07.24 최가영 11069
부르키나파소의 총리와 내각, 사임하다 1 file 2019.02.13 이솔 11064
독도는 일본땅? 어이상실한 日 학습지도요령 해설서 논란 6 2017.06.30 김성미 11063
살충제 계란의 해결은 동물복지농장과 정부의 철저한 관리 1 file 2017.09.01 최나연 11055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의 행보 1 file 2017.03.24 윤희수 11052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044
끈임 없이 존재하는 지역별, 세대별 투표 경향성에 대하여 file 2017.05.20 안준혁 11040
북한인권법은 미국의 정치적 카드? 2 file 2017.05.23 김윤혁 11039
아직 받지 못한 사과, 당신은 알고 계십니까? 3 file 2019.05.22 이송이 11038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036
또다시 다가온 2018 대학수학능력시험 file 2017.11.22 김서영 11035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1031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030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1028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0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